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vastatin

검색결과 76건 처리시간 0.03초

섬애약쑥 식초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급이 흰쥐의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eomaeyakssuk (Artemisia argyi H.) Vinega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Fed a High-Fat and High-Cholesterol Diet)

  • 신정연;강재란;신정혜;서원택;변희욱;최진상;강민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779-789
    • /
    • 2017
  • 섬애약쑥 가공품 개발 및 그 활성 규명을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섬애약쑥 물 추출물을 이용하여 식혜를 제조해 당화시킨 후 알코올 발효와 초산발효를 차례로 거쳐 식초를 완성하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제공한 흰쥐에 섬애약쑥 식초를 경구 투여하여 체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험군은 일반식이를 급이한 정상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이한 대조군(C), 대조군 식이 급이 후 콜레스테롤 치료 약물인 lovastatin을 20 mg/kg B.W. 투여한 양성대조군(PC), 섬애약쑥 추출물 대신에 물을 첨가하여 동일하게 제조한 맥아식초(TM)와 섬애약쑥 식초(TS)를 체중 kg당 2 mL씩 경구 투여한 군으로 나누었다. 4주간의 실험식이 급이 후 혈청 내 총 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식초 급이군이 양성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나 중성지질은 양성대조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대조군 보다는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콜레스테롤은 식초 급이군과 양성대조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 없이 정상군보다 낮았으나 대조군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LDL-콜레스테롤은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에서 190.68 mg/dL로 정상군을 제외한 실험군 중 가장 낮은 함량이었고 동맥경화지수와 심혈관계 질환 위험지수도 동일한 경향이었다. 혈청 총 단백질과 알부민 함량은 맥아식초와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이 대조군이나 양성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다. 간 손상 지표가 되는 AST는 정상군과 식초 급이군 간에 차이가 없었다. 섬애약쑥 식초의 급이는 간장 내 지질 농도 개선에도 효과가 있어 간장 내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농도를 대조군보다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혈청 내 지질과산화물의 함량은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에서 정상군과 유사한 수준으로 감소하였으며, 간 조직에서는 대조군보다는 낮았으나 정상군보다는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DPPH를 이용한 항산화 활성 평가에서도 유사한 경향으로 섬애약쑥 식초 급이군 혈청의 항산화 활성이 55.69%로 정상군과 유의차가 없었으며, 간 조직의 활성은 52.39%로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섬애약쑥 식초는 혈중 지질 농도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식초 자체의 활성과 자체에 함유되어 있던 유효성분 및 발효과정에서 새로이 생성된 성분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판단된다.

홍국쌀(Monascus purpureus)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 (Antioxidant Properties of Red Yeast Rice (Monascus purpureus) Extracts)

  • 권정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37-442
    • /
    • 2012
  • 홍국쌀 추출물의 항산화 작용을 DPPH radical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 간암 세포에서의 산화적 DNA 손상과 항산화 효소의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으로 분석하였다. 홍국쌀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ethyl acetate 추출물, methanol 추출물, butanol 추출물 순이었으며, ethyl acetate 추출물의 DPPH radical 소거능은 0.2 mg/mL에서 85%, $IC_{50}$는 0.13 mg/mL로 나타났다. Ethyl acetate 추출물의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DCF fluorescence로 측정한 결과, cuvette에서는 2.5 ${\mu}g$/mL에서 44.2%, 5.0 ${\mu}g$/mL 74.1%, 10.0 ${\mu}g$/mL >100%로 나타났고, $HepG_2$ cell에서는 ethyl acetate 추출물로 전처리한 세포의 radical이 $H_2O_2$로만 처리한 세포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홍국쌀 ethyl acetate로 전처리한 세포의 DNA 손상이 $H_2O_2$로만 처리한 세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추출물 대신 lovastatin을 처리한 세포는 DNA 손상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항산화 효소 유전자의 상대적 발현 정도를 측정한 결과, 산화 스트레스 없이 ethyl acetate 추출물로 전처리한 세포에서는 SOD와 GPx가 control에 비해 각각 3.25배, 2.67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추출물로 전처리한 후 산화 스트레스에 노출시킨 세포에서는 CAT가 control에 비해 5 ${\mu}g$/mL에서 4.64배, 10 ${\mu}g$/mL에서 7.0배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대추과육과 대추잎 혼합발효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고지혈증 흰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rmented Extracts Zizyphus jujuba Fruits and Leaves Mixture on Hyperlipidemia in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 정명수;조화은;김혜자;최윤희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17-130
    • /
    • 2015
  • Objective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non fermented Zizyphus. jujuba mixture (mixed fruit and leaf : ZM) and fermented Z. jujuba mixture(FZM) on fed high-fat diet induced hyperlipidemic rats for development medicinal food. Method : The extracts prepared for Zizyphus. jujuba mixture(ZM) and fermented Z. jujuba mixture(FZM) with Lactobacillus plantarum and Saccharomyces cerevisia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normal control group(NC group) and high fat diet groups. The high fat diet groups fed high fat diet 2 weeks after was sub-divided into high fat diet control group(HC group), high fat diet positive control group(HPC group), non fermented Z. jujuba mixture extract group(ZM group) and fermented Z. jujuba mixture extract group(FZM group). NC and HC group was orally administerd of 0.9% saline, HPC group administerd lovastatin diluted in 0.9% saline at a dose of 10 mg/kg BW, ZM and FZM groups was administerd each extracts diluted in 0.9% saline at a dose of 300 mg/kg BW once a day on a fixed time for 4 weeks. In the present study we measured organ weight, epididymal fat tissue weight, concentration of serum lipids, hepatic lipids, MDA contents in liver tissue and metabolic variables in serum. Results : ZM and FZM suppressed testis weight loss and FZM decreased epididymal fat tissue weight to level of NC group in high-fat diets. ZM and FZM did not influence on serum cholesterol level, but prominently decreased serum triglyceride concentration compared with HC group, and FZM diminished hepatic triglyceride same as serum. ZM and FZM did not impair liver and kidney function and influence positive effects through by suppression of elevation lipid level.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Z. jujuba mixture(ZM, FZM) should be useful developing medicinal food for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hyperlipidemia and FZM is more suitable agent than ZM.

