• 제목/요약/키워드: Lysinibacillus sphaericus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19초

콘크리트 포장에서 분리한 Lysinibacillus sphaericus WJ-8의 포자 형성과 환경 스트레스 반응 (Sporulation of Lysinibacillus sphaericus WJ-8 Isolated from Concrete Pavement and Response to Environmental Stresses)

  • 한상현;강창호;신유진;염우성;정진훈;소재성
    • KSBB Journal
    • /
    • 제29권3호
    • /
    • pp.188-192
    • /
    • 2014
  • Calcite forming bacteria (CFB) have been received increasing attention as a novel and environmental friendly strategy for the healing of concrete crack. Among the CFB, spore forming bacteria were proposed to overcome concrete condition (high pH, hydration heat, deicer). In this study, Lysinibaclillus sphaericus WJ-8 (WJ-8) isolated from concrete pavement was characterized. The WJ-8 was able to precipitate calcite at 10 mg/mL. When observed by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WJ-8 showed spore formation and maximum spore yield was approximately 97.9%. Also response of spores against various environment stresses was examined. Approximately 83~97% of spores maintained their survivability at each three conditions ($60^{\circ}C$, 3 M NaCl and pH 12).

매몰 시간의 경과에 따른 구제역 가축 매몰지 침출수 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and Bacteria of Leachate from Animal Carcass Disposal on the Disposal Lapse Time)

  • 최낙철;최은주;김봉주;박정안;김성배;박천영
    • 자원환경지질
    • /
    • 제46권4호
    • /
    • pp.345-350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매몰경과시간에 따라 4지점의 가축매몰지 침출수에 대하여 물리화학적 특성과 분자미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침출수내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침출수에 대한 물리화학적 분석 결과, 매몰중기 (매몰경과 20개월)에서 매몰초기 (매몰경과 5개월) 자료에 비하여 EC, DO, $HCO_3{^-}$, TOC, T-N 과 $SO_4{^{2-}}$ 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16S rRNA방법을 이용한 침출수의 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매몰초기에 Lysinibacillus sphaericus, Bacillus pumilus, Pseudoclavibacter helvolus, Pseudochrobactrum saccharolyticum 과 Corynebacterium callunae 이 동정되었으며, 매몰중기에는 Bacillus cereus, Lysinibacillus sphaericus, Bacillus circulans 과 Corynebacterium glutamicum이 검출되었고, Bacillus cereus, Lysinibacillus sphaericus과 같은 병원성 미생물이 발견되었다. 본 연구는 가축매몰지로부터 형성되는 침출수에 대한 지질 매체 내에서의 거동특성, 처리 및 위해성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시판 까나리(Ammodytes personatus) 액젓에서 Putrescine 생성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utrescine-producing Bacteria in Commercially Available Sauces Made from Salted and Fermented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 엄인선;김태옥;박권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9권5호
    • /
    • pp.573-581
    • /
    • 2016
  • Bacterial decarboxylation of amino acids in food leads to the production of biogenic amines, which can cause reactions in human that include headaches, nausea, palpitations, chills, and severe respiratory distress. The amine putrescine is an especially effective inhibitor of metabolizing enzymes and amplifies histamine intoxication and tyramine poisoning. Using an L-ornithine decarboxylating medium, we isolated 14 putrescine-producing bacteria from sand lance, Ammodytes personatus, sauces. Th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an API kit and 16S rRNA analysis, as Lysinibacillus fusiformis (1 strain), Lysinibacillus xylanilyticus (6 strains), Lysinibacillus macroides (1 strain), Lysinibacillus sphaericus (3 strains), Bacillus fusiformis (1 strain), Paenibacillus favisporus (1 strain), and Staphylococcus caprae (1 strain). These strains produced between 1.66 to 236.97 μg/mL of putrescine after 48 h incubation. Lysinibacillus spp. were the dominant putrescine-producing bacteria in sand lance sauces, which produced 236.97 μg/mL of putrescine from a culture broth containing 0.5% L-ornithine. This is the first report on the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putrescine-producing bacteria from sand lance sauces.

가축 매몰지 침출수에 대한 수질 특성 및 호기성 미생물 분포에 관한 연구 (Characterization of Water Quality and the Aerobic Bacterial Population in Leachate Derived from Animal Carcass Disposal)

  • 최낙철;최은주;김봉주;박정안;김성배;박천영
    • 지질공학
    • /
    • 제23권1호
    • /
    • pp.37-46
    • /
    • 2013
  • 가축 매몰지내 침출수의 누출은 인간과 다른 가축들에게 쉽게 질병을 확산시킬 수 있는 중요한 문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매몰된지 5개월 이내의 초기 16개 가축매몰지에 대한 침출수의 물리화학적 특성과 분자미생물학적 방법을 이용하여 침출수내 존재하는 호기성 미생물을 분석하였다. 총대장균군, 총유기탄소, 암모니아이온 및 질산성질소가 관련된 참고문헌자료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암모니아 이온과 질산성질소는 국내 먹는물 기준치를 초과하여 나타났다. 16S rNA 서열 분석법을 사용하여 호기성 조건에서 침출수의 미생물 분포를 분석한 결과, 높은 빈도의 Bacillus pumilus, Lysinibacillus sphaericus 및 Bacillus sphaericus이 관찰되었지만, Bucillus cereus와 Salmonella와 같은 식중독 미생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본 연구는 가축매몰지로부터 형성되는 침출수에 대한 지질 매체 내에서의 거동특성, 처리 및 위해성 평가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 가능할 것이다.

