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and Originality of Wind Chimes of the Goryeo Dynasty

고려시대 풍탁(風鐸)의 전개와 독창성

  • Received : 2019.03.29
  • Accepted : 2019.05.06
  • Published : 2019.06.30

Abstract

Buddhists have always tended to adorn and embellish Buddhist statues and their surrounding spaces in order to exhibit the grandeur and sublime nature of the Buddha. The various kinds of splendid instruments and implements used in such ornamentation are collectively called jangeomgu in Korean. Thus, the term jangeomgu encompasses articles used to decorate Buddhist statues, halos, and baldachin, as well as Buddhist banners and wind chimes, which are generally hung outside a building. Wind chimes are still widely used at Buddhist temples. In China, judging from various structures such as the Wooden Stupa of Yongningsi in Luoyang and the Dunhuang Caves, wind chimes began to be used around the sixth century. As for Korea,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from China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Koreans accordingly began to build Buddhist temples and buildings. It would appear that wind chimes came to be used around the time that the first temples were built. The oldest extant wind chime in Korea is the gilt-bronze wind chime of Baekje, discovered at the Mireuksa Temple Site in Iksan. In general, Korean wind chimes dating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are classified into two general types according to their shape and elevation, i.e., those shaped like a Buddhist bell and those shaped like a trapezoid. As these two forms of wind chimes have influenced each other over time, those made during the Goryeo dynasty, having inherited the style, structure, and design of the preceding period, display such features. At the same time, the artisans who produced wind chimes pursued technical development and adopted free, yet not extravagant, designs. In particular, Goryeo wind chimes are characterized by original designs created through exchanges with other Buddhist art forms of the same period, such as the embossed lotus design band of Goryeo bells; the bullmun design, which served to display the grandeur of the royal family; the samhwanmun design, which consisted of decorating the interior of a Goryeo incense burner with three holes; Sanskrit designs; and designs inspired by the windows and doors of stone pagodas. In this way, the production of Goryeo wind chimes developed with a focus on purpose while being free of formal constraints. This study started out from the fact that the largest number of Korean wind chimes were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refore, research on wind chimes should be based on those of the Goryeo dynasty, especially since fewer relevant studies have been conducted compared to studies on other forms of Buddhist art. For the purposes of this study, the reasons for the production of wind chimes will be examined first, followed by an examination of the various styles of Korean wind chimes. Th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investigation, the develop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 wind chimes produced during the Goryeo dynasty will be explored for each period.

