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injury

검색결과 502건 처리시간 0.024초

흉강천자 후 발생한 양측성 재팽창성 폐부종 1례 (A Case of Bilateral Reexpansion Pulmonary Edema After Pleurocentesis)

  • 김기업;정현구;박현준;차건영;한상훈;황의원;이준혁;김도진;나문준;어수택;김용훈;박춘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1권2호
    • /
    • pp.161-165
    • /
    • 2001
  • 저자 등은 다량의 흉막유출로 반대측 폐의 일부 허탈과 폐부종을 보이는 만성 간질환 환자의 호흡곤란의 경감을 위하여 시행한 흉강천자 후 발생한 양측성 재팽창성 폐부종(reexpansion pulmonary edema)과 이로 인한 급성호흡곤란증후군을 경험하고 이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만성 폐질환인 폐이형성증을 보이는 baboon 폐조직에 Dendritic-like cell의 축적 (Dendritic-like Cells Accumulate in BPD Lung of Baboon)

  • 이종환;김광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9호
    • /
    • pp.1202-1206
    • /
    • 2008
  • 본 연구에서 정상적인 baboon의 흉선조직 및 폐조직에서 HLA-DR과 PGP9.5항원에 대한 반응성을 나타내는 수지상세포 형태의 세포가 축적되는 것을 보았다. 하지만, 이런 세포들은 baboon 이 BPD즉 폐이형성증에 걸리게 되면 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140일 제태기간보다 125일 제태 기간을 보낸 미성숙 baboon이 HLA-DR을 가지는 세포가 더 많아 진다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고 이로 인해 BPD동물모델을 구축하는데 125일 제태 기간을 보낸 동물이 훨씬 적합하다는 것을 알았다. 또한 bombesin의 항체인 2A11을 처리한 baboon (125d-14d/PRN)의 폐조직에서는 정상수준의 HLA-DR positive세포들이 관찰되었다. 더욱이, Baboon의 흉선으로부터 분리한 thymocyte로 bombesin에 대한 chemotaxis를 수행한 결과 세포이동 반응성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생체 내 BLP들을 차단하면 BPD에 의해 야기된 폐이형성증을 막을 수 있고 2A11항체가 수동 면역제로 폐이형성증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제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Radioprotective effects of delphinidin on normal human lung cells against proton beam exposure

  • Kim, Hyun Mi;Kim, Suk Hee;Kang, Bo Sun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2권1호
    • /
    • pp.41-46
    • /
    • 2018
  • BACKGROUND/OBJECTIVES: Exposure of the normal lung tissue around the cancerous tumor during radiotherapy causes serious side effects such as pneumonitis and pulmonary fibrosis. Radioprotectors used during cancer radiotherapy could protect the patient from side effects induced by radiation injury of the normal tissue. Delphinidin has strong antioxidant properties, and it works as the driving force of a radioprotective effect by scavenging radiation-induced reactive oxygen species (ROS). However, no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radioprotective effect of delphinidin against high linear energy transfer radiation. Therefore,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evaluate the radioprotective effects of delphinidin on human lung cells against a proton beam. MATERIALS/METHODS: Normal human lung cells (HEL 299 cells) were used for in vitro experiments. The 3-[4,5-dimethylthiazol-2-yl]-2,5 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ssessed the cytotoxicity of delphinidin and cell viability. The expression of radiation induced cellular ROS was measured by the 2'-7'-dicholordihydrofluorescein diacetate assay. Superoxide dismutase activity assay and catalase activity assay were used for evaluating the activity of corresponding enzymes. In addition, radioprotective effects on DNA damage-induced cellular apoptosis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 assay. RESULTS: Experimental analysis, including cell survival assay, MTT assay, and Western blot assay, revealed the radioprotective effects of delphinidin. These include restoring the activities of antioxidant enzymes of damaged cells, increase in the levels of pro-survival protein, and decrease of pro-apoptosis proteins. The results from different experiments were compatible with each to provide a substantial conclusion. CONCLUSION: Low concentration ($2.5{\mu}M/mL$) of delphinidin administration prior to radiation exposure was radioprotective against a low dose of proton beam exposure. Hence, delphinidin is a promising shielding agent against radiation, protecting the normal tissues around a cancerous tumor, which are unintentionally exposed to low doses of radiation during proton therapy.

