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umbar lateral projec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19초

The Image Resolution Compare to Having Lead Plate or Not Lumbar Lateral Projection

  • Kim, Hyun-Soo;Min, Jung-Whan;Dong, Kyung-Rae
    • 대한디지털의료영상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45-151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some changes of resolution and image if we remove scattered ray using lead plate when doing lumbar lateral projection. Using 3 DR system(2 FD types, 1 CCD type) equipments and 2 film system equipments, we gain the image whether the phantom of abdomen equivalent sticking resolution chart has lead plate or not, whether we do collimation or not. Also, we use ion chamber, measure radiation exposure rate and change to entrance surface dose from it. we gain that images in the greatest condition of taking in clinic. 5 people in this group decoded resolution with our eyes, measured thickness of images and compared them from each equiments. Resolution has difference to size of collimation in DR FD type. Also there is no difference the original image with the new image which we abbreviated mAs. In DR CCD type, resolution didn't have difference whether lead plate is or not and whether we do collimation or not. In film type, existing or nonexisting of lead plate didn't influence on resolution. Lead plate makes the quality of image higher due to reducing scattered ray, it doesn't influence on resolution.

  • PDF

Distribution of Neurons in the Lateral Reticular Nucleus Projecting to Cervical, Thoracic, and Lumbar Segments , of the Spinal Cord in the Rat

  • Lee, Hyun Sook
    • Animal cells and systems
    • /
    • 제4권4호
    • /
    • pp.353-359
    • /
    • 2000
  • Location of the neurons in the lateral reticular nucleus projecting to dorsal horn of the cervical, thoracic, or lumbar spinal cord was investigated in the rat using the technique of retrograde transport of horseradish peroxidase. The projection was bilateral with ipsilateral predominance. Neurons projecting to the cervical spinal cord were located near the medial, dorsal, and lateral perimeter of the magnocellular division of the lateral reticular nucleus, whereas cells projecting to the thoracic and lumbar spinal cord were localized in the medial and dorsal boundaries of the magnocellular division. The labeled neurons were distinctly multipolar in shape and measured approximately 10-15 $\mu m$ in their greatest transverse diameter. A few neurons were also observed in the subtrigeminal nucleus, whereas few cells were in the parbocellular division. These observations provide an anatomical substrate for the functional implication of the lateral reticular nucleus in the regulation of spinal nociceptive transmission and vascular hemodynamics via the descending pathway into the spinal cord.

  • PDF

유리선량계를 이용한 요추검사의 장기선량 및 영상의 평가 (Evaluation on Organ Dose and Image Quality of Lumbar Spine Radiography Using Glass Dosimeter)

  • 김재겸;김정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1호
    • /
    • pp.1-11
    • /
    • 2016
  • 본 연구는 디지털 방사선촬영 시스템에서 요추검사 시 조사야 크기에 따른 주변 장기선량과 요추 영상의 화질 변화를 정량화하여 의료피폭 저감화를 위한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요추검사 시 조사야 크기는 $8^{\prime\prime}{\times}17^{\prime\prime}$에서 $14^{\prime\prime}{\times}17^{\prime\prime}$ 크기까지 변화하였으며, RANDO 팬텀을 대상으로 요추 전-후방향, 측방향 검사를 실행하였다. 장기선량은 간, 위, 췌장, 신장, 생식선을 선택하여 유리선량계로 측정하였으며, Image J로 영상 분해능을 비교 분석하였다. 전-후방향 촬영에서 요추의 주변 장기선량은 조사야 크기가 작아짐에 따라 감소하였으나, 생식선에서는 조사야의 가로축 길이가 1" 작아질 때마다 3.83%로 감소율의 변화가 없었다. 측방향 촬영에서 간, 신장과 같이 표면과 가까운 장기에서 장기선량은 높은 선량이 나타났으나, 조사야의 가로축 길이가 1" 작아질 때마다 감소율이 5% 이내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식선에서는 조사야의 가로축 길이가 1" 작아질 때마다 감소율이 24.34%로 나타났다. 조사야 내, 외부에 대한 선량 차이는 간에서 $549.8{\mu}Gy$, 위에서 $264.6{\mu}Gy$로 감소하였으나, 생식선에서는 평균 $1,135.1{\mu}Gy$로 큰 변화가 없었다. 조사야 크기에 따른 영상은 전-후방향 촬영에서 $9^{\prime\prime}{\times}17^{\prime\prime}$, 측방향 촬영에서 $10^{\prime\prime}{\times}17^{\prime\prime}$ 이하의 크기에서 30 dB 이상으로 영상의 질적 차이를 구분할 수 없었다. 따라서 요추검사는 다른 검사 부위보다 주변장기들이 많이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환자의 피폭선량을 줄이고 양질의 영상을 얻기 위하여 조사야 크기 설정에 관한 권고기준안이 제시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X선 촬영시 테이블 주변 촬영도움자의 피폭선량 측정 (The Measurement of Helper's Exposure Dose of nearby Radiographic Table in X-ray Examination)

