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udness

검색결과 297건 처리시간 0.022초

A study on Visual Expression to express Sound Characteristics of Public Places

  • Park, Dong-Cheol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4호
    • /
    • pp.11-21
    • /
    • 2021
  • The causes of noise generation according to the classification of indoor spaces are very diverse. Individual happiness is infringed by this noise. In this paper, We tried to visualize the spatial sound characteristics of public places using sound color to express them so that anyone can sympathize. The noise inside a conference room of a medical device company was measured for 100 minutes, and the frequency band wa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types of existing sound pressure expression units. Because the size of the noise is express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situation, There are cases where there is a difference of opinion between the measurer and the researcher. This noise measurement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the sound color was applied to classify it on a log scale considering auditory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comparing this with the result expression for different loudness expression units, A specific table in different units yielded almost similar results. In addition, the sound source section for 100 minutes was divided into three analysis sections, the analysis sections were different, and the size of the energy ratio for each analysis section was divided in the form of an envelop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ow-frequency region of the space have a high energy ratio, and the decrease in the energy ratio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frequency is constant and regular. You can see that conversations are possible.

연축성 발성장애와 음성 진전 환자의 감별 (Differences in Patient Characteristics between Spasmodic Dysphonia and Vocal Tremor)

  • 손희영
    • 대한후두음성언어의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9-14
    • /
    • 2021
  • Spasmodic dysphonia, essential tremor, and vocal tremor related with Parkinson's disease are different disorders showing fairly similar symptoms such as difficulty in the speech onset, and tremble in the voice. However, the cause and the resulting treatment of these diseases are different. Spasmodic dysphonia is a vocal disorder characterized by spasms of the laryngeal muscles during a speech, invoking broken, tense, forced, and strangled voice patterns. Such difficult-to-treat dysphonia disease is classified as central-origin-focal dystonia, of a yet unknown etiology. Its symptoms arise because of intermittent and involuntary muscle contractions during speech. Essential tremor, on the other hand, is characterized by a rhythmic laryngeal movement, resulting in alterations of rhythmic pitch and loudness during speech or even at rest. Severe cases of tremor may cause speech breaks like those of adductor spasmodic dysphonia. In the case of hyper-functional tension of vocal folds and accompanying tremors,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se disorders from muscular dysfunction. A diversified assessment through the performance of specific speech tasks and a thorough understanding for the identification of the disorder is necessary for accurate diagnosis and effective treatment of patients with vocal tremors.

객관적으로 정량화된 복합 신호음의 조화도 (Objectively Quantified Consonance of Complex Sounds)

  • 전상배;최인용;이민구;성굉모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7호
    • /
    • pp.323-327
    • /
    • 2007
  • 본 논문에서는 객관적으로 정량화된 복합 신호음의 조화도를 새로운 심리 음향 파라미터로 제안하였다. 사람이 복합신호음을 인지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masking 효과, 등청감 곡선, criticalband 등의 심리음향학적인 모델들을 적용시킨 후, 그 소리가 어느정도의 조화도를 갖는지를 정량화시키는 모델을 제안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복합음으로 구성된 자동차 Horn 신호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알고리즘에 의하여 정량화된 객관적인 조화도와 청취 평가를 통한 주관적인 조화도가 0.95의 cross correlation을 보였다. 현재 객관적인 심리음향학적인 파라미터로는 Zwicker 파라미터 외에는 거의 전무한 상태여서 제안하는 알고리즘을 통하여 소리의 심리음향학적인 효과를 보다 객관적으로 파악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조현병 환자의 인지기능과 뇌 사건유발전위의 관계 (Cognitive Abilities and Auditory Event Related Potential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 김가영;민정아;채정호
    • 생물정신의학
    • /
    • 제19권3호
    • /
    • pp.115-120
    • /
    • 2012
  • Objectives : Event-related potentials have been suggested as an objective marker for brain functions in psychiatric disorder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P300, the mismatch negativity (MMN), the loudness dependence of the auditory evoked potential (LDAEP),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including neurocognitive abilitie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P300, the MMN, and the LDAEP were measured and the Korean Stroop color-word test (K-stroop test) and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were performed in 43 patients with schizophrenia. The relationship of the latency and amplitude of P300 and the MMN as well as regression slope of the LDAEP with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were analyzed by t-test and correlation analyses for categorical and continuous variables, respectively. Results : After controlling for age, the latency of central (Cz) and parietal (Pz) P300 posivitively correlated with GAF at admission (Cz ; ${\gamma}$ = 0.385, p = 0.047, Pz ; ${\gamma}$ = 0.421, p = 0.029). The amplitude of parietal P300 correlated with the correction rate of the K-stroop test (${\gamma}$ = 0.575, p = 0.002). In addition, the frontal (Fz) P300 latency tended to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correction rate of the WCST (${\gamma}$ = -0.371, p = 0.057). Conclusions :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values of P300 latency and amplitude might be correlated with GAF at admission and working memory measured by the K-Stroop test and the WCST. Meanwhile, the MMN and the LDAEP did not correlate with demographic and clinical variables. These results support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showing associations with P300 and impaired cognitive ability.