Contralateral Pulmonary Resection after Pneumonectomy

  • Ga Hee Jeong;Yong Soo Choi;Yeong Jeong Jeon; Junghee Lee;Seong Yong Park;Jong Ho Cho;Hong Kwan Kim;Jhingook Kim;Young Mog Shim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57권2호
    • /
    • pp.145-151
    • /
    • 2024
  • Background: Contralateral pulmonary resection after pneumonectomy presents considerable challenges, and few reports in the literature have described this procedure.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all patients who underwent contralateral lung resection following pneumonectomy for any reason at our institution between November 1994 and December 2020. Results: Thirteen patients (9 men and 4 wome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he median age was 57 years (range, 35-77 years), and the median preoperative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was 1.64 L (range, 1.17-2.12 L). Contralateral pulmonary resection was performed at a median interval of 44 months after pneumonectomy (range, 6-564 months). Surgical procedures varied among the patients: 10 underwent single wedge resection, 2 were treated with double wedge resection, and 1 underwent lobectomy. Diagnoses at the time of contralateral lung resection included lung cancer in 7 patients, lung metastasis from other cancers in 3 patients, and tuberculosis in 3 patients. Complications were observed in 4 patients (36%), including acute kidney injury, pneumothorax following chest tube removal, pneumonia, and prolonged air leak. No cases of operative mortality were noted. Conclusion: In carefully selected patients, contralateral pulmonary resection after pneumonectomy can be accomplished with acceptable 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Paraquat에 의한 급성 폐손상에 대한 Corticosteroid의 영향 (Effects of Corticosteroid on the Paraquat Induced Lung Injury)

  • 장근;김안명;강정성;정병학;정은택;문형배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39권4호
    • /
    • pp.325-333
    • /
    • 1992
  • 연구배경 : 간질성 폐질환의 병리학적 과정은 초기의 조직 파괴과정인 급성 폐포염과 이어서 진행되는 폐 섬유화로 이루어진다. 제초제로서 널리 사용되는 Paraquat에 의한 백서의 폐 손상은 간질성 폐질환의 폐포염의 model로 하여 급성 폐포염에 Corticosteroid가 미치는 영향을 기관지 폐포 세정술과 폐 조직 생검의 시간적 변화로서 관찰하였다. 방법 : 체중 200 gm 이상되는 백서의 복강내로 Paraquat 20 mg/kg 투여하여 6시간, 1일, 2일, 3일째에 기관지 폐포 세정에 의한 세포분석, 그리고 폐 조직 생검을 실시하여 시간적 변화를 정상 대조군과 비교하였고, 이어서 Paraquat와 Corticosteroid 동시 투여군에서 관찰하여 Paraquat단독 투여군과 비교 하였다. 결과 : 1) 기관지 폐포 세정액의 세포분석소견 : Paraquat 단독 투여군은 투여후 1일, 2일째에 걸쳐 유의한 세포수의 증가를 보였는데, 증가의 주 요인은 호중구의 증가에 의하며, 대식구의 절대수는 변화가 없었다. 3일째부터는 염증반응이 감소하기 시작했다. Paraquat, Corticosteroid 동시 투여군에 있어서는 전반적으로 Paraquat 단독 투여군에 비해 호중구의 유의한 감소에 의한 총 세포수의 감소를 확인하였다. 2) 폐 조직 생검 소견 : Paraquat 투여 후 1일째부터 폐포벽의 부종, 출혈, 호중구를 주로하는 염증세포의 폐포내 침윤이 나타났으며, 3일째에는 염증반응은 감소하나 폐포내에 초자양막이 형성되기 시작하였다. Paraquat, Corticosteroid 동시 투여군에서는, 1일째까지는 현저하게 전반적인 병리소견 특히 호중구의 침윤이 억제되어 있으며 2일째부터는 염증반응의 억제가 완화되어 있다. 결론 : Paraquat 투여 백서의 폐 손상에 있어서 Corticosteroid는 폐포염의 염증성 반응, 특히 호중구의 침윤을 유의하게 억제시킴을 기관지 폐포 세정술과 폐 생검으로 확인하였다.

