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ng distant metastasis

검색결과 168건 처리시간 0.018초

소세포 폐암에서의 위 전이 2예 (Two Cases of Gastric Metastasis from Small Cell Lung Cancer)

  • 유광하;김형중;안철민;이세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273-280
    • /
    • 1999
  • 저자들은 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된 환자에서 오심 구토 혈변등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여 상부 위 내시경 검사 및 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위장으로의 전이를 확인한 2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폐, 심장, 뇌에 전이되어 재발된 간모세포종 1례 (A case of recurrent hepatoblastoma : lung, heart and brain metastasis)

  • 박선미;최병규;김여향;김흥식;권태찬;이희정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6호
    • /
    • pp.691-695
    • /
    • 2006
  • 간모세포종은 15세 이하 연령에서 발생하는 간암 중 가장 흔하며 대부분 5세 미만에 발병된다. 진단시 폐전이가 동반되는 경우가 약 10%가 되나 심장이나 중추신경계에 전이된 보고는 상당히 드물며 예후도 좋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들은 약 4년 반 전 간모세포종으로 진단 받고 항암화학요법과 수술적 절제 후 추가 항암치료를 마치지 않고 추적관찰이 소실되었으나 그동안 무병 상태로 지내오다 폐와 좌측 심장, 중추신경계에 다발적으로 재발되어 다시 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를 시작한 후 호전을 보였으나 사정상 치료가 중단되어 있는 6세 여아에 대해 보고하는 바이다.

기관지 암양종 (Carcinoid) 수술치험 1례 보고- (Bronchial Carcinoid - One case report -)

  • 박형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21권3호
    • /
    • pp.601-606
    • /
    • 1988
  • Bronchial carcinoid was classified as one of the bronchial adenoma group and it was regarded as benign tumor because of its uniform histologic feature, predictable clinical course and good survivability after surgical resection. But recently, many authors described that bronchial carcinoid has low grade malignancy for its lymphatic spread and distant metastasis, especially atypical carcinoid. We had a case of typical bronchial carcinoid in 20 year old female patient, and successful operation was performed by bilobectomy of middle and lower lob of right lung.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and discharged without any complication.

  • PDF

Mucoepidermoid Carcinoma 치험 1예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lung)

  • 백광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19권3호
    • /
    • pp.484-488
    • /
    • 1986
  • Mucoepidermoid carcinoma is one of bronchial adenoma which arising from submucosal gland or mucosal gland of lower respiratory tract. The symptoms of the tumor were produced by bronchial irritation and bronchial obstruction such as coughing, pneumonitis, and atelectasis. The malignancy potency of this tumor was determined by histologic pattern but high grade malignancy was uncommon and so distant metastasis was rare. Three treatment modality such as surgery, radiotherapy, chemotherapy were used for treatment but radiotherapy and chemotherapy were lesser effective than surgery. So Early and radical resection of tumor was recommended. Here we report one case of mucoepidermoid carcinoma which treated with radical resection.

  • PDF

폐에 발생한 점막 표피양 종양 - 1예 보고 - (Mucoepidermoid Carcinoma of the lung -A case report -)

  • 윤경찬;박이태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7권1호
    • /
    • pp.92-94
    • /
    • 2004
  • 폐에 발생하는 점막 표피양 종양은 매우 드물며, 대부분 주로 주기관지에서 발생한다. 증상은 주로 기관 자극이나 폐쇄에 의해 발생된다. 점막 표피양 종양이 원격전이 되는 경우는 흔하지 않다. 치료는 수술적 제거가 원칙이며 예후는 종양의 조직학적 소견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 저자의 경우 우중엽에 발생한 점막 표피양 종양을 우중엽절제술로 치험하여 양호한 결과를 보였기에 이에 보고하는 바이다.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salivary ductal carcinoma: a single institution experience

