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vemark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7초

접점종업원의 전문성과 커뮤니케이션이 러브마크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 고접촉 서비스를 중심으로 - (The Effect of Expertise and Communication on the Lovemark and Store Loyalty - Focused on High-Contact Service -)

  • 천명환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4권5호
    • /
    • pp.93-110
    • /
    • 2015
  • 현재까지 진행되어 온 서비스 접점 종업원과의 상호작용 및 기능적 품질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고객이 내리는 종업원에 대한 평가나 지각 등에 대한 면밀한 논의를 충분히 수행해내지 못하고 있다. 여기에는 서비스 종업원에 대한 감정적인 판단 및 평가와 인지적인 평가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이러한 내용들이 점포에 대한 충성도, 나아가서 브랜드에 대해 가지는 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순히 서비스의 기능적 품질 혹은 서비스의 차원의 일부에 국한시켜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러브마크 이론을 서비스 종업원을 대상으로 하여 그 적용범위를 확장하고, 서비스 종업원과 관련된 서비스 품질 측정의 확장을 논의하였다. 실증연구 결과, 서비스 종업원의 전문성과 커뮤니케이션은 러브마크의 사랑차원과 존경차원에 모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쳤으며, 러브마크의 하위 2개 차원역시 점포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서비스의 기능적 품질에 대한 논의의 확장과, 러브마크의 하위요인들을 이용한 접점에서의 종업원 관리 및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할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PDF

항공사 러브마크와 관계지속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irline Love Mark and Relation Continuing Intention)

  • 김정희;한수연;진성현
    • 한국항공운항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3-68
    • /
    • 2020
  • In this study, The purpose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lovemark on relation continuing intention. As a result of reliability analysis, the Cronbach's α coefficient of all variables such as lovemark, relation continuing intention showed 0.8 or more, thus ensuring reliability.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between variables for hypothesis testing are as follows.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effect of lovemark on the relation continuing intention, it showed that both factors of love and respect dimension had significant influences, and that the relationship intension also increased as the love and respect dimension increased. As a result of this study, In order to increase lovemark and relationship intension, it was also confirmed that efforts should be focused on immersion between airlines and customers. It was confirmed that efforts to increase the airline's lovemark are needed to retain existing customers and attract new customers.

서퍼의 체험과 러브마크, 몰입, 소비행동의도 간의 관계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urfer's Experience, Lovemark, Flow and Customer Behavior Intention)

  • 류진승;김상유;김수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29-136
    • /
    • 2022
  • 이 연구의 목적은 서퍼의 체험과 러브마크, 몰입, 소비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는데 있다. 설정한 연구모형에서 체험, 러브마크, 몰입, 소비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적합도 검증을 진행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모형의 적합도 검증 결과 모든 지수가 적합도 기준에 부합하는 것으로 나타나 체험, 러브마크, 몰입, 소비행동의도 간의 관계를 예측하기 적합한 모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체험은 러브마크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은 몰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몰입은 소비행동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러브마크는 소비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험은 소비행동의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리스타의 직무속성이 러브마크 속성 및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Barista Job Attributes on Lovemark and Brand Loyalty)

  • 오창호;백민숙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3권1호
    • /
    • pp.279-298
    • /
    • 2014
  • 본 연구는 커피전문점에 종사하는 바리스타의 직무속성이 고객들이 바리스타에 대해 느끼게 되는 러브마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이러한 러브마크가 궁극적으로 브랜드 충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본 연구는 바리스타의 직무속성이 고객들이 지각하는 바리스타에 대한 러브마크를 향상시켜 결국은 점포나 브랜드에 대한 충성도로 까지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로컬 및 내셔널 커피전문점에서 이를 비교하여 커피시장에 기여할 수 있는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결과, 우선, 바리스타 직무속성인 전문성, 상호작용성, 서비스 지향성은 러브마크의 사랑차원 속성인 감각, 신비감, 친밀감에 대부분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단, 전문성과 서비스 지향성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과 그에 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이는 실제 현상적으로 볼 때, 고객의 입장에서 바리스타의 전문성이 높다는 것은 고객과의 동질성이 떨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해석할 수 있었으며, 단순히 바리스타가 고객에 대해 서비스 지향적으로 대하는 것만으로는 친밀감의 형성이 어려울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러브마크의 사랑차원인 감각, 신비감, 친밀감이 러브마크의 존경차원의 일부인 성과에 미치는 영향은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러브마크의 존경차원 변수들 간의 구조적인 관계 역시 모두 유의한 정(+)의 관계가 확인되었다. 마지막으로 러브마크의 존경차원 변수들인 성과, 평판, 신뢰는 브랜드 충성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 오락적 체험, 러브마크, 애착 간의 구조적 관계 (A study on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resource attraction, entertainment experience, love mark and attachment in tourist destination)

  • 서경도;이정은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5호
    • /
    • pp.261-268
    • /
    • 2022
  • 본 연구는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 오락적 체험, 러브마크, 애착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여 그 의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제시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각의 연구개념에 대해 이론연구를 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도출 후 실증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인구비례표본출로 전국단위로 비대면 조사를 실시하였다. 실증연구는 통계프로그램인 SPSS25.0과 AMOS25.0를 통해 확인하였다. 이론연구와 실증연구로 나타난 연구결과의 의미는 다음과 같다.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은 관광객의 체험간 영향 관계는 정(+)의 관계를 맺고 있었다. 체험과 러브마크와의 영향 관계는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체험과 애착 간의 관계에서도 정(+)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었다. 그러나 러브마크와 애착 간 관계는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지 않고 있었다. 관광목적지의 자원매력, 오락적 체험, 러브마크, 애착 간에 긍정적이며 유의한 관계를 형성하기 위해선 지역적 특성이 그대로 투영된 만큼 지역적 정서, 의미, 그 외 많은 그것이 함께하고 있다. 관광자원으로서 새로운 자원의 관광행동을 위한 목적도 있지만, 지역적 색(色)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지역문화, 역사 유용한 자료이기에 보호, 보존 및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요구된다. 설문조사의 인구통계적 특성을 기준으로 표본으로 전국단위로 연구가 되었으나 연차적인 조사로 관광객 특성의 변화가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