  • PDF

Predictive Role of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in Early Diagnosis of Platin-Induced Renal Injury

  • Seker, Mehmet Metin;Deveci, Koksal;Seker, Ayse;Sancakdar, Enver;Yilmaz, Ali;Turesin, A. Kerim;Kacan, Turgut;Babacan, Nalan 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2호
    • /
    • pp.407-410
    • /
    • 2015
  • Background: Acute kidney injury is an important issue in chemotherapy receiving patients an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has been proposed as a novel marker. We here aimed to assess the role of urinary levels for assessment after platin exposure.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who had treated with cisplatin or carboplatin or oxaliplatin containg regimen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Baseline and postchemotherapy serum urea, creatinine, urine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and urine creatinine levels were determined. To avoid the effects of hydration during chemotherapy infusion the urinary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urine creatinine ratio was used to determine acute kidney injury. Results: Of a total of 42 patients receiving platin compounds,14 (33.3%) received cisplatin containing regimens, 14 (33.3%) received carboplatin and 14 (33.3%) oxaliplatin. The median age was 60 (37-76) years. Nineteen of the patients (45.2%) had lung cancer, 12 (28.6%) colorectal cancer and 11 (26.2%) others. The median pre and post chemotherapy urine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urine creatinin ratio was 15.6 ng/mg and 35.8 ng/mg (p=0.041) in the cisplatin group, 32.5 ng/mg and 86.3 ng/mg (p=0.004) in the carboplatin group and 40.9 ng/mg and 62.3 ng/mg (p=0.243) in the oxaliplatin group. Conclusions: Nephrotoxicity is a serious side effect of chemotherapeutic agentslike cisplatin and carbopaltin, but only to a lower extent oxaliplatin. All platin compounds must be used carefully and urine neutrophil gelatinase-associated lipocalin measurement seems to be promising in detecting acute kidney injury earlier than with creatinine.

백서의 급성폐손상에서 surfactant의 항염증작용과 호중구의 NK-${\kappa}B$ 활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F-${\kappa}B$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on of Surfactant in the Acute Lung Injury of Rats)