  • Kim, Tae Hyung;Kim, Mi Sun;Choi, Seo Hee;Suh, Yang Gun;Koh, Yoon Woo;Kim, Se Hun;Choi, Eun Chang;Keum, Ki Chang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125-131
    • /
    • 2014
  • Purpose: We reviewed treatment outcomes and prognostic factors for patients with salivary ductal carcinoma (SDC) treated with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from 2005 to 2012.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16 patients were identified and 15 eligible patients were included in analysis. Median age was 61 years (range, 40 to 71 years) and 12 patients (80%) were men. Twelve patients (80%) had a tumor in the parotid gland, 9 (60%) had T3 or T4 disease, and 9 (60%) had positive nodal disease. All patients underwent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Postoperative radiotherapy was delivered using 3-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or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Locoregional failure-free survival (LRFFS), distant failure-free survival (DFFS),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Differences in survival based on risk factors were tested using a log-rank test. Results: Median total radiotherapy dose was 60 Gy (range, 52.5 to 63.6 Gy). Four patients received concurrent weekly chemotherapy with cisplatin. Among 10 patients who underwent surgery with neck dissection, 7 received modified radical neck dissection. With a median follow-up time of 38 months (range, 24 to 105 months), 4-year rates were 86% for LRFFS, 51% for DFFS, 46% for PFS, and 93% for OS. Local failure was observed in 2 patients (13%), and distant failure was observed in 7 (47%). The lung was the most common involved site of distant metastasis. Conclusion: Surgery and postoperative radiotherapy in SDC patients resulted in good local control, but high distant metastasis remained a major challenge.

Mucoepidermoid Carcinoma with Distant Metastases to the Kidney, Adrenal Gland, Skull and Gluteus Maximus Muscle: a Case Report

  • Son, Sang-wook;Lee, Kye-ho;Lee, Jai Hyuen;Myong, Na-Hye;Yoo, Dong-soo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20권1호
    • /
    • pp.66-70
    • /
    • 2016
  • Introduction: Distant metastases of mucoepidermoid carcinoma (MEC) are reported with the most common sites being the soft tissue of skin, lung, liver, and bone. We report here a very rare case of MEC with multiple metastases to the kidney, adrenal gland, skull and gluteus maximus muscle. Case report: A 63-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left-sided headache. Radiologic evaluations including CT and MRI showed ill-defined soft tissue lesion involving the left infratemporal fossa and left sphenoid sinus, and multiple enlarged lymph nodes in neck and mediastinum. PET-CT demonstrated multiple hypermetabolic lesions in and around the left kidney, left adrenal gland, right ischium, right gluteus maximus and skull base. These lesions were confirmed as MEC with multiple metastases through biopsy. Discussion: Only one case of metastasis to the skull has been previously reported, and moreover, there has not been a case of metastatic MEC to the kidney, adrenal gland and gluteus maximus muscle so far in the medical literature. It is important to acknowledge the possibility of every unusual MEC metastases, since the presence of metastasis h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urvival of MEC.

폐 편평세포암에서 자발성 아포토시스와 원격전이 (Spontaneous Apoptosis and Metastasis in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ung)

  • 오윤경;기근홍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3호
    • /
    • pp.203-208
    • /
    • 1999
  • 목적 : 폐암 환자의 대부분은 진단 당시 수술을 받을 수 없는 병기로 발견되기 때문에 수술 조직이 아닌 기관지내시경 조직에서 자발성 아포토시스 정도를 평가하여 이의 임상적 의의에 대한 기초 자료로 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0년 9월부터 1994년 9월까지의 4년동안 흉부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폐 편평세포암 환자 중 조직표본이 충분히 보관되어 있으며 추적이 가능하였던 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병기는 II기가 1명, IIIa기 8명, IIIb기 5명, IV기 5명이었다. 면역조직화학적 염색법으로 자발성 아포토시스율(Al)과 p53 단백질 양성률을 관찰하였다. 결과 : 19명 중 16명은 $5\~15$ 개월 후에 사망하였으며 3명은 55, 67, 67 개월간 생존하고 있다. 중앙생존기간은 17개월, 평균 생존기간은 24 개월이었다. AI는 $0\~1\%$의 범위로 중앙값이 $0.4\%$였다. AI가 낮은 군에서 진단 당시 원격전이가 있었던 경우가 $50\%$ (5/10) 였고, 높은 근에서는 원격전이가 전혀 없었다(0/9). 생존기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예후인자들의 분석 결과 단변량 분석에서는 M병기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다변량 분석에서는 AI, 화학요법, M병기, T병기, 병기가 의의가 있었다. 자발성 아포토시스와 p53 변이 사이의 관련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론 : AI는 진단 당시 원격전이와 관련이 있으며, p53 변이와는 관련이 없었다. AI가 낮은 군에서 높은 군보다 생존기간이 짧은 경향을 보였다.

