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w Achievement Student

검색결과 120건 처리시간 0.03초

대학생의 어머니 취업력, 성취동기와 직업 양성평등의식이 어머니 취업에 대한 부정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ternal Employment History, Achievement Motivation, and Gender Egalitarianism in Job on University Students' Negative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of Maternal Employment)

  • 성미영;권희경;장영은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115-124
    • /
    • 2010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maternal employment history, achievement motivation and gender egalitarianism in job on university students' negative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of maternal employment. A total of 338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yungki, and Kyungnam area, provided information for the study. Analyses results showed that male students had higher level of negative beliefs about the consequences of maternal employ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and lower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 in job than female students did. Mothers' history of employment during the student's middle and high school period and higher job egalitarianism predicted lower negative beliefs about maternal employment. As male and female students were compared, male students with history of mothers' employment, lower level of achievement motivation and higher level of gender egalitarianism showed low level of negative beliefs about maternal employment. For female students, mothers' employment significantly predicted their beliefs about negative consequences of maternal employment.

지각된 실행기능 수준이 중학생의 수학성적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perceived executive function on the middle school students' mathematics achievement scores)

  • 김근영;김도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063-2071
    • /
    • 2012
  • 수학 과목은 중고등학교 교과과정에서 매우 중요한 과목인 동시에 학생들이 가장 싫어하는 과목중의 하나이다. 본 연구는 중학생의 실제 수학성적을 예측하는 실행기능의 효과를 탐구하였으며, 이 변인의 효과가 다른 심리적 변인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도 유의미한지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실행기능 수준은 동기와 태도변인을 통제한 후에도 그들의 수학성적을 예측하는 유의미한 변인이었다. 이 변인의 효과는 특히 수학성적이 낮은 중학생의 경우 더 강했으며, 오히려 수학성적이 높은 학생의 경우에는 생물학적 변인의 효과만이 유의미한 것으로 드러나, 성적에 따라 인지적, 심리적 요인을 고려한 다른 유형의 학습지도가 필요함을 시사하였다.

컴퓨터학부 기초전공 수업에서 팀 활동에 대한 자기평가와 동료평가의 활용성 연구 (A Study on Availabilities of Self-evaluation and Peer-evaluation of Team Activities in Computer Science Basic Classes)

  • 조수선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107-114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컴퓨터학부 기초전공 수업에서 팀 활동에 대한 학생평가의 활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동료평가, 자기평가, 학업성취도 사이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이들 사이에는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아냈다. 이어서 동료평가 점수와 자기평가 점수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일표본 t-test를 실시했을 때 그 차이 값은 매우 유의미한 것이었다. 그러나 그 차이의 정도는 두 클래스에서 다르지 않았다. 즉 학생들은 학년에 상관없이 본인 스스로에 대한 평가 점수가 동료들로부터 받은 평가 점수보다 평균적으로 후한 경향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동료평가, 자기평가 점수의 차이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점수 차이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즉, 학업성취도가 높은 학생이든 낮은 학생이든 동료평가와 자기평가를 하는 경향성은 다르지 않았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팀 기반 수업에서 학생평가가 개인별 평가에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자기평가 점수와 동료들로부터 받은 점수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은 학생평가의 객관성을 나타낸다. 비록 자기평가 점수가 동료로부터 받은 점수보다 평균적으로 높은 것은 분명하지만 그것이 학년이나 과목에 따라서 또는 학업성취도에 따라서 달라지지 않으므로 객관성 면에서 더 활용가치가 높다.

스마트 디바이스를 활용한 플립드 러닝의 효과에 관한 연구 (The Effectiveness of the Flipped Learning using the Smart Device)

  • 피수영;도숙진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5권4호
    • /
    • pp.65-71
    • /
    • 2017
  • 과학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학습자들에게 맞는 맞춘 교수 방법을 찾기 위한 연구를 부단히 노력해 오고 있다. 그러한 교수법 중의 하나로써 많은 연구자들은 플립드 러닝 방식을 제시하고 있다. 이 논문의 목적은 플립드 러닝방식이 i) 전통적 교육방식 수업에 비해 학업 성취도 면에서 유용한지 ii) 학생들의 영어성적에 상관없이 모든 영어레벨의 학생에게 적용되어 질수 있는지 iii)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유발을 일으키는데 도움이 되는 교수법인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학업성취에 있어서 플립드 러닝 수업을 받은 학생 그룹 중 가장 성적이 좋은 그룹 학생들은 학업에 있어 많은 향상을 보인 반면 학업 성적이 가장 낮은 그룹 학생들은 오히려 성적이 낮아지는 결과로 나타났다. 플립드 러닝 교수법으로 수업을 진행할 시에는 학습자들의 수준에 따른 콘텐츠를 교수자가 개발해야한다고 본다. 학습자들의 수준에 맞는 맞춤형 콘테츠 개발이 학습자들의 학습 성취도를 높일 것으로 본다.

