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ysimeter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33초

사양토성 Lysimeter에서 살균제 $^{14}C-Propiconazole$의 행방 (Behaviour of Fungicide $^{14}C-Propiconazole$ in a Lysimeter of Sandy Loam)

  • 김인선;서용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1권3호
    • /
    • pp.253-257
    • /
    • 1998
  • 사양토성 lysimeter에서 살균제 $^{14}C-propiconazole$의 행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벼 이앙 15일 후 $^{14}C-propiconazole$을 0.12 kg/10a 수준으로 lysimeter 토양표면에 처리한 후 시기별로 용탈수, 토양 및 휘발성분중 방사능을 조사하였다. 약제처리 후 16주간 lysimeter토양에서 용탈된 방사능은 처리 방사능의 4.4%였으며, 대부분의 방사능은 모화합된 형태이었다. 약제처리 16주 후 토양에 잔류하는 방사능은 처리 방사능의 76.5%였으며 97% 이상이 토양표층 깊이 20 cm 이내에 존재하였다. Lysimeter 토양에서 생성된 $^{14}CO_2$는 처리 방사능의 7.8%였다. 벼 수확 후 볏짚에 잔류하는 방사능은 처리량의 7.2%였으며 지엽, 벼이삭, 왕겨 그리고 현미에서는 각각 0.1% 이하를 나타내었다.

  • PDF

벼 재배 Lysimeter 토양중 살균제 $^{14}C-Propiconazole$의 행방 (Behaviour of Fungicide $^{14}C-Propiconazole$ in Rice Plant Grown-Lysimeter Soil)

  • 김인선;서용택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15-220
    • /
    • 1999
  • 살균제 propiconazole의 벼 재배 lysimeter 토양중 행방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Lysimeter의 토양은 미사질 식양토로 구성되었다. 벼 이앙 15일 후 propiconazole을 0.12kg/10a 수준으로 lysimeter 토양표면에 년 1회씩 2년에 걸쳐 2회 처리한 다음 경시적인 약제의 용탈량, 토양중 분포량 $^{14}CO_2$ 생성량, 그리고 벼에 흡수 및 이행량을 조사하였다. 약제처리 후 16주 동안 lysimeter토양에서 용탈된 방사능은 1 년차와 2 년차 실험 모두 자연 방사능 수준이었다. 시험 기간동안 lysimeter 토양에서 방출된 $^{14}CO_2$는 1 년차와 2 년차 실험에서 처리 방사능의 각각 5.7%와 7.8%였으며, 휘발성 물질의 생성율은 자연 방사능 수준으로 매우 낮아 propiconazole이 화학적으로 안정한 화학물임을 시사하였다. Propiconazole은 토양중에서 잔류방사능의 대부분이 토심 20cm 이내에 존재하여 지하수 오염의 가능성은 매우 낮았다. Lysimeter 토양중 재배된 벼에 흡수 및 이행된 propiconazole의 방사능은 1 년차 및 2 년차 실험에서 각각 처리 방사능의 3.7%와 7.6%였다.

  • PDF

매립폐기물 성상변화에 따른 침출수 수량 및 수질특성에 관한 연구 (Characteristics of Leachate Quantity and Quality with Different Composition of Municipal Solid Waste in Solid Waste Landfill)

  • 박진규;김혜진;정새롬;이남훈;김석찬
    • 유기물자원화
    • /
    • 제15권2호
    • /
    • pp.109-117
    • /
    • 2007
  • 침출수의 수량 및 수질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세 종류(소각재 100%, 소각재 70%+일반생활폐기물 30%, 생활폐기물 100%)의 모형매립조를 실제 기상조건하에서 운영하였다. 실험결과, 누적 침출수 발생률이 모형매립조 A와 B가 모형매립조 C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형매립조 A는 pH가 pH 9~11의 범위였으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중성으로 점차 변하였다. 염소이온은 소각재를 매립한 모형매립조 A와 B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모형매립조 C의 경우 낮게 나타났다. 생활폐기물을 충전한 모형매립조 C의 경우 침출수내의 유기물 농도가 다른 모형매립조보다 높게 나타났다.

  • PDF

모형매립조를 이용한 산업폐기물 매립지의 안정화 조사 기초 연구 (Stabilization of Industrial Wastes Landfill using Lab-lysimeter)

  • 박동일;최석규;홍종순;장인용
    • 환경위생공학
    • /
    • 제13권3호
    • /
    • pp.9-18
    • /
    • 1998
  • An experimental research was conducted to establish primary data for the stabilization assessment of industrial wastes landfill with analysis of waste components and investigation of leachate and gas generation, using three sets of lysimeter as experimental apparatus. Comparing results of lysimeter from data of landfill, it is suggested that lysimeter of this study can be used to accomplish the stabilization assessment of the real landfill site. Moisture content was lower as landfill period was older and combustible component was the highest in lysimeter C. The C/N ratio of waste was 7.4~14.4 and, with the elemental analysis, the theoretical gas generation rate based on the modified Buswell equation was 0.47~0.49 $m^3/kg-dry$ waste in lysimeter C. Considering the C/N ratio of leachate, it is concluded that the addition of carbon source is needed to biodegrade leachate hereafter. Gas generation rate($m^3/kg-dry$ waste) from lysimeter A, B and C was 0.0009, 0.014 and 0.0067, respectively, and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landfill period of wastes. The results in this study show that the biodegradation of microorganism for stabilization of landfill was inhibited and more activated in acidogenic step than in methanogenic of anaerobic degradation.

