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birth-rate

검색결과 347건 처리시간 0.034초

인공호흡기 가습기 적용방법이 초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경비지속 기도 양압 환기법 유지기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Optimal Humidification for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s During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 김정숙;이은정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2호
    • /
    • pp.145-152
    • /
    • 2011
  •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Optimal humidification during Nasal Continuous Positive Airway Pressure (nCPAP) for Extremely Low Birth Weight Infant (ELBWI). Methods: The study design was a pre-test-post-test nonequivalent nonsynchronized quasi-experimental design. The participants were 218 ELBWI on nCPAP (experimental group: 102 and control group: 116).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January 2005 to April 2010. In order to measure and analyze the nCPAP duration, reintubation and nasal condition, Chi-square test and t-test were used. Results: Hypothesis 1, that the duration with nCPAP in the experimental group is long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and hypothesis 2-3, that the rate of reintubation and nasal problems in the experimental group are lower than the control group, were all supported a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Conclusion: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Optimal humidification in this study is an efficient intervention because it helps increase the last time of nCPAP with ELBWI and minimize complications. It is expected that Optimal humidification is beneficial and helpful in preventing and caring for respiratory problems in these infants.

Nutritional strategy of early amino acid administration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Lee, Byong Sop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3호
    • /
    • pp.77-83
    • /
    • 2015
  • Relative to a fetus of the same gestational age, very low birth weight (VLBW) infants are more likely to be underfed and to undergo growth restriction during their early hospital stay. The current trend towards "early and aggressive" nutritional strategies in VLBW infants aims to overcome the early nutritional deficiency and thereby boost postnatal catch-up growth, simultaneously improving long-term neurodevelopmental outcomes. Although the minimum starting amino acid (AA) dose to prevent negative nitrogen balance is well established, the upper limit and the rate of increase of early AA doses are controversial. Most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show that early and high-dose (target, 3.5 to 4.9 g/kg/day) AA regimens, with or without high nonprotein calories, do not improve long-term growth and neurodevelopment. High-dose AA supplementation may lead to early metabolic disturbances and excessive or disproportionate plasma AA levels, particularly in infants of very low gestational age. Further large studies are needed to clarify the optimal strategy for early administration of parenteral AA doses in VLBW infants.

일부 중.고등학교 및 대학교 여학생의 출산에 대한 태도와 관련 요인 (The Related Factors of Attitude toward Childbirth among Female Students in Junior, Senior High School, and University)

  • 팽기영;강영실;홍대용;김장락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2권2호
    • /
    • pp.63-73
    • /
    • 200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al information to establish a proper birth-encouraging policy in the future through the survey of the attitude towards childbirth and its related factors among female students in junior, senior high school, and university. Methods: A survey was performed for 2 weeks in June, 2006, for a total of 688 female students which included 185 ones in a girls' junior high school and 242 ones in a girls' senior high school in Sacheon, and 261 ones in two universities in Jinju.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developed by the authors included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attitude towards childbirth, the preference of a son for their future child, the belief on relative importance of family or work after marriage, the seriousness perception of low birth rate in Korea, frequencies of education in school about low birth rate. The attitude was measured by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To what degree do you think you are going to have a child(or children)?' Results: The proportion of positive attitude towards their future childbirth was 76.2% in junior high school, 63.9% in high school, and 82.8% in university students (p<0.01). In th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ignificant factors related with positive attitude towards future childbirth were school grade, preference of a son for their future children, and belief on relative importance of family or work after marriage. Conclusions: It suggests that the related factors with positive attitude towards future childbirth need to be considered to make a proper birth policy.

한국의 2005-2009년도 영아사망률 중에서 출생체중, 임신나이 별 구분에 따른 신생아 사망률의 비율 관찰 (Analysis of Infant Mortality Rate in Korea Concerning According to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from 2005 to 2009)