  • 안창혁;차영주;이경희;유철규;이병준;정도영;이훈;신종욱;김재열;박인원;최병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3권5호
    • /
    • pp.519-529
    • /
    • 2002
  • 연구배경 : 급성폐손상의 치료로 시도되는 표면활성물질의 효과는 허탈된 폐포를 재환기시키는 작용 외에 표면 활성물질 자제가 가지고 있는 항염증작용이 중요한 기전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서의 급성폐손상 모델을 이용하여 기관 내로 표면활성물질을 투여하였을 때, 기관지폐포세척액의 백혈구수와,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인 IL-$1{\beta}$ 그리고 IL-6의 농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surfactant의 항염증작용이 전사인자인 NF-${\kappa}B$의 활성의 억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법으로 확인하였다. 방 법 : 대상동물은 300g 내외의 수컷 백서를 이용하였으며, 대상동물을 각각 6 마리씩 세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기관 내로 생리식염수(3ml/kg)를 30분 간격으로 투여하였다. 나머지 두 군은 기관 내로 내독소(5mg/kg)를 투여하여 급성폐손상을 유발하고, 30 분 후에 표변활성 물질 치료군은 surfactant(30mg/kg)을 그리고 비치료군은 생리식염수(3ml/kg)을 각각 기관 내로 투여하였다. 생리식염수나 내독소를 투여한 24 시간 후에 기관지폐포세척술을 시행하였고, 기관지폐포세척액 내의 백혈구수와 IL-$1{\beta}$ 그리고 IL-6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 호중구를 분리하고 핵 단백질을 추출하여 NF-${\kappa}B$의 활성을 EMSA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대조군, 표면활성물질 치료군, 그리고 비치료군의 기관지폐포세척액의 백혈구 수는 각각 $356{\pm}275{\times}10^3/{\mu}1$, $3,221{\pm}1,914{\times}10^3/{\mu}1$, 그리고 $5,561{\pm}1,757{\times}10^3/{\mu}l$으로 비치료군의 백혈구 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표면활성물질 치료군, 비치료군의 순서였다(p<0.05). 기관지폐포세척액의 IL-$1{\beta}$ 농도는 대조군은 0pg/ml, 표면활성물질 치료군은 $360{\pm}234pg/ml$, 그리고 비치료군은 $2,064{\pm}1,082pg/ml$로 대조군에 비해 표면활성물질 치료군이, 그리고 표면활성물질 치료군에 비해 비치료군의 IL-$1{\beta}$농도가 높았다(p<0.05). 기관지폐포세척액의 IL-6 농도는 대조군, 표면활성물질 치료군, 비치료군에서 각각 $49{\pm}62pg/ml$, $1,754{\pm}1,340pg/ml$, 그리고 $3,621{\pm}567pg/ml$으로 대조군에 비해 표면활성물질 치료군이, 그리고 표면활성물질 치료군에 비해 비치료군의 농도가 높았다(p<0.05). 표면활성물질 치료군과 비치료군 사이에서 호중구의 NF-${\kappa}B$ 활성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연구로 내독소의 기관 내 투여로 유발한 백서의 급성폐손상에서 기관 내로 투여한 표면활성물질은 기관지폐포세척액의 백혈구수와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인 IL-$1{\kappa}$ 그리고 IL-6의 농도를 감소시켜 폐포 내의 염증을 감소시켰으며, 표면활성 물질의 항염증작용은 NF-${\kappa}B$의 활성의 억제를 통하여 이루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리포다당질로 인한 직접성 급성폐손상에서 Nuclear Factor-κB Decoy Oligodeoxynucleotide의 효과 (The Effects of Nuclear Factor-κB Decoy Oligodeoxynucleotide on Lipopolysaccharide-Induced Direct Acute Lung Injury)

  • 김제형;윤대위;정기환;김혜옥;하은실;이경주;허규영;이승룡;이상엽;신철;심재정;인광호;유세화;강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2호
    • /
    • pp.95-104
    • /
    • 2009
  • Background: The pathophysiologic mechanisms of early acute lung injury (ALI) differ according to the type of primary insult. It is important to differentiate between direct and indirect pathophysiologic pathways, and this may influence the approach to treatment strategies. NF-$\kappa$B decoy oligodeoxynucleotide (ODN) is a useful tool for the blockade of the expression of NF-$\kappa$B-dependent proinflammatory mediators and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in indirect AL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NF-$\kappa$B decoy ODN in the lipopolysaccharide (LPS)-induced direct ALI model. Methods: Five-week-old specific pathogen-free male BALB/c mice were used for the experiment. In the preliminary studies,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e (IL)-6 and NF-$\kappa$B activity peaked at 6 hours after LPS administration. Myeloperoxidase (MPO) activity and ALI score were highest at 36 and 48 hours,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decided to measure each parameter at the time of its highest level. The study mice were randomly divided into three experimental groups: (1) control group which was administered 50 ${\mu}L$ of saline and treated with intratracheal administration of 200 ${\mu}L$ DW containing only hemagglutinating virus of Japan (HVJ) vector (n=24); (2) LPS group in which LPS-induced ALI mice were treated with intratracheal administration of 200 ${\mu}L$ DW containing only HVJ vector (n=24); (3) LPS+ODN group in which LPS-induced ALI mice were treated with intratracheal administration of 200 ${\mu}L$ DW containing 160 ${\mu}g$ of NF-$\kappa$B decoy ODN and HVJ vector (n=24). Each group was subdivided into four experimental subgroups: (1) tissue subgroup for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for ALI at 48 hours (n=6); (2) 6-hour bronchoalveolar lavage (BAL) subgroup for measurement of TNF-$\alpha$ and IL-6 in BAL fluid (BALF) (n=6); (3) 36-hour BAL subgroup for MPO activity assays in BALF (n=6); and (4) tissue homogenate subgroup for measurement of NF-$\kappa$B activity in lung tissue homogenates at 6 hours (n=6). Results: NF-$\kappa$B decoy ODN treatment significantly decreased NF-$\kappa$B activity in lung tissues. However, it failed to improve the parameters of LPS-induced direct ALI, including the concentrations of tumor necrosis factor-$\alpha$ and interleukin-6 in BALF, myeloperoxidase activity in BALF and histopathologic changes measured by the ALI score. Conclusion: NF-$\kappa$B decoy ODN, which has been proven to be effective in indirect models, had no effect in the direct ALI model.