  • 은성종;김성길;민병운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5권6호
    • /
    • pp.415-420
    • /
    • 2011
  • 본 연구는 방사선 일반 촬영시 촬영 도움자가 피폭받을 수 있는 테이블 주변의 산란선에 의한 피폭선량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두개부, 흉부, 복부, 요추부, 고관절, 그리고 슬관절 촬영시 테이블 중앙으로부터 옆으로 45cm, 75cm 떨어진 지점에서 바닥으로부터 70cm, 80cm, 130cm, 150cm 높이에서 산란선에 의한 피폭선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요추 측방향, 복부 정면, 그리고 고관절 촬영이 80cm 높이에서 $66.21{\mu}Sv$, $34.22{\mu}Sv$$32.35{\mu}Sv$로 가장 높은 피폭을 보였고, 흉부, 복부, 고관절, 두개부, 슬관절 순서로 선량이 감소하였다. 촬영 테이블 높이는 70cm 보다 80cm에서 대체로 높은 선량을 보였으며, 80cm 이상에서는 높이가 높아질수록 선량은 감소하였다. 측정된 선량들은 촬영 도움자가 납 방호복을 착용할 경우 일반인 연간 피폭선량한도인 1mSv와는 큰 차이가 있어 우려할 선량은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블라인드 테스트를 통한 요추 검사 시 조사 조건의 최적화 연구 (A Study on the Optimization of Exposure condition at Lumbar projection Using Blind Test)

  • 박지군;김교태;윤인찬;최일홍;정형진;강상식;노시철;정봉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6호
    • /
    • pp.389-39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일반 촬영 검사 부위 중 조사 조건이 가장 높은 요추 검사에서, 최적의 조사 조건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통계적으로 많이 이용하고 있는 조사 조건을 기준으로 선정하였고, 선량 변화 인자를 적용한 실험군을 선정하였으며, 환자선량 권고량을 활용하여 임상에 적합한 실험군을 선별하였다. 블라인드 테스트는 전문의 및 방사선사 10명에 의해 수행되었고, 결과 최적화된 조사 조건에서, 전후 방향 검사의 경우 2.09 mGy, 측방향 검사의 경우 4.42 mGy, 사방향 검사의 경우 3.65 mGy 만큼의 선량 저감화가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차후에는 환자의 상태에 따른 조사 조건의 최적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다각도 방사선촬영 및 투시법을 이용한 정상 고양이 장기의 형태학적 연구 (Morphological study on abdominal organs of healthy cats using omnidirectional radiography and fluoroscopy)

  • 신사경;히로세 츠네오;사토 모토요시;미아하라 카쯔노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949-966
    • /
    • 1996
  • 형태학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X-선 촬영 및 투시각도를 연구하기 위해서 전방향 방호X-선기와 소동물용 $360^{\circ}$ 회전형 보정장치를 이용하여 고양이의 복부장기를 대상으로 방사선 투시와 촬영을 병행하여 조사하였다. 조사한 장기는 횡격막, 간, 위, 결장, 비장, 신장이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횡격막은 $30^{\circ}$에서 $90^{\circ}$ 각도 사이에서 가장 선명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2. 간의 좌엽과 중간엽은 수평면의 $60^{\circ}$ 각도에서 관찰된 반면, 우엽은 수직면의 $60^{\circ}$ 각도에서 관찰되었다. 3. 위는 우측 $30^{\circ}$ 각도 복-좌배사면과 좌측 $60^{\circ}$ 각도 배-우복사면에서 가스가 존재할 때 특히 잘 관찰되었다. 4. 결장은 수평면의 $30^{\circ}$ 각도 이상에서는 자세히 관찰되었다. 5. 비장은 복배면과 우측 $60^{\circ}$ 복-좌배사면사이와 배복면과 좌-우외측면 사이의 각도에서 잘 관찰되었다. 6. 신장의 배쪽면과 등쪽면의 경우 수평면의 $30^{\circ}$ 각도에서 가장 잘 관찰되었다. 7.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의 결과는 고양이 각 장기의 이상유무 분석에 유용하게 사용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인태아 척수 외측운동주의 발육에 관한 전자현미경적 연구 (Electron Microscopic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Lateral Motor Column in the Spinal Cord of the Human Fetus)