  • 조미진;고진희;정성훈;최용성;한원호;장지영;배종우
    • Neonatal Medicine
    • /
    • 제18권2호
    • /
    • pp.182-188
    • /
    • 2011
  • 목적: 한국에서 최근 신생아사망률(NMR), 영아사망률(IMR)는 주산기, 신생아, 소아과 의료의 발전으로 현저한 개선을 이루었다. 본 연구는 한국에서 최근 5년간 IMR 중에서 NMR가 차지하는 비율을 알아보아, NMR의 개선이 IMR의 감소에 미친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방법: 한국 통계청의 출생 자료 및 신생아 및 영아에 관련된 통계와 보고서의 자료를 기초로 하였다. 2005-2009년 간 한국에서 영아사망 중에서 신생아 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의 변화와 출생 시의 출생체중와 임신나이에 따른 분포별 사망이 영아사망에 차지하는 비율을 조사하였다. 결과: 2005-2009년 간 한국의 총 출생 수는 감소하였으나, 미숙아 수, 저체중출생아(LBWI) 수, 극수제체중출생아(VLBWI) 수는 증가하였다. 연도별 신생아 및 영아 사망 수, NMR, IMR는 감소하였다. 전체 영아사망 중에서 신생아사망이 차지하는 비율은 2005년 57.1%, 2009년 56.3%로 전체적으로 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신생아사망 중에서는 후기 신생아사망 보다는 조기 신생아사망의 비율이 높았다. 연도별로 출생 시 정상체중아, LBWI, VLBWI, 미숙아 사망 수는 감소추세 이었다. 전체 영아사망 중에서 출생 시 정상체중아에서 사망과 출생 시 LBWI 사망의 비는 2005년 42.1:57.9, 2009년 44.2:55.8, 전체 영아사망 중에서 출생 시 만삭아에서 사망과 미숙아 사망의 비는 2005년 42.9:57.1, 2009년 44.6:55.4로 LBWI, 미숙아의 사망이 높았다. 5년간 평균 수치의 출생체중별, 임신나이별 신생아 사망 비율도 관찰하였다. 결론: 한국에서 저출산 시대에 총 출생 수는 감소하고 있지만, 미숙아 LBWI의 빈도는 증가 추세이다. 한국에서 전반적인 연도별 전체 신생아 및 영아사망 수의 감소와 NMR, IMR의 개선과 IMR에서 NMR이 차지하는 비율의 감소 추세 등이 고무적이지만, 아직도 IMR에서 NMR의 비율은 반 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향후 한국에서 IMR의 보다 좋은 개선을 위하여 NMR의 지속적인 감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를 위해서 미숙아 LBWI, 이중에서도 고위험 신생아인 VLBWI와 임신나이 32주 미만의 미숙아의 예후를 더욱 향상해야 할 것이다. 본 자료를 향후 신생아 관리의 기초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2007년 한국의 전국 57개 종합병원에서 조사한 신생아 출생 및 신생아중환자실 사망률 통계보고 (Birth Statistics and Mortality Rates for Neonatal Intensive Care Units in Korea during 2007: Collective Results from 57 Hospitals)

