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oyang, China

검색결과 15건 처리시간 0.019초

Prevalence and Age, Gender and Geographical Area Distribution of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s in North China from 1985 to 2006

  • Feng, Xiao-Shan;Yang, Yan-Tong;Gao, She-Gan;Ru, Yi;Wang, Gong-Ping;Zhou, Bo;Wang, Yu-Feng;Zhang, Peng-Fei;Li, Pu-Yu;Liu, Yong-Xu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5호
    • /
    • pp.1981-1987
    • /
    • 2014
  • Objective: To establish the prevalence and distribution profile of esophageal squamous cell carcinomas (ESCCs) over a 22-yr period in North China. Methods: Using endoscopy for primary diagnosis and histological analysis for the further confirmation, a total of 74,854 ESCC patients aged 20-89 between January 1985 and December 2006 were investigated to analyze the epidemiological profile including prevalence rates, distribution of age-of-onset, gender and geographical area of ESCC in Luoyang, the highest incidence area of North China. Results: A total of 4092 cases of ESCC were finally diagnosed among 74,854 patients who had their first endoscopies. The prevalence among males was higher than that among females (p<0.01), resulting in an overall male:female OR of 1.2 (95%CI, 1.2-1.3). The prevalence in rural areas was higher than in urban areas (p<0.01), resulting in an overall rural:urban OR of 2.6 (95%CI, 2.4-2.9). The rural:urban ORs and the 95% CI increased continuously from 2.6, 2.3-3.0 to 2.7, 2.2-3.3, respectively, for 4 consecutive periods during the 22-yr study period. Moreover, the median age of onset among females was higher than that among males (p<0.01). For both sexes and in both areas, the prevalence rates declined and the median age of onset rose for 4 consecutive periods in the 22-yrs time frame (p<0.01). Conculsions: These data reveal the epidemiological profile of ESCC in the area of North China, and suggest that urban areas and rural people account for a growing proportion of the ESCC patients although the prevalence of ESCC significantly declined and the median age-of-onset postponed over the 22-yrs period. Moreover, the prevalence status of ESCC in rural areas also underlines the need for public health initiatives aimed at reducing risk factors of this fatal disease.

어린이 영양지수(Nutrition Quotient)를 이용한 한국과 중국 초등학생의 영양상태 및 식행동 실태 비교 (Comparison of Nutritional Status and Eating Behavior of Korean and Chinese Children using the Nutrition Quotient (NQ))

  • 링화;류호경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2-39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behavior of Korean and Chinese elementary school children using Nutritional Quotient (NQ).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by distributing questionnaires to the parents of the child, after selecting four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Pusan city of Korea and three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Luoyang city, Henan Province of China, from Grade 1 to Grade 6 in each school. Results: The NQ scores of Korean children and Chinese children were 64.99 and 66.57, respectively, which did not show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Korean children significantly showed higher diversity score (p<0.001) than Chinese, but Chinese children significantly showed higher moderation (p < 0.001), regularity (p < 0.001) and practice score (p < 0.01) than Korean. NQ grade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food security of the household, NQ scores of the Chinese children of secure household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food insecurity household (p < 0.01). In particular, it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actice (p < 0.001), moderation (p < 0.05) and regularity score (p < 0.05). Korean children's NQ score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the score of following the Dietary Guidelines of parents, but Chinese did not show such a correlation. Conclusions: There were differences in children's dietary behaviors and parents' impact to children's dietary attitude between Korean and Chinese. NQ developed for Korean could be successfully applied to Chinese.

