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서의 급성폐손상에서 surfactant의 항염증작용과 호중구의 NK-${\kappa}B$ 활성과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F-${\kappa}B$ Activity and Anti-inflammatory Action of Surfactant in the Acute Lung Injury of Rats

  • 안창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차영주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진단검사의학과교실) ;
  • 이경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유철규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병준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정도영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훈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신종욱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김재열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박인원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최병휘 (중앙대학교 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An, Chang-Hye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a, Young-Joo (Department of Laboratory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Kyoung-Hee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icine) ;
  • Yoo, Chul-Gyu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Seoul National University College of Meicine) ;
  • Lee, Byoung-Ju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Jeong, Do-Young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Lee, Sang-Ho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Shin, Jong-Wook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Kim, Jae-Yeol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Park, In-Won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 Choi, Byoung-Whui (Department of Internal Medicine, ChungAng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 발행 : 2002.11.30

초록

연구배경 : 급성폐손상의 치료로 시도되는 표면활성물질의 효과는 허탈된 폐포를 재환기시키는 작용 외에 표면 활성물질 자제가 가지고 있는 항염증작용이 중요한 기전으로 생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백서의 급성폐손상 모델을 이용하여 기관 내로 표면활성물질을 투여하였을 때, 기관지폐포세척액의 백혈구수와,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인 IL-$1{\beta}$ 그리고 IL-6의 농도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surfactant의 항염증작용이 전사인자인 NF-${\kappa}B$의 활성의 억제를 통하여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Elec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 (EMSA) 법으로 확인하였다. 방 법 : 대상동물은 300g 내외의 수컷 백서를 이용하였으며, 대상동물을 각각 6 마리씩 세 군으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기관 내로 생리식염수(3ml/kg)를 30분 간격으로 투여하였다. 나머지 두 군은 기관 내로 내독소(5mg/kg)를 투여하여 급성폐손상을 유발하고, 30 분 후에 표변활성 물질 치료군은 surfactant(30mg/kg)을 그리고 비치료군은 생리식염수(3ml/kg)을 각각 기관 내로 투여하였다. 생리식염수나 내독소를 투여한 24 시간 후에 기관지폐포세척술을 시행하였고, 기관지폐포세척액 내의 백혈구수와 IL-$1{\beta}$ 그리고 IL-6의 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기관지폐포세척액에서 호중구를 분리하고 핵 단백질을 추출하여 NF-${\kappa}B$의 활성을 EMSA법으로 측정하였다. 결 과 : 대조군, 표면활성물질 치료군, 그리고 비치료군의 기관지폐포세척액의 백혈구 수는 각각 $356{\pm}275{\times}10^3/{\mu}1$, $3,221{\pm}1,914{\times}10^3/{\mu}1$, 그리고 $5,561{\pm}1,757{\times}10^3/{\mu}l$으로 비치료군의 백혈구 수가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표면활성물질 치료군, 비치료군의 순서였다(p<0.05). 기관지폐포세척액의 IL-$1{\beta}$ 농도는 대조군은 0pg/ml, 표면활성물질 치료군은 $360{\pm}234pg/ml$, 그리고 비치료군은 $2,064{\pm}1,082pg/ml$로 대조군에 비해 표면활성물질 치료군이, 그리고 표면활성물질 치료군에 비해 비치료군의 IL-$1{\beta}$농도가 높았다(p<0.05). 기관지폐포세척액의 IL-6 농도는 대조군, 표면활성물질 치료군, 비치료군에서 각각 $49{\pm}62pg/ml$, $1,754{\pm}1,340pg/ml$, 그리고 $3,621{\pm}567pg/ml$으로 대조군에 비해 표면활성물질 치료군이, 그리고 표면활성물질 치료군에 비해 비치료군의 농도가 높았다(p<0.05). 표면활성물질 치료군과 비치료군 사이에서 호중구의 NF-${\kappa}B$ 활성화에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연구로 내독소의 기관 내 투여로 유발한 백서의 급성폐손상에서 기관 내로 투여한 표면활성물질은 기관지폐포세척액의 백혈구수와 염증매개 사이토카인인 IL-$1{\kappa}$ 그리고 IL-6의 농도를 감소시켜 폐포 내의 염증을 감소시켰으며, 표면활성 물질의 항염증작용은 NF-${\kappa}B$의 활성의 억제를 통하여 이루어지지는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Background : The therapeutic effects of surfactants on acute lung injury derive not only from their recruiting action on collapsed alveoli but also from their anti-inflammatory action in the alveolar sapce. This study evaluated the anti-inflammatory action of a surfactant in an acute lung injury model of rats by neutrophils were recollected from the BAL fluid and the NF-${\kappa}B$ activity of the neutrophilic nuclear protein was evaluated. Methods : Male Sprague-Dawley rats weighing approximately 300 gram were divided into 3 groups, which consisted of 6 rats respectively. In the control group, normal saline(3ml/kg) was instilled into the trachea twice with 30 minute interval. In two other groups, acute lung injury was induced by the intra-tracheal instillation of LPS(5mg/kg). Thirty minutes later, either a surfactant(ST group; 30mg/kg) or normal saline(NT group: 3ml/kg) was instilled via the trachea. Twenty-four hours after the LPS instillation, the BAL fluid was retrieved to measure the WBC count and cytokine(IL-$1{\beta}$ and IL-6) levels. The neutrophils were isolated from the BAL fluid and the nuclear protein was extracted to evaluate the NF-${\kappa}B$ activity using a eletrophoretic mobility shift assay(EMSA). Results : The WBC count of the BAL fluid of the ST group($3,221{\pm}1,914{\times}10^3/{\mu}l$)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356{\pm}275{\times}10^3/{\mu}l$)(p<0.05) and lower than that of the NT group($5,561{\pm}1,757{\times}10^3/{\mu}l$)(p<0.05)). The BAL fluid level of IL-$1{\beta}$ from the NT group($2,064{\pm}1,082pg/ml$)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ST group($360{\pm}234pg/ml$)(p<0.05) and the control group(0pg/ml)p<0.05) and control group($49{\pm}62pg/ml$)(p<0.05). The NF-${\kappa}B$ activity of the neutrophilic nuclear protein in the ST group and NT group was similar. Conclusion : The surfactant, attenuates the alveolar inflammation in the acute lung injury of rats model. However, its anti-inflammatory action does no't appear to be mediated by the inhibition of NF-${\kappa}B$ activity.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