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mbosacral spine

검색결과 67건 처리시간 0.028초

대맥(帶脈) 및 그 유주상(流注上) 회합(會合)하는 경혈(經穴)에 대한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Study on Dai Meridian(帶脈) and Meridian Points(經穴) of Joining with Circulation of Dai Meridian through Literatures of Every Generation)

  • 양승정;진천식;조명래
    • Korean Journal of Acupuncture
    • /
    • 제18권1호
    • /
    • pp.105-116
    • /
    • 2001
  • We examined and referred to some literatures on the meaning, Dai meridian and Meridian points of joining with circulation of Dai meridian through literatures of every generation. And then we came to get a few conclusions as follows. 1. Dai meridian starts below the hypochondriac region. Running obliquely downward, it runs transversely around the waist like a belt. Its function is to bind up all the meridians to circulate in a proper way. 2. The coalescent points of dai meridian are $D\grave{a}im\grave{a}i$(帶脈), $W\check{u}sh\bar{u}$(五樞) and $W\acute{e}id\grave{a}o$(維道). 3. Location of $D\grave{a}im\grave{a}i$(帶脈) is on the lateral side of the abdomen, 1.8 cun below $Zh\bar{a}ngm\grave{e}n$(章門), at the crossing point of vertical line through the free end of the 11th rib and a horizontal line through the umbilicus. Location of $W\check{u}sh\bar{u}$(五樞) is on the lateral side of the abdomen, anterior to the anterosuperior iliac spine, 3 cun below the level of the umbilicus. Location of $W\acute{e}id\grave{a}o$(維道) is on the lateral side of the abdomen, anterior and inferior to the anterosuperior iliac spine, 0.5 cun anterior and inferior to $W\check{u}sh\bar{u}$(五樞). 4. Indication of $D\grave{a}im\grave{a}i$(帶脈) is irregular menstruation, leukorrhea with reddish discharge, hernia, pain in the lumbar and hypochondriac region. Indication of $W\check{u}sh\bar{u}$(五樞) is prolapse of the uterus, leukorrhea with reddish discharge, irregular menstruation, hernia, pain in the lower abdomen, constipation and lumbosacral pain. Indication of $W\acute{e}id\grave{a}o$(維道) is edema, pain in the side of the lower abdomen, prolapse of the uterus, hernia and morbid leukorrhea. 5. The Dai meridian binds all meridians, produces pregnancy, grasps lumbar and abdomen region and controls leukorrhea. 6. Diseases of the Dai meridian manifested as distention and fullness in the lumbar region and abdomen, leukorrhea with reddish discharge, pain the navel, lumbar and spinal regions, flaccidity and hypoactivity of the lower limbs, etc.

  • PDF

복합적으로 병발한 등-허리, 허리-엉치 이행부위 증후군에 대한 증례를 통한 고찰 (The Case Study on Thoraco-lumbar junction and Lumbo-sacral junction Transitional Zone Syndrome.)

  • 황은미;정민규;박영회;금동호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13-125
    • /
    • 2010
  • 2009년 10월 08일부터 2009년 11월 05일까지 동국대학교 분당한방병원 한방재활의학과에 입원한 요통, 양둔통, 골반통을 호소하며 MRI상 T12-L1의 추간판 탈출증을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통증의 특징과 이학적 검사상 등-허리, 허리-영치 이행부위 증후군으로 진단하고 침치료 및 요추 굴곡신연기법을 사용하여 치료한 결과 주소증과 이학적 검사상의 호전을 거두었다. 등-허리, 허리-영치 이행부위는 형태적, 역학적, 구조적, 생리적으로 다른 부위에 비하여 쉽게 손상될 수 있으며, 척추 분절의 이상은 각 분절의 후일차가지가 지배하는 영역의 통증과 이상반응을 일으키는데 등-허리, 허리-영치 이행부위 증후군에서 각 이행부위의 이상은 요부, 둔부, 서혜부, 골반에서 공통의 통증 영역을 가진다. 또한, 등-허리, 허리-영치 이행부위는 서로 구조적,기능적, 신경생리학적으로 밀접한 연관을 가지며, 한 이행 분절의 이상은 다른 이행 분절의 병적상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더불어, 수기요법 이외에 요부의 혈위를 활용한 척추신경의 후일차가지가 지배하는 영역의 인대와 근육을 목표로 한 침치료 역시 이행부위 증후군의 치료에 있어 효과적이라고 생각된다.