절대음량을 이용한 음량제어 체계의 개념 (Concepts of Sound Control System Using Absolute Sound Level)

  • 견두헌;배명진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60-67
    • /
    • 2014
  • 본 논문은 음원의 마스터링부터 출력단계까지의 비합리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절대음량 체계의 개념을 제안하였다. 절대음량 체계는 모든 음원의 입력절대음량을 60 dB(S) 기준으로 평준화한 후, 차등음량태그를 이용하여 제작자가 의도한 음량 밸런스를 구현한다. 그 후 출력절대음량을 입력절대음량과 매칭하여 청자가 의도한 목표 음량을 구현하게 된다. 이 체계가 도입되면 음원 제작자는 불필요한 음량경쟁 없이 음원 자체의 완성도에 집중할 수 있으며, 차등감소 태그입력만으로 자신이 의도한 음량밸런스를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청자는 청취 환경과 음향시스템에 관계없이 자신이 청취하고 싶은 절대음량 기준에 맞춰서 모든 음원을 시행착오과정 없이 감상할 수 있다.

스펙트럼 성형기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명료도 향상 (Intelligibility Enhancement of Multimedia Contents Using Spectral Shaping)

  • 지유나;박영철;황영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3권11호
    • /
    • pp.82-88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스펙트럼 성형기법을 이용한 멀티미디어 콘텐츠 명료도 향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영화, 동영상과 같은 오디오-비주얼 미디어 콘텐츠에서 다이얼로그는 영상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하지만 종종 영상내의 효과음, 배경음악 등과 같이 함께 믹싱 된 오디오 성분에 의해 중요한 정보를 지닌 다이얼로그의 명료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제기되어왔다. 뿐만 아니라 멀티미디어 콘텐츠의 이용 환경이 다양해지면서 청자의 주변 환경 또한 오디오 볼륨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영상의 중요 단서를 담고 있는 사운드트랙의 음성 성분 명료도를 높이고자 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먼저 영상의 스테레오 오디오 신호에서 음성 존재 확률(Speech Presence Probability)을 이용한 소프트 마스커를 통해 다이얼로그 성분을 검출한다. 추출된 다이얼로그 성분은 스펙트럼 성형 기법을 적용하여 명료도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고주파대역의 성분을 증폭시키는 등 음성 신호 스펙트럼의 에너지를 재분배하여 신호의 명료도를 향상 시켰다. 마지막으로 크기 정규화 과정을 통해 프로세스 전과 후의 전체 오디오의 파워를 동일하게 유지함으로써 증폭으로 인한 스피커의 오디오 포화(saturation)를 방지하였다. 실험을 통해 본 알고리즘이 동일한 오디오 볼륨에서 영상의 명료도를 향상시킴을 확인 할 수 있었다.

A Study on the healing factors of Forest Sound

  • Yi, Eun-Young;Bae, Myung-J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9권2호
    • /
    • pp.70-77
    • /
    • 2017
  • Where there are all the flowers, the songs of all kinds of insects and birds are put in, the sunshine and shadows flicker The forest through which the water sound flows is an optimum resting space. All living creatures in these spaces will awaken the five senses of humans and perhaps turn the sensibility index (EQ). The forest meditation in the forest, which can be an optimal shelter for the people who need it, needs to feel the reverence of nature, to refine emotions, to be a self-reflection, to have a mind to respect, Have an important meaning. In this paper, we tried to consider the cause of the influence of forest sounds on human hearing from the acoustical aspect. The type of sound source of forest was divided into four seasons of spring, summer, autumn, winter. And the change in the duration of the sound during the four seasons, so th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ounds of the four seasons are as follows: It can be seen that the change in the ratio of sub-band energy is almost equal to the change in dB in frequency of the equal-light curve. To compare this phenomenon, the criterion for changing the sound duration of each forest is natural The main forms of the luminance curve, such as the change in the duration of the white signal in the sound, are determined by the minimum, maximum audible frequency and the most sensitive frequency band, and the auditory characteristics of the other three inflection points Determines the overall shape of the equal-light curve.