  • 한원호;장지영;배종우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1호
    • /
    • pp.36-46
    • /
    • 2009
  • 목적 : 본 저자들은 국내 57개 병원을 대상으로 2007년 한 해 동안 원내출생아의 특성과 분포 및 신생아 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특성과 분포, 그리고 사망률을 조사하였다. 방법 : 2008년 3월 신샹아 중환자실을 갖춘 곳 중 전국 57개 개 병원으로부터 2007년 한해 동안 발생하였던 신생아 출생 및 사망에 관한 설문을 보내고 회신을 받아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그 내용에는 1) 원내 총 출생아의 재태기간별, 출생체중별 분포, 2) 신생아중환자실 입원 환자의 재태기간별, 출생체중별 분포 및 사망률이 포함되어 있었으며, 이 결과를 1996년 및 2002년에 조사되었던 한국의 결과와 비교하였다. 결과 : 총 40,433의 신생아 원내출생이 57개 병원으로부터 조사되었으며, 미숙아, 만삭아, 과숙아는 각각 24.2%, 75.6%, 0.2%의 출생빈도를 차지하였다. 또한, 저체중 출생아, 정상체중아, 과체중아는 각각 22.0%, 74.6%, 3.4%로 조사되었는데, 특히 국소 저체중출생아와 초극소 저체중출생아는 각각 4.6%와 1.7%이었다. 2007년 한 해 동안 전국 57개 병원의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입원치료를 받은 환자의 분포를 보면, 재태기간에 따라 조사된 총 인원수는 21,957명, 출생체중에 따라 조사된 총 인원수는 21,356명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의 사망률은 미숙아, 만삭아, 과숙아에서 가각 4.5%, 0.7%, 3.7%이었고, 특히 재태기간 32주 미만에서는 11.3%, 보다 작은 재태기간 28주 미만에서는 26%의 높은 사망률을 보이고 있었다. 1996년과 2002년의 국내 자료와 비교하여 보면, 미숙아, 저체중출생아, 초극소 저체중출생아의 출생수는 현저히 증가하고 있었으며, 이들의 사망률은 감소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 본 저자들은 과거 1996년과 2002년의 국내 조사 결과와 2007년의 본 연구 결괄ㄹ 비교해 보았을 때 미숙아, 저체중출생아와 초극소 저체중츨생아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들의 사망률은 현저히 감소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비록 한국 미숙아 진료의 결과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아직도 초미숙아의 사망률은 높기 때문에 이들의 치료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빈도와 생존율 및 예후 변화 (Changes in Incidence, Survival Rate and Morbidity of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김영옥;김선희;조창이;최영륜;국진화;황태주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8호
    • /
    • pp.769-776
    • /
    • 2003
  • 목 적 : 한 나라의 건강 지표로 중요한 의의를 갖는 영아 사망의 2/3는 신생아기에 일어나며 주로 저출생 체중아에 의한 것이다. 최근 신생아 집중치료의 발달로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생존율이 향상되는 추이여서, 본 연구는 1996년 부터 2001년까지 6년간 전남대학교병원에서 극소 저출생 체중아의 발생 빈도와 생존율 및 이환율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본 연구는 1996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전남대학교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했던 1,500 gm 미만의 극소 저출생 체중아 56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1996년부터 1998년까지를 전반기, 1999년부터 2001년까지를 후반기로 나누어 기간별 VLBWI의 생존율, 이환율 및 입원 기간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이를 또한 출생 체중과 재태 연령별로도 비교하였다. 생존 환아에서의 이환율은 '단기 질환'과 '장기 질환'으로 질환을 구분하여 비교하였고, 원내 출생아에서의 VLBWI 발생 빈도 및 기간별 변화, 기간별 주산기 인자와 생존율과의 상관관계, 사망 원인에 대해서도 조사하였다. 결 과 : 원내 출생 VLBWI의 발생 빈도는 총 8.3%이었으며 전반기 6.0%, 후반기 11.0%로 후반기에 그 빈도가 증가하였다. VLBWI 총 생존율은 76.8%이었으며, 전반기(71.8%)에 비해 후반기(80.1%)에 향상되었고, 특히 출생 체중 1,000-1,249 gm과 재태 연령 28-30주에서 개선되었다. 주산기 인자 중 후반기에 제왕 절개 분만이 증가하였고, 다태아에 비해 단태아일 경우, 질식 분만에 비해 제왕 절개 분만일 경우에 생존율이 증가하였다. 사망의 빈도는 생후 7일 이전 사망이 전체 사망의 58.8%로 가장 빈번하였다. 사망 원인으로는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이 주요한 원인이었고, 패혈증, 폐출혈 빈도순이었다. 이환율은 전반기(82.5%)에 비해 후반기(92.3%)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생존한 환아에서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총 이환율과 단기 이환율은 증가하였으나 장기 이환율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출생 체중 1,000-1,499 gm과 제태 연령 28-33주에서는 단기 이환율이 유의하게 후반기에 증가한 반면 오히려 장기 이환율은 감소하였다. 생존 환아에서 평균 입원 기간은 전반기에 비해 후반기에 유의하게 연장되지는 않았다. 결 론 : VLBWI의 빈도가 증가하고 생존율이 향상된 반면 이환율은 증가되었다. 그러나, 출생 체중 1,000-1,249 gm과 재태 연령 28-30주에서 현격한 생존율 증가와 함께 '단기 이환율'은 증가되었으나 오히려 '장기 이환율'은 감소하였다.

둘째 자녀 출산 희망에 대한 배우자간 차이와 이에 따른 집단간 특성 분석 (The Characteristics of Couples by Their Desires for a Second Child)

  • 천혜정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3권3호
    • /
    • pp.25-33
    • /
    • 2005
  • This study examines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married couples and their desire for a second child. Questionnaires were completed by 355 married men and women who have only one child currently. The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groups by their desire, or a lack thereof, for a second child. Group I consisted of married people who wanted to have another child, and whose spouse wanted the same. Members of Group II were in a marriage where only the wife wanted to have another child. Members of Group III were in a marriage where only the husband wanted a second child. Group IV consisted of participants who did not want another child, and whose spouse agreed with thor The research questions were (1) how different those four groups are in terms of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2) what are the reasons to stop having children and to have another child, and (3) what are the perceptions of the current low fertility rate in Korea, and the policies designed to increase birth rata The results indicate that wife' age, husband's educational level, expectant level of household economy, age at marriage, marriage duration and the time length between marriage and birth of the first chil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four groups. The reasons to stop having children were expected constraint of privacy and time, physical and psychological burden and economic pressure. The most pronounced reason for wanting another child was the desire to give their first child a sibling. Group III had more serious disagreement about having another child than did Group II.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four groups in the perceptions of possible consequences of the low birth rate. These perceptions included: undermined competitiveness of the nation and weakened family ties.