현장 모니터링과 기초통계분석에 기반한 국내 하수처리장 미량오염물질 발생 및 거동 조사 (Investigation on the occurrence and fate of micropollutants in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plants based on full-scale monitoring and simple statistical analysis)

  • 채성호;임승지;이지호;;이웅배;최상기;이윤호;이우림;손희종;홍석원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07-119
    • /
    • 2022
  • The frequent detection and occurrence of micropollutants (MPs) in aquatic ecosystems has raised public health concerns worldwide. In this study, the behavior of 50 MPs was investigated in three different domestic wastewater treatment plants (WWTPs). Furthermore, the Kruskal-Wallis test was used to assess the geographical and seasonal variation of MPs in the WWTP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s of 43 MPs ranged from less than 0.1 to 237.6 ㎍ L-1, while other seven MPs including 17-ethynylestradiol, 17-estradiol, sulfathiazole, sulfamethazine, clofibric acid, simvastatin, and lovastatin were not detected in all WWTPs. Among the detected MPs, the pharmaceuticals such as metformin, acetaminophen, naproxen, and caffeine were prominent with maximum concentrations of 133.4, 237.6, 71.5, and 107.7 ㎍ L-1, respectively. Most perfluorinated compounds and nitrosamines were found at trace levels of 1.2 to 55.3 ng L-1, while the concentration of corrosion inhibitors, preservatives (parabens), and endocrine disruptors ranged from less than 0.1 to 4310.8 ng L-1. Regardless of the type of biological treatment process such as MLE, A2O, and MBR, the majority of pharmaceuticals (except lincomycin, diclofenac, iopromide, and carbamazepine), parabens (except Methyl paraben), and endocrine disruptors were removed by more than 80%. However, the removal efficiencies of certain MPs such as atrazine, DEET, perfluorinated compounds (except PFHxA), nitrosamines, and corrosion inhibitors were relatively low or their concentration even increased after treatment.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is reveal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geographical difference in the removal efficacy of MPs, but there are temporal seasonal variations in all WWTPs.

Monascus pilosus 배양을 위한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한 생산배지 최적화 및 발효조건 확립 (Optimization of Production Medium by Response Surface Method and Development of Fermentation Condition for Monascus pilosus Culture)