Schedule-Dependent Effects of Kappa-Selenocarrageenan in Combination with Epirubicin on Hepatocellular Carcinoma

  • Ji, Yu-Bin;Ling, Na;Zhou, Xiao-Jun;Mao, Yun-Xiang;Li, Wen-Lan;Chen, Ning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8호
    • /
    • pp.3651-3657
    • /
    • 2014
  •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has a relatively higher incidence in many countries of Asia. Globally, HCC has a high fatality rate and short survival. Epirubicin, a doxorubicin analogue, may be administered alone or in combination with other agents to treat primary liver cancer and metastatic diseases. However, the toxic effects of epirubicin to normal tissues and cells have been one of the major obstacles to successful cancer chemotherapy. Here, we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pirubicin in combination with kappa-selenocarrageenan on mice with H22 implanted tumors and HepG-2 cell proliferation, immune organ index, morphology, cell cycle and related protein expressions in vivo and in vitro with sequential drug exposure. The inhibitory rate of tumor growth in vivo was calculated. Drug sensitivity was measured by MTT assay, and the King's principle was used to evaluate the interaction of drug combination. Morphological changes were observed by fluorescent microscopy. Cell cycle changes were analyzed by flow cytometry. Expression of cyclin A, Cdc25A and Cdk2 were detected by Western blotting. In vivo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inhibitory rate of EPI combined with KSC was higher than that of KSC or EPI alone, and the Q value indicated an additive effect. In addition, KSC could significantly raise the thymus and spleen indices of mice with H22 implanted tumors. In the drug sensitivity assay in vitro, exposure to KSC and EPI simultaneously was more effective than exposure sequentially in HepG-2 cells, while exposure to KSC prior to EPI was more effective than exposure to EPI prior to KSC. Q values showed an additive effect in the simultaneous group and antagonistic effects in the sequential groups. Morphological analysis showed similar results to the drug sensitivity assay. Cell cycle analysis revealed that exposure to KSC or EPI alone arrested the cells in S phase in HepG-2 cells, exposure to KSC and EPI simultaneously caused accumulation in the S phase, an effect caused by either KSC or EPI. Expression of cyclin A, Cdc25A and Cdk2 protein was down-regulated following exposure to KSC and EPI alone or in combination, exposure to KSC and EPI simultaneously resulting in the lowest values.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KSC in combination with EPI might have potential as a new therapeutic regimen against HCC.

고려시대 풍탁(風鐸)의 전개와 독창성 (The Development and Originality of Wind Chimes of the Goryeo Dynasty)

  • 이영선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2호
    • /
    • pp.292-307
    • /
    • 2019
  • 불교에서는 부처의 위엄, 부처의 세계가 멀리 있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방편으로 불상과 그 주변을 아름답게 꾸몄다. 여기에 이용된 각종 불구를 장엄구라고 한다. 장엄구는 불상을 꾸미는 장신구, 광배, 보개, 번 등 다양하며, 건물 밖에 걸었던 풍탁 또한 불교 장엄구의 일종이다. 풍탁은 지금까지도 사원에서 널리 쓰이는 불교 장엄구이다. 중국에서는 낙양 영녕사 목탑, 둔황석굴 등으로 미루어 보아 적어도 6세기 무렵에는 이미 풍탁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불교사원은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한 것과 동시에 지어졌으므로 사원 건물에 매다는 풍탁도 사원 조성과 그 시작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가장 이른 풍탁은 백제 미륵사지 <금동풍탁>이다. 우리나라 풍탁은 입면에 따라 종형과 제형으로 구분된다. 이는 옆 변의 형태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 종형과 제형 풍탁은 시대가 흐르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이러한 모습이 고려시대 풍탁에 가장 잘 드러나고 있다. 고려시대 풍탁은 이전의 형식, 구조, 의장 등을 계승하면서도 기술적으로 발전을 도모하고, 자유로우면서도 과하지 않은 의장을 표현하였다. 특히 고려 소종의 입상연판문대(立狀蓮瓣文帶), 왕실의 위엄을 드러내는 불문(?文), 고려 향로 속 삼환문(三環文)과 범자문(梵字文), 석조물의 창호문(窓戶文) 등 동 시기의 불교 미술품과의 교류를 짐작하게 하는 의장은 고려시대 풍탁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이다. 이처럼 고려 풍탁은 특정한 규격에 얽매이지 않으면서도 그 역할에 충실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확인된 우리나라 풍탁을 조사한 결과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이 가장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풍탁 연구는 다른 불교 장엄구에 비해 미진한 실정이기에 가장 많은 고려시대 풍탁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선 풍탁이 왜 만들어졌는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풍탁의 형식을 알아보겠다. 이를 토대로 고려시대 풍탁의 시기별 전개와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과 왕도의 위치 관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Location Relationship between Ancient Royal Garden and Royal Capital in North-East Asia)