Implementation of the Feed and Swaddle Technique as a Non-Pharmacological Strategy to Conduct Brain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 Yoo, Yeong Myong;Park, Ji Eun;Park, Moon Sung;Lee, Jang Hoon
    • Neonatal Medicine
    • /
    • 제28권3호
    • /
    • pp.108-115
    • /
    • 2021
  • Purpose: Magnetic resonance imaging (MRI) is a useful tool for evaluating brain injury and maturation in preterm infants and often requires sedation to acquire images of sufficient quality. Infant sedation is often associated with adverse events, despite extreme precautions. In this study, the swaddling technique was investigated as an alternative non-pharmacological strategy to obtain brain MRIs of sufficient quality. Methods: We applied the feed and swaddle technique during routine brain MRI as a quality improvement project and compared its morbidity with that of sedation in a historic age-matched group. Seventy-nine very low birth weight infants in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of Ajou University Hospital (Suwon, Korea) were enrolled. Thirty-two (40.5%) infants were in the feed and swaddling group, and 47 (59.5%) were in the sedation group. Results: The morbidity associated with the cardiopulmonary system (swaddling group vs. sedation group: 53.13% [n=17] vs. 63.83% [n=30], P=0.723) and central nervous system (40.63% [n=13] vs. 29.79% [n=14], P=0.217)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The MRI failure rat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swaddling group vs. sedation group: 12.5% [n=4] vs. 4.3% [n=2], P=0.174). The MRI scanning time was longer in the swaddling group than in the sedation group (76.5±20.3 minutes vs. 61.5±13.6 minutes, P=0.001). Cardiopulmonary adverse events were significantly less common in the swaddling group than in the sedation group (3.13% [n=1] vs. 34.04% [n=16], P=0.002). Conclusion: The success rate of MRI was comparable between the swaddling technique and sedation. Furthermore, despite the drawback of prolonged scan time, cardiopulmonary adverse events are fewer with swaddling than with sedative agents. Therefore, swaddling can be an alternative to sedation or anesthesia when performing neonatal MRI scans.

The Long-Term Outcome and Rehabilitative Approach of Intraventricular Hemorrhage at Preterm Birth

  • Juntaek Hong;Dong-wook Rha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3호
    • /
    • pp.289-297
    • /
    • 2023
  • Technological advances in neonatology led to the improvement of the survival rate in preterm babies with very low birth weights. However, intraventricular hemorrhage (IVH) has been one of the major complications of prematurity. IVH is relevant to neurodevelopmental disorders, such as cerebral palsy, language and cognitive impairments, and neurosensory and psychiatric problems, especially when combined with brain parenchymal injuries. Additionally, severe IVH requiring shunt insertion is associated with a higher risk of adverse neurodevelopmental outcomes. Multidisciplinary and longitudinal rehabilitation should be provided for these children based on the patients' life cycles. During the infantile period, it is essential to detect high-risk infants based on neuromotor examinations and provide early intervention as soon as possible. As babies grow up, close monitoring of language and cognitive development is needed. Moreover, providing continuous rehabilitation with task-specific and intensive repetitive training could improve functional outcomes in children with mild-to-moderate disabilities. After school age, maintaining the level of physical activity and managing complications are also needed.

한국여성의 출산율 변화와 출산간격 영향요인 (The change in the fertility rates and the determinants of birth interval of Korean women)

  • 류기철;박영화
    • 한국인구학
    • /
    • 제32권1호
    • /
    • pp.1-23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설문조사자료를 이용하여 1940년대 이후 출생한 우리나라 여성들의 연령별 출산율, 연령별 누적출산율, 결혼연령을 5개의 출생코호트별로 살펴보고 위험도 모형을 이용하여 결혼연령 및 결혼 이후 초산까지의 간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각각 분석하였다. 먼저 연령별 출산율을 보면 출생시기가 늦은 코호트일수록 출산율이 최고수준에 이르는 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연령별 누적출산율은 50년대 코호트와 60년대 코호트의 경우 각각 직전 코호트에 비해 누적출산율이 크게 하락하였으나 70년대 코호트나 80년대 코호트는 60년대 코호트에 비해 누적출산율에 있어서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혼연령을 보면 최근의 출생코호트로 올수록 결혼연령이 높아졌다. 한편, 결혼 위험도 모형을 추정한 결과에 의하면 여성의 출생시기가 늦을수록 그리고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연령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출생시기의 영향은 그간 진행된 여성의 취업기회의 확대와 여성의 상대적 지위의 향상 등 경제적 및 사회문화적 변화를 종합적으로 반영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음으로 결혼 이후 첫 자녀의 출산 위험도의 경우에는 출생시기나 결혼시기 모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한편, 결혼 이후에도 상당기간 취업상태를 유지한 여성의 경우 출산 위험도가 크게 낮았으며 또한 중졸 이하 학력을 가진 여성은 여타 수준의 학력을 가진 여성에 비해 출산 위험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여성의 취업이나 낮은 가구소득이 출산율을 낮추는 중요한 요인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