  • 윤상진;신우식;전계택;정용섭
    • KSBB Journal
    • /
    • 제22권5호
    • /
    • pp.288-296
    • /
    • 2007
  • 콜레스테롤 저하제이자 고지혈증 치료제의 하나인 모나콜린-K (lovastatin)의 생산을 높이기 위하여 플라스크 배양에서 생산배지 최적화를 위한 실험을 수행하였다. 기본생산배지에 탄소원, 무기인산염, 아미노산원과 무기원에 대한 영향을 조사하였다. 각각의 원소에 대해 모나콜린-K를 가장 많이 생산한 순서대로 3가지를 선별하여 Graeco-Latin square design에 의해 생산배지의 종류와 농도를 결정하였다. 하지만 상기 실험은 각 배지간의 교호작용을 검출할 수 없어서 모나콜린-K 생산에 대한 재현성이 떨어졌다. 따라서 탄소원, 질소원과 질소원의 농도에 대한 실험을 보완하였다. 통계학적 실험계획법인 Plackett-Burman design에 의해 배지 중 beef extract, $(NH_4)_2HSO_4$$KHSO_4$가 모나콜린-K 생산에 가장 영향력 있는 인자로 분석되었으며, 영향력이 있는 3가지 배지에 대해 배지 사이의 교호작용까지 분석할 수 있는 실험계획법인 중심합성계획법과 반응표면 분석법을 이용하여 생산배지를 최적화 하였다. 모나콜린-K 고생산을 위한 배지와 최적화된 농도 (g/L)는 soluble starch 96, malt extract 44.5, beef extract 30.23, yeast extract 15, $(NH_4)_2SO_4$ 4.03, $Na_2HPO_4{\cdot}12H_2O$ 0.5, L-Histidine 3.0과 $KHSO_4$ 1.0이며, 기본생산배지에서의 생산량보다 약 3배 증가한 558.96 mg/L의 생산을 보였다. 생물반응기에서 교반속도가 모나콜린-K 생산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기본생산배지를 이용하여 300, 350, 400과 500 rpm에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교반속도 500 rpm에서 68 mg/L으로 가장 높은 생산을 보였으며, 이 때 균의 형태구조는 300, 350과 400 rpm에서 펠��과 균사체가 공존하는 것과는 다르게 펠�� 형태로만 자라는 것이 확인 되었으며, 생물반응기를 이용하여 발효 시 펠�� 형태가 모나콜린-K 생산에 가장 좋은 형태구조임을 알 수 있었다. 확립된 최적생산배지를 이용하여 400 rpm, 1 vvm과 3% 초기 접종량에서 pH를 6.5로 조절한 경우 185 mg/L의 가장 높은 모나콜린-K가 생산 되었으며, 이때 균체량은 32 g/L를 나타내었다.

미생물제제 첨가가 돈육과 계육의 지방산 조성 및 콜레스테롤 생산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upplementation of Microbes Additive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and Cholesterol Production in Meat of Pig and Chicken Broiler)

  • 김병기;홍진규;박지현;김현수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99-404
    • /
    • 2004
  • 본 연구는 공시균인 Aspergillus terreus와 유산균을 이용하여 혈중 및 고기내 콜레스테롤이 저하된 육류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따라서 거세돈 60두를 60일간 및 육계는 6주간을 공시하여 대조구는 일반 시판사료만 급여하였고, T1구는 Aspergillu terreus 배양체, T2구는 시판중인 EM-pro 배양체(Lactobacillus acidophilus, Bacillus subtilis와 Saccharmyces cervisiae의 3종 혼합배양물)를 각각 0.2%씩 첨가급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돼지고기내의 스테아린산은 T1구와 T2구가 높았으나, 올레인산은 대조구와 T1구가 높았다(p<0.05). 또한 닭고기의 스테아린산은 대조구가 높았으나, 올레인산은 T1구와 T2가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혈액 중 돼지고기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 함량은 T1구(63.77mg, 111.19mg)가 대조구(101.69mg, 132.37mg)보다 크게 낮아 통계적인 유의차를 보였고(p<0.05), 육계의 경우는 T1구(78.50mg, 143.61mg)가 대조구(119.26mg, 240.43mg)보다 크게 낮았다(p<0.05). 돼지고기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 함량은 T1구(78.53mg, 117.64mg)가 대조구(140.5mg, 150.55mg)보다 크게 낮아 유의차를 나타내었고(p<0.05). 육계의 경우는 T1구 (93.35mg, 72.03mg)가 대조구(111.90mg, 116.88mg)보다 크게 낮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Aspergillus terreus 처리한 T1구가 돼지와 육계의 혈액 및 고기내에서 총 콜레스테롤과 HDL-cholesterol 함량이 크게 낮아졌다. 따라서 Aspergillus terreus 배양체가 체내의 콜레스테롤 합성에 상당히 영향을 미친것으로 판단되며, 향후 저 콜레스테롤 고기 생산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