방사선 조사후 손상된 백서 폐조직에서의 Thioredoxin Peroxidase의 발현 (Thioredoxin Peroxidase Manifestation in Radiation-Induced White Rat Lung Tissues)

  • 정성철;박준성;박지원;이선민;박광주;황성철;이이형;한명호;오영택;김형중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7권5호
    • /
    • pp.650-659
    • /
    • 1999
  • 목 적: 산소를 이용하는 세포들은 반응성 산소기(reactive oxygen species, ROS)로 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기전을 가지고 있는데, thioredoxin system으로부터 전자를 받아 과산화물을 물로 환원시키는 생화학적 성질을 가진 효모 단백질을 발견하여 이를 thioredoxin peroxidase(TPX)로 명명하였다. 이는 효모 뿐 아니라 체내 여러 장기에 고루 분포되어 있으며, 특허 종양세포에서 유리되는 반응생 산소기를 제거함으로써 종양세포의 발생(initiation), 성장(promotion) 및 전이(metastasis)를 억제하는 역할을 할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폐암, 유방암 등의 종양세포내에서의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한편, 폐암의 치료에 있어서 방사선 치료는 폐암의 국소적 치료 및 증상 경감을 위해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으나, 폐의 방사선 치료에 있어 가장 중요한 장애요인은 치료후 발생하는 폐실질의 섬유화로서 방사선 조사후의 산소유리가(free radical) 손상 등에 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런 섬유화에 관여하는 인자 및 방어기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 등은 방사선 조사 후에 백서의 폐조직에서 thioredoxin peroxidase의 아형 및 catalase등이 방사선 조사로 인한 폐손상의 방어기전에 어떤 역할을 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백서 18마리를 각각 3마리씩 6개 군으로 나누었고, 그 중 15마리에 900cGY와 방사선을 조사하였다. 방사선 조사를 받은 백서를 조사직후, 1주후, 2주후, 3주후 및 6주후에 희생시켜 폐조직을 얻었고, 이들 폐조직과 대조군 3마리의 폐조직을 H&E 염색하여 폐섬유화의 정도를 관찰함과 동시에 TPX 아형 및 catalase에 대한 항체로 Western blot analysis를 시행하여 각각의 단백질의 발현정도를 비교하였다. 결 과: 대조군과 비교하여 볼 때 폐조직에서 H&E 염색상 방사선 조사후 시기별로 폐섬유화의 정도가 점차로 진행됨을 볼 수 있었으나, thioredoxin peroxidase 5가지 아형(TPX-A & B, HS22, MER5, HORF-06) 모두 방사선 조사전과 조사후, 시간경과에 따른 면역반응대(immunoreactive band)의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Catalase 역시 면역반응대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 론: 체내 여러장기, 특히 폐장에 많이 분포하고, 폐암세포에 의한 반응성 산소기(reactive oxygen species)에 의하여 발현이 증가되는 것으로 알려진 thioredoxin peroxidase가 방사선 조사후에 발생한 백서의 폐섬유화에서는 그 발현의 정도가 변하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방사선으로 인한 폐손상의 복원과정에는 관여하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