초등과학영재의 정서지능과 성취목표지향성이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areer Maturity of the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 임현지;최선영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5권3호
    • /
    • pp.316-325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areer maturity for elementary scientific gifted students. For this purpose, emotional intelligence test,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measure and career maturity test were used. Sample of the study was consisted of 107 science gifted students and 98 general students in Y City, Gyeonggi Provi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cientific gifted students showed higher score than general students, whereas general students had highest score in type of avoidance goal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lso, scientific gifted students showed highest score in mastery goal orientation of those.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emotional intelligence and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score in almost all the subelements.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emotional intelligence on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job planning and self-understanding of career maturity were impacted by emotional intelligence, whereas independence was low influence by emotional intelligence. Third, for the correlation betwee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and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mastery goal orientation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positive relationship in almost all the subelements, whereas mastery avoidance goal orientation and performance-avoidance goal orientation had negative correlation. Also, as a result of conducting a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 of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on career maturity of scientific gifted students, achievement goal orientation had influence on all the subelements of career maturity.

대학생의 학업성취도 예측요인 연구 : J 대학을 중심으로 (A Study on Predictors of Academic Achievement in College Students : Focused on J University)

  • 손요한;김인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519-529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학업성취 예측모형을 구축하여, 각 요인간의 상호관계와 상대적 영향력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J 대학 재학생 1,310명의 학습자 개인요인과 학습전략 요인을 설문하였으며, 그 결과를 데이터마이닝 기법인 의사결정나무 분석을 통하여 학업성취 예측요인의 변별과 패턴을 분석하고, 각 요인의 상대적 영향력을 살펴보기 위한 이항 로지스틱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가장 중요한 요인은 효능감으로 나타났으며, 이외 학습동기, 시간관리, 우울이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학업성취를 예측하는 요인의 패턴은 효능감과 시간관리 수준이 높은 경우와 효능감이 중간 수준이더라도 학습동기가 높은 경우로 나타났다. 효능감과 학습동기가 낮거나 우울이 높은 경우 학업성취를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효능감과 학습동기 향상, 시간관리 교육 강화, 부정적 정서 관리 등을 제안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이 중.상위권 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s of the Middle and High Class Students)

  • 김문희;권혁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71-193
    • /
    • 2009
  • 수학 능력을 평가하는 국제적인 시험 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적은 상위권에 속해 있으나, 수학 교과에 대한 선호도 및 자신감과 같은 정의적인 측면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바탕을 둔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을 도입하여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맞게 학습 목표를 재구성하여 고등학교 중 상위권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문제중심학습 지도 방안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학교과에 대한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수학적 태도 검사의 하위 영역중의 하나인 학생들의 자아개념 분석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실험집단의 자아개념 평균 점수는 문제중심학습 실험 전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젓으로 나타났다.

  • PDF

지구과학에서 구성주의적 사고력 신장을 위한 수업전략의 효과 (The Effects of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ment of Constructivist-Thinking Ability in Earth Science)

  • 김수진;김찬기;김상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18-123
    • /
    • 2010
  • This study is aiming to structure progressive instructional strategy for development of constructivist-thinking into the beginning stage, developmental stage, and advanced stage, then organize multiple choice, completion, descriptive, and essay problems to be suitable for each stage of the strategy, and finally, to evaluate what effects this instructional strategy has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s and enhancement of their scientific essay writing skill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ssons applying the strategy for developing constructivist-thinking were more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than the text book-oriented lecture type lessons. In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the test group, for both high and low levels, displayed a higher average than the control group, however, changes in the high level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changes in the low level students were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scientific essay writing skills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all levels of the test group and the averages in both high and low groups of the test group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and were also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 PDF

The Effects of Listening Comprehension and Decoding Skills on Spelling Achievement of EFL Freshman Students

  • Al-Jarf, Reima Sado
    • 영어어문교육
    • /
    • 제11권2호
    • /
    • pp.35-50
    • /
    • 2005
  • Thirty six EFL freshman students at the College of Languages and Translation, King Saud University, Riyadh, Saudi Arabia were given a dictation, a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and a decoding tes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find out whether EFL freshmen students' spelling ability correlates with their listening comprehension and decoding skills. Data analysis showed that the typical EFL freshman student misspelled 41.5% of the words on the dictation, gave 49.5% correct responses on the listening comprehension test, and 52% correct responses on the decoding test. The median and mean scores showed that the subjects' spelling, listening and decoding achievement is low, which implied that the subjects were having spelling, listening comprehension and decoding difficulties. The students' spelling errors and correct listening comprehension and decoding responses revealed strong correlations between spelling ability, listening comprehension and decoding skills. This means that good spelling ability in EFL is related to good listening comprehension and good decoding skills. The better the listening comprehension and decoding abilities, the fewer the spelling errors. When listening comprehension and decoding skills are poor, spelling ability is also poor. Recommendations for spelling, listening and decoding instruction are given.

  • PDF

2007년 개정 중학교 정보 과목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 성취 및 평가기준 개발 (The Development of Achievement and Assessment Standards for the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of Information' Unit of 'Informatics'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Revised in 2007)

  • 김경훈;이은경;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1권6호
    • /
    • pp.53-64
    • /
    • 2008
  • 2007년 개정 정보 교육과정은 2010년부터 적용될 예정이지만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교육내용의 포괄적인 성격으로 인해 학교 현장의 교수 학습이나 평가 상황에 직접적으로 활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교수 학습 활동 및 평가 활동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기준과 예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7년 개정 정보 교육과정의 '정보의 표현과 관리' 영역에 관한 구체적인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을 개발하고 그에 따른 평가도구들을 개발하였다. 성취기준은 교육과정상의 소영역을 기준으로 학생의 입장에서 진술하였으며, 평가기준은 상, 중, 하로 구분하여 제사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