  • PDF

요천추신경병증에 대한 심부협척 도침술과 한의통상치료의 효과 비교: 안전성, 유효성, 경제성평가: 연구 프로토콜 (A Comparative Study of a Deeply-inserted Acupotomy Applied to Hyeopcheok Points and Usual Korean Medicine Treatments for Lumbosacral Radiculopathy: Safety, Effectiveness, Cost-effectiveness: A Study Protocol)

  • 허인;이진현;고연석;조동찬;김영일;이상현;황의형;박태용;황만석
    • 척추신경추나의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69-77
    • /
    • 2021
  • 연구 배경 최근 한국 및 중국에서 근골격계 질환에 대한 도침술의 활용이 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의 임상연구는 대부분 증례보고 형태에 그치거나, 충분한 근거가 확보되지는 않은 실정이다. 우리는 요천추신경병증환자의 치료에 있어 도침치료와 통상한의치료와의 비교를 통해 도침치료의 유효성, 안전성, 경제성 평가를 시행하기 위해 본 연구를 기획하게 되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예비임상 연구로, 다기관에서 진행되며, 무작위대조군, 활성 대조군을 통한 2개군 병행집단 연구로 평가자 맹검을 시행하게 된다. 이 연구에서는 총 50명의 요천추신경병증 환자를 대상으로 2개군으로 균등하게 분배하여 도침술 또는 통상한의치료를 시행하게 된다(각군당 25명). 도침술 그룹의 경우 협척혈에 도침치료를 시행 받게 되며, 통상 한의치료군은 연구자 판단하에 도침술을 제외한 적절한 한의치료를 시행 받게 된다. 두 개의 그룹은 주당 2회씩 총 3주간 치료를 받게 된다. 일차 유효성 평가는 요통으로 인한 기능장애를 평가하기 위한 Oswestry disability index를 통해 시행한다. 이차 유효성 평가지표로는 numeric rating scale, European Quality of Life 5-Dimension 5-Level, short-form McGill Pain Questionnaire, Roland-Morris Disability Questionnaire scores를 시행하게 된다. 고찰 본 예비임상연구의 결과는 추후 있을 요천추신경병증에 대한 도침치료 및 한의통상치료 비교효과 연구의 유효성, 경제성평가 본 임상연구를 위한 기초 정보 및 가능성을 확인하고 적절한 대상자수 산정에 도움이 될 것이다.

새롭게 개발한 요천추 보조기의 과제 수행 중 척추의 고정효과와 복부압력 (Immobilization Effect and Abdominal Pressure of Newly-Developed Lumbosacral Spinal Orthosis during Task Performance)

  • 전경수;양희승;장수웅;신희동;이윤경;이영;이슬빛나;안동영;심우섭;조민;조규직;박동범;박관수
    • Clinical Pain
    • /
    • 제19권2호
    • /
    • pp.70-79
    • /
    • 2020
  • Objective: We evaluated the efficacy of a newly-developed spinal orthoses (V-LSO) by comparing the stabilizing effect, abdominal pressure, and comfort of 3 different semirigid LSOs (classic LSO, V-LSO, and Cybertech®) during various body movements. Method: Thirty healthy volunteers (23~47 years, 24 males, 6 females) were selected. A dual inclinometer measured the range of motion (ROM) while the participants performed flexion/extension and lateral flexion of the lumbar spine with 3 LSOs. The LSO's pressure on the abdominal surface was measured using 9 pressure sensors while lying, sitting, standing, flexion/extension, lateral flexion, axial rotation, and lifting a box. Comfort and subjective immobilization were analyzed by a questionnaire. Results: V-LSO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flexion over Cybertech®.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during extension and lateral flexion between the 3 LSOs. The abdominal pressure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while supine. While sitting, standing, and lifting a box, the mean abdominal pressure for V-LS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for Cybertech®. During lumbar flexion, the mean abdominal pressures for classic LSO and V-LSO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Cybertech®. For extension, lateral flexion and axial rotation, the abdominal pressure for V-LSO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classic LSO and Cybertech®. In the subjective analysis, V-LSO and Cybertech® scored best for comfort. Conclusion: The V-LSO and Cybertech® were more comfortable than the classic LSO, and hence, may have improved compliance with decreased discomfort. V-LSO may be superior to the other LSOs in restricting lumbar movement and increasing intraabdominal pressure.

소아 척추 결핵: 투약 후의 병의 정지와 치유점, 그리고 후만 변형 (Spinal Tuberculosis in Children: Predictable Kyphotic Deformity after Cure of the Tuberculosis)