Biocementation of Concrete Pavements Using Microbially Induced Calcite Precipitation

  • Jeong, Jin-Hoon;Jo, Yoon-Soo;Park, Chang-Seon;Kang, Chang-Ho;So, Jae-Seong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7호
    • /
    • pp.1331-1335
    • /
    • 2017
  • In this study, the feasibility of introducing calcite-forming bacteria into concrete pavements to improve their mechanical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Lysinibacillus sphaericus WJ-8, which was isolated in a previous study and is capable of exhibiting high urease activity and calcite production, was used. When analyzed via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and X-ray diffraction, WJ-8 showed a significant amount of calcite precipitation. The compressive strength of cement mortar mixed with WJ-8 cells and nutrient medium (urea with calcium lactate) increased by 10%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s.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analyses confirmed that the increase in strength was due to the calcite formed by the WJ-8 cells.

DGGE 방법과 Pyrosequencing 방법을 이용한 지렁이 장내미생물의 다양성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Intestinal Tract of Earthworm (Eisenia fetida) using DGGE and Pyrosequencing)

  • 김은성;홍성욱;정건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74-381
    • /
    • 2011
  • 미생물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토양의 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는 지렁이 Eisenia fetida의 장내미생물 군집을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방법과 비배양방법인 DGGE와 pyrosequencing을 이용하여 8주와 16주 사육 지렁이의 장내미생물 군집을 분석하였다. 배양방법에서는 L. fusiformis(51%), B. cereus(30%), E. aerogenes(21%), 그리고 L. sphaericus (15%) 등이 우점미생물로 확인되었다. DGGE 분석에서는 B. cereus(15.1%), Enterobacter sp.(13.6%), uncultured bacterium (13.1%), 그리고 B. stearothermophilus(7.8%)가 우점미생물로 확인되었다. Pyrosequencing 분석에서는 Microbacterium soli(26%), B. cereus(10%), M. esteraromaticum(6%), 그리고 Frigoribacterium sp.(6%)가 우점미생물로 확인되었다. 그외에도 Aeromonas sp., Pseudomonas sp., Borrelia sp., Cellulosimicrobium sp., Klebsiella sp., and Leifsonia sp. 등의 미생물도 확인이 되었으며, 비배양 방법을 이용한 장내 미생물 군집 조사는 배양이 불가능한 미생물을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더 다양한 미생물 군집도 확인할 수 있었다.

버섯재배 배지재료용 수입 농업부산물에서의 세균 조사 연구 (Investigation of bacteria in the agricultural by-products imported for the use as media materials in mushroom cultivation)

  • 김준영;김수산;김성환
    • 미생물학회지
    • /
    • 제54권4호
    • /
    • pp.410-419
    • /
    • 2018
  • 국내 버섯 생산용 배지재료 용도로 수입되는 밀짚, 피트모스, 비트펄프, 면실피, 면실박 등 농업부산물에 대한 안전성 자료 구축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미생물에 대한 조사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2년 동안 호주, 캐나다, 중국, 이집트, 독일, 인도, 우크라이나에서 수입한 농업 부산물인 밀짚, 피트모스, 면실박, 면실피, 비트펄프를 대상으로 인체, 식물, 버섯에 유해가능성 있는 세균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조사된 수입된 농업부산물에는 $1.35{\times}10^2$에서 $8.34{\times}10^6CFU/g$ 농도 범위로 세균이 존재하였다. 세균을 분리하여 16S rDNA를 분석한 결과 총 19속 45종의 세균이 동정되었다. Basillus 속 세균이 우점으로 존재 하였고 그 다음으로 Paenibacillus 속 세균이 많이 존재하였다. 종 수준에서는 Firmicutes,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그룹에 속하는 순으로 다양성이 존재하였다. 농업부산물 별로 볼 때는 밀짚과 피트모스에서 더 다양한 속의 세균들이 존재하였다. 이 중 인체 유해성이 보고된 세균은 5속 6종으로서 Enterobacter asburiae, Enterobacter ludwigii,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Pseudomonas monteilii, Bacillus anthracis, Cellulosimicrobium funkei가 존재하였다. 놀랍게도 인체병원균이면서 동시에 식물 병원균으로 보고된 Klebsiella pneumoniae subsp. pneumonia 그리고 식물병원균 Bacillus altitudinis가 존재하였다.또한 곤충 병원성의 Lysinibacillus sphaericus와 버섯 병원성의 Ochrobactrum pseudogrignonense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에 수입되고 있는 버섯재배 배지용 농업부산물에 여러 종류의 잠재성 있는 병원성 세균이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입되고 있는 농업부산물이 버섯생산에 안전하게 사용되기 위해서는 위생 검사와 관리가 시급히 필요함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