공동주택의 생활 소음원별 특성 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 of Living Noise in Residential Buildings)

  • 신재민;송효민;신윤석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23-131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공동주택에서 발생하는 실내 외 생활소음원들의 종류를 파악하고, 발생 빈도가 높거나 소음레벨이 높은 특정 소음원을 선정하여 소음원별 발생 실태 및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공동주택 생활 소음원 실태 조사를 통해 24개의 생활 소음원을 도출하였으며, 그 중 소음의 발생 빈도 및 소음레벨이 높은 소음원 10개를 선정하여 실태조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생활 소음원 10개 모두 시간대별 소음 발생 특징이 다르게 나타났다. 따라서 생활 소음 저감을 위해서는 소음원별 소음레벨이 크거나 발생빈도가 높은 시간대를 중심으로 강화된 법적 소음 기준 및 소음원별 발생 특성에 관한 거주자 대상의 교육 시행이 필요할 것이다.

소리의 청각적 속성에 따른 감성차원 분석 (The Analysis of Sound Attributes on Sensibility Dimensions)

  • 한광희;이주환
    • 감성과학
    • /
    • 제9권1호
    • /
    • pp.9-17
    • /
    • 2006
  • 소리나 음악을 '감정, 감성의 언어'라고 표현한다. 이것은 소리라는 물리적 속성들이 인간의 감성 정보를 효과적이고 풍부하게 전달하는 좋은 수단일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보의 청각적 제시에 대한 효과적 방안을 연구하는 청각 디스플레이(auditory displays) 분야의 연구자들은 주로 특정 시스템 사용자의 과제수행 결과의 효율성 증진에만 초점을 맞추어 왔었다. 이러한 한계점을 극복하고 청각적 정보 제시의 적용 영역을 확장하고자 최근 많은 연구자들이 과제수행 결과뿐 아니라 개인의 선호와 감성적 만족이 더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이런 배경으로 본 연구에서는 소리에 대한 감성어휘 수집과 분석을 통해 소리의 감성공간을 '즐거움(Pleasure)', '복잡성(Complexity)', '활동성(Activity)'의 세 개 차원으로 구축하고, 그 차원에서 음고(pitch), 음량(loudness), 음색(timbre), 그리고 지속시간(duration)과 같은 소리의 다양한 속성에 따른 감성의 이동을 체계적으로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차원들에서 소리의 여러 속성들에 따른 감성적 차이와 그 상호관계를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결과들은 청각 사용자 인터페이스(Auditory User Interface)와 같이 청각 디스플레이(auditory displays) 분야에 적용되어 소리의 속성에 따라 감성 정보를 응용하여 사용자의 특성과 요구에 맞춰 정보를 제시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 PDF

주요우울증 환자에서 일주기 형태에 따른 양극성 경향, 자살 사고, 청각유발전위와의 관련성 : 예비 연구 (Chronotype in Relation to Bipolarity, Suicidal Ideation, and Auditory Evoked Potentials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 Preliminary Study)

  • 박영민;이승환
    • 생물정신의학
    • /
    • 제21권1호
    • /
    • pp.14-20
    • /
    • 2014
  • Objective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putative relationship between chronotype and suicidality or bipolarity in patients with major depressive disorder (MDD). Method Nineteen outpatients who met the criteria for MDD according to the fourth edition of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text revision were recruited for the current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wo subgroups based on their Basic Language Morningness (BALM) scores (dichotomized according to the median BALM score). The Loudness Dependence of Auditory Evoked Potentials (LDAEP) was evaluated by measuring the auditory event-related potentials before beginning medication with serotonergic agents. In addition, K-Mood Disorder Questionaire (K-MDQ), Beck Scale for Suicidal Ideation (BSS), Beck Hopelessness Scale (BHS), Barratt Impulsiveness Scale (BIS) were applied. Results The K-MDQ, BSS, BHS, BIS score was higher for the eveningness group than for the morningness group. However, the LDAEP, Hamilton Depression Rating Scale, Hamilton Anxiety Scale score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them. There were negative correlations between the total BALM score and the total K-MDQ, BSS, and BHS scores (r=-0.64 and p=0.0033, r=-0.61 and p=0.0055, and r=-0.72 and p=0.00056, respectively). Conclusions Depressed patients with eveningness are more vulnerable to the suicidality than those with morningness. Eveningness is also associated with bipolar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