불교에서는 부처의 위엄, 부처의 세계가 멀리 있는 것이 아님을 보여주는 방편으로 불상과 그 주변을 아름답게 꾸몄다. 여기에 이용된 각종 불구를 장엄구라고 한다. 장엄구는 불상을 꾸미는 장신구, 광배, 보개, 번 등 다양하며, 건물 밖에 걸었던 풍탁 또한 불교 장엄구의 일종이다. 풍탁은 지금까지도 사원에서 널리 쓰이는 불교 장엄구이다. 중국에서는 낙양 영녕사 목탑, 둔황석굴 등으로 미루어 보아 적어도 6세기 무렵에는 이미 풍탁을 사용한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 불교사원은 삼국시대에 중국에서 불교가 전래한 것과 동시에 지어졌으므로 사원 건물에 매다는 풍탁도 사원 조성과 그 시작이 크게 다르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현존하는 가장 이른 풍탁은 백제 미륵사지 <금동풍탁>이다. 우리나라 풍탁은 입면에 따라 종형과 제형으로 구분된다. 이는 옆 변의 형태에 따라 세분화할 수 있다. 종형과 제형 풍탁은 시대가 흐르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주었는데, 이러한 모습이 고려시대 풍탁에 가장 잘 드러나고 있다. 고려시대 풍탁은 이전의 형식, 구조, 의장 등을 계승하면서도 기술적으로 발전을 도모하고, 자유로우면서도 과하지 않은 의장을 표현하였다. 특히 고려 소종의 입상연판문대(立狀蓮瓣文帶), 왕실의 위엄을 드러내는 불문(?文), 고려 향로 속 삼환문(三環文)과 범자문(梵字文), 석조물의 창호문(窓戶文) 등 동 시기의 불교 미술품과의 교류를 짐작하게 하는 의장은 고려시대 풍탁에서 가장 두드러지는 부분이다. 이처럼 고려 풍탁은 특정한 규격에 얽매이지 않으면서도 그 역할에 충실했던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확인된 우리나라 풍탁을 조사한 결과 고려시대에 제작된 것이 가장 비중이 높다는 점에서 시작되었다. 풍탁 연구는 다른 불교 장엄구에 비해 미진한 실정이기에 가장 많은 고려시대 풍탁을 기반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우선 풍탁이 왜 만들어졌는지를 살펴보고 우리나라 풍탁의 형식을 알아보겠다. 이를 토대로 고려시대 풍탁의 시기별 전개와 특징을 고찰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妙法蓮華經
  2. 一切經音義
  3. 洛陽伽藍記
  4. 歷代三寶紀
  5. 강진군.(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2, 강진 월남사지 진각국사비 주변 발굴조사 약보고서, p.22
  6. 강진군.(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 2014, 강진 월남사지 발굴조사 현황과 성과, pp.1-27
  7. 경기도박물관.안성시, 2002, 봉업사, p.395
  8. 경남고고학연구소, 2005, 창녕 말흘리 유적, p.140
  9. 국립김해박물관, 2011, 땅 속에 묻힌 염원, pp.33-47
  10. 국립문화재연구소, 1996, 한국의 범종, pp.402-403, p.452
  11. 국립문화재연구소, 2012, 미국 메트로폴리탄 미술관 소장 한국문화재, p.225, 292
  12. 국립중앙박물관, 2010, 고려불화대전, p.172
  13. 국립중앙박물관, 2013, 고려시대 향로, pp.30-37, 48-50
  14. 국립청주박물관, 2014, 청주 사뇌사지 금속공예 II, pp.52-73
  15. 동아대학교박물관, 2001, 소장품도록, p.151
  16. 미륵사지유물전시관, 2011, 밝은 빛 맑은 소리 풍탁, pp.8-11, p.19, 32, 44, pp. 48-49, p.61, pp.70-71, p.83, pp.120-132
  17. 성윤길, 2017, 강진 월남사지 출토 금동풍탁에 대하여 문화재 50-1, 국립문화재연구소, pp.34-35
  18. 안춘배, 1987, 居昌 壬佛里 天德寺址 및 陜川 界山里 發堀調査槪報 영남고고학, 영남고고학회, p.136
  19. 이수경, 2013, 월남사지 조사성과와 고대 기와 한국고대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한국고대학회, pp.1-15
  20. 이영선, 2014, 고려시대 풍탁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5, pp.21-22, 33-36, p.38, 43, 45, 50, 57, 60, 73, 80, pp.82-85, p.89, pp.135-138
  21. 이영선, 2016, 4. 숭선사지 출토 金銅風鐸과 靑銅風板에 관한 고찰 忠州 崇善寺址 6차 발굴조사 보고서, 충주시.충청대학교박물관, pp.145-151
  22. 이용진, 2011a, 고려시대 靑銅銀入絲香垸의 梵字 해석 역사민속학 36, 한국민속역사학회, pp.7-39
  23. 이용진, 2011b, 韓國 佛敎香爐 硏究,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1-351
  24. 이용진, 2012, 고려시대 불교향완의 전통성과 독창성 동악미술사학 13, pp.151-180
  25. 이호관, 2003, 日本에 가 있는 韓國의 佛像, 학연문화사, p.250
  26. 정선군.강원문화재연구소, 2016, 旌善 淨庵寺 II, p.201
  27. 조은경.한주성.남창근, 2007, 전라도 석탑의 세부 기법 고찰 문화재 40, 국립문화재연구소, pp.288-293
  28. 중앙문화재연구원, 2008, 안성 장능리사지, pp.19-33, 71-73
  29. 최응천.김연수, 2003, 금속공예, 솔, p.47, 193, 256
  30. 최응천, 2004, 고려후기 전환기의 미술 특집 - 고려후기의 금속공예 강좌미술사 22, 한국불교미술사학회, p.128
  31. 최응천, 2011, 고려시대 금속공예 금속공예에 깃든 고려인의 삶, 국립제주박물관, pp.92-103
  32. 최응천, 2013, 日本에 있는 高麗 小鐘 考察 동악미술사학 14, 동악미술사학회, pp.95-125
  33. 최응천, 2014, 세계 속의 찬란한 한국 공예명품 제1기 국외문화재 아카데미 '국외 한국문화재 바로알기' 강의자료집, 국외소재문화재재단, pp.10-11
  34. 충청대학교박물관, 2013, 충주 숭선사지 6차 발굴조사 약보고서, pp.24-27
  35. 충청대학교박물관, 2016, 忠州 崇善寺址 6차 발굴조사 보고서, 충주시.충청대학교박물관, p.152
  36. 충청대학교박물관.충주시, 2006, 충주 숭선사지 발굴조사보고서, p.64, 362, pp.649-659
  37.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0a, 파주 반환미군기지(게리 오웬) 환경정화사업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 -1차 지도위원회 자료-, pp.2-18
  38. 한국문화유산연구원, 2010b, 파주 반환미군기지(게리오웬) 환경정화사업부지 문화유적 발굴조사 약보고서, pp.3-50
  39. 한성백제박물관, 2018a, 천 년 만에 빛을 본 영국사와 도봉서원, p.41
  40. 한성백제박물관, 2018b, 검이불루 화이불치 백제의 집, p.173
  41. 호암갤러리, 1993, 高麗, 영원한 美, 삼성문화재단, pp.4-7, p.27
  42. 호암갤러리, 1995, 大高麗國寶展: 위대한 문화유산을 찾아서, 삼성문화재단, p.239
  43. 홍대한, 2011, 신라와 고려시대 造塔 경전의 역할과 기능 사학지 42, 단국대학교사학회, pp.101-149
  44. 敦煌硏究院, 2001, 敦煌 21 建築畵卷, 香港: 商務印書館, p.29
  45. 程乃莲, 2012, 应县释迦塔的风铃及其造型艺术 山东大同大學學報 Vol.26 No.4, 山东大同大學, pp.34-36
  46.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인터넷 홈페이지 http://museum.khu.ac.kr
  47. 국립광주박물관 인터넷 홈페이지 http://gwangju.museum.go.kr
  48. 국립대구박물관 인터넷 홈페이지 http://daegu.museum.go.kr
  49. 불교기록문화유산 아키아브 서비스 시스템 http://kabc.dongguk.edu/
  50. 연합뉴스, 2013.10.7, '충주 숭선사터에서 국내 최대 풍탁 출토'
  51.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인터넷 홈페이지 http://encykorea.aks.ac.kr
  52. 한글대장경 인터넷 홈페이지 http://abc.dongguk.edu/ebti
  53. 北京古宮博物院 인터넷 홈페이지 www.dpm.org.cn
  54. The Metropolitan Museum of Art 인터넷 홈페이지 www.metmuseum.or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