  • PDF

비소세포 폐암의 병기에 있어 통상적인 골 스캔의 역할 (The Role of Bone Scans in Routine Preoperative Evaluations of Non-Small Cell Lung Cancer Patients.)

  • 김영태;홍장미;이재익;이정상;성숙환;김주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5권9호
    • /
    • pp.659-663
    • /
    • 2002
  • 이 논문은 비소세포폐암으로 새로이 진단 받은 환자에서 수술 전 병기판정에 통상적으로 골 스캔의 유용성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대상 및 방법: 서울대병원에서 2000년 1월부터 12월까지 비소세포 폐암으로 진단 받은 환자 25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병기는 과반수에서(132명) 수술이 불가능할 정도로 진행된 상태였다. 골 원격전이의 임상 평가 항목으로 증상, alkaline phosphatase, calcium 등을 채택하였고 모든 환자의 골 스캔 결과를 검토하여, 각각의 민감도, 특이도, 음성 예측률, 양성 예측률을 산출하였다. 최종적인 골 전이의 판단은 일반 X-lay나 MRI 또는 골 생검을 기준으로 하였다. 골 전이만 없다면 수술이 가능한 (“potentially operable”)환자 126명의 임상 경과를 따로 분석하여 수술 대상 환자에서 골 전이에 대한 임상 평가의 중요성을 검토하였다. 결과: 골 전이에 대한 골 스캔의 민감도는 96%, 특이도는 75% 양성 예측률은 44%, 음성 예측률은 99%였고, 골 스캔에 대한 임상 평가의 민감도, 특이도, 양성 예측률, 음성 예측률은 각각 54%, 73%, 54%, 72%였다. 골 전이에 대한 임상 평가의 경우는 80%, 70%, 38%, 94%였다. 골 전이만 배제하면 수술이 가능하였던 “potentially operable”군 환자 126명에서 골 전이에 대한 임상 평가의 음성 예측률은 99%였다. 결론: 폐암 진단 당시 병기 결정에 있어서, 골 전이에 대한 철저한 임상 평가가 필수적이다. 특히 골 전이 외에 다른 수술 불가능 요인이 없는 환자군에서 임상 평가 결과 특이사항이 없을 경우 골 전이의 확률이 매우 낮아, 통상적인 골 스캔 없이도 근치적 수술을 고려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임상 평가 결과 양성인 경우에는 약 30% 이상의 환자에서 골 전이가 발견되므로 골 전이를 발견하기 위한 골 스캔은 물론 다른 여러 가지 진단법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

Late-Onset Distant Metastatic Upper Urinary Tract Urothelial Carcinoma Mimicking Lung Adenocarcinoma

  • Lim, Jun-Hyeok;Jeon, Sang Hoon;Lee, Jeong Min;Kim, Lucia;Cho, Jae Hwa;Ryu, Jeong-Seon;Kwak, Seung Min;Lee, Hong Lyeol;Nam, Hae-Seong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75권1호
    • /
    • pp.32-35
    • /
    • 2013
  • Urothelial carcinomas (UCs) can occur in the upper urinary tract or lower urinary tract. Upper urinary tract urothelial carcinoma (UUT-UC) is relatively a rare disease and accounts for only about 5% of UC cases. Sporadic cases of late-onset metastasis, associated with UC of the bladder, have occasionally been reported. In contrast, no late-onset distant metastatic UUT-UC without local recurrence has,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been reported in the English literature. We report an extremely rare case of distant metastatic UC, mimicking lung adenocarcinoma that originated from UUT-UC 12 years previous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