  • 윤재룡;최태엽;남광일
    • Applied Microscopy
    • /
    • 제26권3호
    • /
    • pp.329-348
    • /
    • 1996
  • The prenatal development of lateral motor columns in the lumbar spinal cord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in human embryos and fetuses ranging from 9 mm to 260 mm crown-rump length ($5{\sim}30$ weeks of gestational age). At 9 mm embryo, the lateral motor column were developed from ventro-lateral projection into the marginal layer and composed of primitive neuroblasts. At 20 mm embryo the primitive motor neurons were packed closely together and could readly be distinguished from primitive glioblasts by a presence of large nuclei. The primitive multipolar neurons were observed in lateral motor column at 40 mm fetus. At 80 mm fetus multipolar neurons were characterized by their many dendrites and axons in the vicinity of motor neuron perikarya. At 260 mm fetus, the motor neurons were large and contained all intracytoplasmic structures in the cytoplasm which were also found in mature motor neuron in lateral motor column. The first axo-dendritic synapses found at 40 mm fetus and increased in number throughout fetal development. Axo-somatic synapses with spherical vesicles were first observed at 80 mm fetus. A few axo-somatic synapses were found at next prenatal stages. Axo-dendritic and axo-somatic synapses contained mixed populations of spherical and flattened vesicles by 120 mm fetus.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axo-dendritic synapses develop prior to axo-somatic synapses in the spinal cord during neurogenesis.

  • PDF

합곡과 대장의 중추신경로와의 연계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f the Central Neural Pathways to the Hapgok(LI4) and Large Intestine)

  • 이창현;정한솔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217-226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entral neural pathway of neurons following the projection to the large intestine and Hapgok(LI4) which is Won acupoint of the large intestine meridian of hand-yangmyeong. In this experiment, Bartha's strain of pseudorabies virus was used to trace central localization of neurons related with large intestine and acupoint(LI4) which has been known to be able to regulate intestinal function. The animals were divided into 3 groups: group 1, injected into the large intestine; group 2, injected into the acupoint(LI4); group 3, injected into the acupoint(LI4) after severing the radial, ulnar, median nerve. After four days survival of rats, PRV labeled neurons were identified in the spinal cord and brain by immunohistochemical method. First-order PRV labeled neurons following the projection to large intestine, acupoint(LI4) and acupoint(LI4) after cutting nerve were found in the cervical, thoracic, lumbar and sacral spinal cord. Commonly labeled neurons were labeled in the lumbosacral spinal cord and thoracic spinal cord. They were found in lamina V- X, intermediomedial nucleus and dorsal column area. The area of sensory neurons projecting was L5-S2 spinal ganglia and T12-L1 spinal ganglia, respectively. In the brainstem, the neurons were labeled most evidently and consistently in the nucleus tractus solitarius, area postrema, dorsal motor nucleus of vagus nerve, reticular nucleus, raphe nuclei(obscurus, magnus and pallidus), C3 adrenalin cells, parapyramidal area(lateral paragigantocellular nucleus), locus coeruleus, subcoeruleus nucleus, A5 cell group, periaqueductal gray matter. In the diencephalon, PRV labeled neurons were marked mostly in the arcuate nucleus and median emine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verlapped CNS locations are related with autonomic nuclei which regulate the functions of large intestine-related organs and it was revealed by tracing PRV labeled neurons projecting large intestine and related acupoint(LI4).

미니돼지에서 배설성요로조영술의 적용 (Excretroy Urography in the Minipig)

  • 정주현;장진화;최민철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9호통권89호
    • /
    • pp.1211-1216
    • /
    • 2007
  • 미니돼지에서 정상 방사선 해부학과 배설성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배설성요로조영술을 실시하였다. 오른쪽 신장과 왼쪽 신장은 각각 $T13{\sim}L4$, $T12{\sim}L3.5$에 위치하였으며, dhlsWHr 신장이 dhfmsWHr 신장보다 두측에 존재하였다. 신장의 길이와 너비는 복배상에서 각각 $8.50{\pm}0.58$ $(mean{\pm}SD)$, $4.30{\pm}0.39$ cm 이었다. 외측상에서 각각 $8.70{\pm}0.76$, $4.10{\pm}0.40$ cm 이었다. 신장의 길이는 너비의 약 두 배이었다. 두 번째 요추 몸퉁의 길이와 신장의 길이를 비교하였을 때, 복배상에서는 그 비율이 $3.62{\pm}0.30$, 외측상에서는 $3.63{\pm}1.10$로 측정되었다. 신우의 길이와 너비는 각각 $4.01{\pm}0.46$, 2.20{\pm}0.41$ cm 이었다. 콩팥잔의 길이와 너비는 각각 $0.49{\pm}0.06$, $0.10{\pm}0.01$ cm 이었다. 요관의 길이와 너비는 각각 $12.25{\pm}2.05$, 2.94{\pm}0.86$ cm 이었다. 콩팥조영사진은 3{\sim}5$분에 관찰되었고, 신우조영사진은 $5{\sim}15$분에 관찰되었다. 배설성요로조영술은 미니돼지 비뇨기계의 정상 방사선학적 해부와 배설성 기능에 대해 전반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간단한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