  • PDF

침출수 무배출식 모형매립조를 이용한 도시폐기물 분해특성 (De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Municipal Solid Wastes in Lysimeter Without Leachate Discharge)

  • 류돈식;이해승;이찬기
    • 환경위생공학
    • /
    • 제15권2호
    • /
    • pp.49-57
    • /
    • 200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find solid waste decomposition in landfill without leachate discharge. This study was observed variation of landfill gas production rate and leachate for stabilization assessment, and using four sets of lysimeter as experimental apparatus. Soild waste decomposition was accelerated in without leachate discharge system by sufficient moisture for methane bacteria. And gas production rate was between 54.2ℓ/kg VS∼335.9ℓ/kg VS in each lysimeter. Generation time of methane gas was showed different in each lysimeter, but it was much faster than literature research. The time of stabilization phase were began as follows : L-1 400 day, L-2 350 day, L-3 170 day and L-4 70 day respectively. Decreasing times of BOD/COD ratio and C/N ratio were necessary more than literature research because organic matter was not discharge such as wash out.

  • PDF

지표면 잠열 이동에 관한 연구 (The Latent Heat Exchange on the Ground)

  • 이부용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061-1068
    • /
    • 2011
  • Evapotranspiration is one of the important elements related water cycle and there is many kind of measurement method of evapotranspiration today. This study developed mini lysimeter for the purpose of direct measurement of evapotranspiration and installed on 5th, July, 2010 at the field of MRI which located at Tsukuba, Ibaraki, Japan for continuous measurement and understand relation between evapotranspiration and meteorological elements expecially radiation elements. And compared the evapotranspiration data of lysimeter with Bowen Ratio Method.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re is high related with solar radiation and evapotranspiration with $R^2$=0.947. and 46 % of solar radiation converted into evapotranspiration during clear 5 days. In net radiation also highly related with evapotranspiration, we can derive evapotranspiration is mainly controlled by radiation energy in clear days. From the 104 days data, there is only 9 % difference between Bowen Ratio Method and evapotranspiration of lysimeter which was developed from this study is very useful to estimate evapotranspiration at field site with simple and high accuracy. High accuracy and resolution measurement of evapotranspiration by lysimeter can give a chance further study of meteorological phenomena of on ground expecially in night time condensation which means abnormal energy flow.

라이시미터를 이용한 밭에서의 유효우량 산정 (Evaluation of the Effective Rainfal on Upland by Lysimeter)

  • 박승찬;정하우;최진용
    • 한국농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공학회 1999년도 Proceedings of the 1999 Annual Conference The Korean Society of Agricutural Engineers
    • /
    • pp.87-92
    • /
    • 1999
  • The evaluation of the effective rainfall is important in the desgin and operation of irrigation systems. But the difinition of the effective rainfall and the method for the estimating effective rainfall is various for each purpose . In this paper, the effective rainfall was defined as amount of rainfall which is remained in the effective soil depth that can be use to consumptive use of crop during growing season. The sol moisture was measured by Neutron prob for the effective rainfall estimation, and theexperiment was conducted for mulched and non-mulched condition of lysimeter during growing season. By the result of analysis and the former definition, the effective rainfall was estimated to be 37.2% for the mulched lysimeter and 40.7% for the non-mulched lysimeter.

  • PDF

벼 재배 Lysimeter 환경에서 제초제 $^{14}C$-molinate의 분포 및 이동성 평가 (Distribution and Mobility of Herbicide $^{14}C$-Molinate in a Rice-Paddy-Soil Lysimeter)