  • 전용호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14
    • /
    • 2022
  •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은 왕도와 왕궁에서의 위치 관계에 따라 왕궁 내부의 북쪽, 왕궁 외부의 북쪽, 왕궁 내부나 외부의 남쪽에 위치하는 세 가지 유형으로 구분된다. 첫 번째는 전조후침(前朝後寢)의 중국 고대 궁실제도를 따른 전형적인 궁원이다. 두 번째는 왕궁과 독립적으로 위치하거나, 금원(禁苑)으로 확장되는 궁원이다. 세 번째는 왕궁의 남쪽에 위치하면서 유락(遊樂)이나 향연(饗宴)으로 특화한 궁원이다.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의 유형은 정궁(正宮)과 별궁(別宮) 혹은 이궁(離宮), 금원(禁苑)과의 관계에 따라 구분되고 각각 독특한 특징을 지니고 있다. 첫 번째는 익산 왕궁리 유적의 궁원을 비롯하여 한 장안성, 북위 낙양성과 남조 건강성, 당 대명궁 등에 이르기까지 정궁의 궁원으로 자리잡아왔다. 여기에서는 왕궁 안으로는 궁원이 내원(內苑)으로, 왕궁 밖으로 금원이 외원(外苑)으로 분리되어 있다. 반면에 두 번째는 궁원(宮苑)과 금원(禁苑)이 일체화되어 있다. 세 번째는 왕궁의 일부분을 구성하거나 왕도에서 정궁과 독립된 공간으로 별궁이나 이궁의 궁원으로 특화되어 왔다. 중국은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의 전형(典型)을 만들었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한국의 백제와 신라, 일본은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면서 나름대로 독창성을 발휘하여 독특한 궁원을 발전시켜 나갔다. 백제왕도 익산의 궁원은 위진남북조시대의 궁원을, 사비도성의 궁원은 진·한대와 수·당대의 궁원을, 신라왕경의 궁원은 사비도성과 당의 궁원을, 일본 아스카~나라시대의 궁원은 백제와 신라의 궁원을 영향을 각각 받았다. 그렇지만 이들 궁원은 각각 나름대로 자신만의 독특한 궁원의 특징도 지니고 있다. 이런 점으로 보아,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은 지역에 따라 계통이 달랐음을 알 수 있다. 평양 안학궁은 궁원으로 보아서는 삼국시대부터 조영될 가능성이 높다. 다만 안학궁 하부의 유구 중복 관계나 유물로 보아 그 초축 시기는 5~6세기로 올려보기 어렵고 대체로 7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 평양 안학궁의 궁원은 평양 장안성의 정궁에 대응하는 별궁 혹은 이궁의 궁원으로서 한국 통일신라시대 동궁과 월지나 일본 나라시대 평성궁 동원정원(東院庭園)에 영향을 끼친 것으로 판단된다. 이런 점으로 보아, 평성궁 동원정원(東院庭園)은 고구려, 백제, 신라의 궁원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동북아시아의 고대 왕도라는 큰 틀에서 궁원의 위치 관계로 그 특징과 변천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로 적지 않은 한계를 지니고 있다. 이런 한계들을 조금씩 해결하여 나간다면, 동북아시아 고대 궁원에 대한 이해의 폭이 훨씬 넓어지리라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