  • 문명상;김동현;김상재;문한림;김성수;김성심
    • 대한정형외과학회지
    • /
    • 제52권1호
    • /
    • pp.73-82
    • /
    • 2017
  • 목적: 화학요법만으로 치료한 소아 척추 결핵 환아들에서의 후만의 경시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2세부터 15세 사이의 101명을 대상으로 하여 후향적으로 단순 방사선 영상과 소수에게서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하여 치료 시작 시와 치료 종결 시의 잔존 성장판에 의한 후만 변형의 변화를 살폈다. 결과: 영상상 초진 시 추간판의 완전 파괴로 판정한 예들은 경추의 경우 40명 중 2명(5.0%), 흉추 내에서는 30명 중 8예(26.7%), 그리고 요천추에서는 31명 중 6명(19.4%)이었다. 나머지 예들에서는 성장판이 완전하게 또는 부분적으로 잔존하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101명 중 후만 변형이 변치 않고 유지된 경우는 20명(19.8%), 후만각 감소 예는 14명(13.9%), 그리고 후만각의 증가 예는 67명(66.3%)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반수 이상의 환아에서 치료 시작 시점에서 이미 병이 심히 진행되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후만 변형의 진행 여부는 일차적으로 치료 시작 시점에서 예측 가능하나 그 정확도가 떨어지므로 후만 변형의 변화의 보다 정확한 증거를 확인할 수 있는 투약 종료 시점에서 실시할 것을 권한다. 진행형과 자연 교정군에서는 성장 종료 시까지의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말총의 원발성 T세포 림프종에서 MR 영상 소견: 증례 보고와 문헌 고찰 (MR Imaging Characteristics of Primary T-Cell Lymphoma of the Cauda Equina: A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 김영욱;이근영;김수진;송광섭;김희성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6호
    • /
    • pp.1613-1618
    • /
    • 2021
  • 중추신경계의 원발성 림프종은 비호지킨림프종의 드문 형태이다. 그중에서도 말총의 원발성 T세포 림프종은 극히 드물다. 이 증례 보고는 4개월 전부터 시작된 허리통증과 하지방사통을 주소로 내원한 56세 여성의 증례에 대한 것이다. 요추 MRI에서 10 cm 크기의 길다란 다결절의 경막 내 병변이 4번 요추에서부터 2번 미추까지 있었으며 T1 강조영상에서는 등신호강도이고 T2 강조영상에서는 비균질적인 등신호강도와 고신호강도, 가돌리늄 조영증강 T1 강조영상에서는 비균질적인 강한 조영증강을 보였다. 말총 종괴에 대한 수술적 경막 내 생검을 시행하였고 면역조직화학염색과 T-cell receptor gamma 유전자 재배열 분석을 통한 진단은 말총의 말초 T세포 림프종이었다.

보존적 치료 중인 단분절 요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로 전환과 관련된 연관 인자 (Factors Associated with Conversion from Conservative to Surgical Treatment in Single-Level Lumbar Spinal Stenosis Patients)

  • 안영준;임세혁;박병규
    • 대한척추외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60-168
    • /
    • 2018
  • 연구 계획: 전향적으로 수집된 자료의 후향적 연구. 목적: 보존적 치료 중인 단분절 요추관 협착증 환자에서 수술적 치료로 전환과 관련된 연관 인자에 대한 분석 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선행 문헌의 요약: 지금까지 척추관 협착증 환자의 수술 및 비수술적 치료 후 임상 결과와 예후에 대한 다양한 보고가 있어 왔다. 그러나 보존적 치료 중 수술적 치료로의 전환을 예측할 수 있는 요인에 대한 보고는 드물다. 대상 및 방법: 2010년 5월부터 2015년 5월까지 본원을 방문한 단분절 요추관 협착증 환자 중 3개월 간의 보존적 치료 후 수술을 권유 받고 최소 3년 이상 추적이 가능하였던 환자 40예를 대상으로, 수술을 받은 20예와 보존적 치료를 통해 수술을 받지 않은 20예를 분석해 수술 전환과 관련된 연관인자들을 조사하였다. 임상적 평가는 설문지를 통해 시행하였고, 영상 검사로 수술 권유 전 마지막으로 촬영된 자기 공명 영상에서 척추관 면적과 요추부 근육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자기 공명 영상을 사용하여 측정한 환자들의 척추관 면적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2그룹을 비교한 결과 수술군은 $81.40({\pm}53.61)mm^2$, 비수술군은 $127.75({\pm}82.55)mm^2$로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좁았다(p=0.042). 요추부 근육량은 수술군은 $5.17({\pm}1.30)cm^2$, 비수술군은 $6.40({\pm}1.56)cm^2$로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적었다(p=0.010). 설문지 항목 중 외상에 의한 반복적인 요추부 염좌와 헬스는 수술군에서 유의하게 많았다(p=0.047, p=0.037). 그러나, 요추부 스트레칭을 지속적으로 시행한 환자는 비수술군에서 더 많았다(p=0.028). 결론: 보존적 치료 중 수술적 치료 전환 과 관련된 연관 인자들로는 척추관 면적이 좁은 경우, 요추부 근육량이 적은 경우, 헬스를 하는 경우, 반복적인 요추부 외상이 있는 경우와 요추부 스트레칭을 안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 중 적은 요추부 근육량은 수술적 치료 전환과 관련된 중요 인자로 고려해 볼 수 있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