  • 박병준;김찬섭;박경훈;박현주;임건재;최주현;심재한;류갑희
    • 농약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72-182
    • /
    • 2006
  • 벼 재배환경 중 lysimeter를 이용하여 $^{14}C$-molinate를 처리한 후 20주 동안 조사한 결과 총 용탈수량은 lysimeter 토양의 2.31 pore volume인 217,465 mL 이었으며, 용탈된 방사능은 1년차 실험에서 1.05%, 2년차 실험에서는 0.34% 수준이었다. 지표면에서 방출된 $CO_2$ 양은 1년차 실험이 6.47%, 연속 실험한 2년차 실험이 0.03%로 약 500배 가량 감소되어 검출되었다. 토심별 방사는 분포는 1년차 실험의 경우 토심 $0{\sim}10cm$는 18.0%, $10{\sim}20$ cm은 4.3%로 분포되어 토심 20 cm 이내에 90% 이상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토양에 총처리 방사능의 24.8%가 잔류되었다. 또한 2년차 실험에서는 토심 $0{\sim}10$ cm는 13.3%, $10{\sim}20$ cm는 1.1%로 분포되었고, 처리 방사능의 18.0%가 토양에 잔류되었다. 수확 후 벼로 흡수 이행된 $^{14}C$-molinate의 방사능은 처리방사능의 11.46%이었으며, 그 분포는 볏짚 11.11%, 현미 0.24%, 왕겨 0.08%, 그리고 이삭이 0.03%로 주로 볏짚에 분포되어 광합성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잎과 줄기에 축적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벼 수확 후 lysimeter의 표지물질의 종합적인 분포비는 최초 처리한 방사능의 25.24%는 토양에, 11.64%는 벼에 분포하였으며, 1.05%는 용탈수로 용탈되었고, 0.02%는 휘산성 유기화합물로 전환되었으며, 6.47%는 $^{14}CO_2$로 무기화되어 총회수율은 44.42%이었다. 처리 방사능의 55.58%는 소실되었는데 이는 주로 물중에서의 휘산과 수도체로 흡수 이행되어 휘산되었다.

라이시미터를 이용한 중화처리된 산성화경사지의 계절별 pH 용탈특성 평가 (The Assessment of pH Variation for Neutralized Acidic Areas using Lysimeters by Seasons)

  • 오승진;오민아;박찬오;정문호;이재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79-86
    • /
    • 2015
  • 우리나라의 지형은 약 70% 이상이 산악지역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평균 pH는 4 ~ 5로 산성화 정도가 심각한 수준이다. 현재 국내에는 약 1,000여개의 휴 폐광된 많은 금속광산이 오염 방지시설이나 처리시설이 갖춰지지 않은 채 중금속을 함유한 광미나 폐석이 장기간 환경 중에 노출되어 왔으며, 지속적인 관리 및 환경오염에 대한 모니터링이 미흡한 실정이다. 대부분의 휴 폐광산은 산림지역에 밀집하여 있어 경사지면으로 이루어진 곳이 많다. 경사지에서의 강우에 의한 토양유실은 작물의 생산성과 함께 수계의 부영양화 등에도 영향을 미치며 이로 인한 2차 오염원으로 발전할 수 있어 심각한 수준의 환경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산성화경사지와 유사한 조건의 라이시미터를 조성하고 과거 기 수행된 연구의 산출물인 폐자원을 활용한 중화제를 이용하여 중화처리를 실시한 후, 계절별 특성에 따라 인공강우를 살포하여 토양과 유출수의 pH 용탈에 따른 2차 환경오염 여부를 가늠하고 중화처리 후 식물식재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실험은 산성토양만을 충진한 대조군과 중화처리를 실시한 실험구 1, 중화처리 후 식물식재를 조성한 실험구 2로 구성하였다. 실험결과, 모든 계절에서 중화처리를 실시한 실험구 1, 2가 낮은 pH 용탈결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험구 2에서는 pH 용탈률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우강도와 강우빈도 등 계절별 특성에 따른 pH 용탈은 큰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석탄바닥재 처리가 골프장 잔디식재 사질토양의 이화학성에 미치는 영향 (Physicochemical Effects of Bottom Ash on the Turfgrass Growth Media of Sandy Topsoil in Golf Course)

  • 이주영;최희열;양재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99-204
    • /
    • 2010
  • 화력발전 후 발생되는 석탄회의 발생량은 점차 증가하고 있으나, 석탄바닥재의 재활용에 대한 연구가 충분하지 않아 재활용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는 석 탄바닥재와 모래의 혼합비율을 달리한 상토로 lysimeter를 제작한 후에 잔디를 재배하고 용탈실험을 수행해 석탄바닥재가 골프장 사질토양의 토양개량재로 적합한지 여부를 검정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석탄바닥재와 모래를 일정비율(석탄바닥재 0, 10, 20, 30, 50%)로 혼합하여 조성한 lysimeter에 일정량의 관수를 실시하고 용탈수를 채취한 결과 석탄바닥재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수량은 유의성있게 감소해 석탄바닥재 처리가 모래토양의 보수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시비 후 3일 간격으로 용탈수를 채취해 분석한 결과 석탄바닥재의 처리 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수의 pH는 증가하였으나, 관수량에 대한 용탈수량, $NO_3$-N, $NH_4$-N 및 K의 용탈량은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또한 용탈수의 EC는 석탄바닥재의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용탈초기부터 끝까지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 결과는 석탄바닥재가 사질토양의 보수 보비력 및 산성토양을 개량하는데 효과적임을 의미 한다. 그러나 석탄바닥재 pH가 9.03의 알칼리성이고, 처리수준이 증가할수록 투수성이 불량해지고 토양에서 $PO_4$-P의 흡착량이 증가하는 문제점도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석탄바닥재를모래에 20% 이하의 적정 비율로 혼합하면 보수 보비력이 낮은 골프코스의 사질토양을 개량할 수 있는 토양개량재로 재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