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itude

검색결과 441건 처리시간 0.028초

공주대학교 천문대의 경 ${\cdot}$ 위도 결정 (Determination of Longitude and Latitude of Kongju National University Observatory)

  • 김희수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89-397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경위의 TM-1A와 GPS(모델명: 4000SSI, GPS 45 Garmin corporation)를 활용하여 공주대학교 천문대의 위치를 결정하였다. 경위의를 이용한 관측에서는 2개의 별(${\alpha}$ Aur, ${\alpha}$ Boo)을 선정하여 남중시각과 남중고도를 측정한 다음위도와 경도를 얻어내었다. 또 GPS를 이용한 관측에서는 6개의 GPS 위성에서 보낸 자료를 수신하여 위도와 경도를 측정하였다. 공주대학교 천문대의 위치는 경도 127$^{\circ}$8'33'.16 , 위도 36$^{\circ}$ 28'14'.20로 결정되었다.

  • PDF

EFFECTS OF SOURCE POSITION ON THE DH-TYPE II CME PROPERTIES

  • Shanmugarju, A.;Moon, Y.J.;Cho, K.S.;Umapathy, S.
    • 천문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55-60
    • /
    • 2009
  • The properties of SOHO/LASCO CMEs are subjected to projection effects. Their dependence on the source position is important to be studied. Our main aim is to study the dependence of CME properties on helio-longitude and latitude using the CMEs associated with type IIs observed by Wind/WAVES spacecraft (Deca-hecta metric type IIs - DH type IIs). These CMEs were identified as a separate population of geo-effective CMEs. We considered the CMEs associated with the Wind/WAVE type IIs observed during the period January 1997 - December 2005. The source locations of these CMEs were identified using their associated GOES X-ray flares and listed online. Using their locations and the cataloged properties of CMEs, we carried out a study on the dependence of CME properties on source location. We studied the above for three groups of CMEs: (i) all CMEs, (ii) halo and non-halo CMEs, and (iii) limb and non-limb CMEs. Major results from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i) There is a clear dependence of speed on both the longitude and latitude; while there is an increasing trend with respect to longitude, it is opposite in the case of latitude. Our investigations show that the longitudinal dependence is caused by the projection effect and the latitudinal effect by the solar cycle effect. (ii) In the case of width, the disc centered events are observed with more width than those occurred at higher longitudes, and this result seems to be the same for latitude. (iii) The dependency of speed is confirmed on the angular distance between the sun-center and source location determined using both the longitude and latitude. (iv) There is no dependency found in the case of acceleration. (v) Among all the three groups of CMEs, the speeds of halo CMEs show more dependency on longitude. The speed of non-halo and non-limb CMEs show more dependency on latitude. The above results may be taken into account in correcting the projection effects of geo-effective CMEs.

Empirical Forecast of Solar Proton Events based on Flare and CME Parameters

  • Park, Jin-Hye;Moon, Yong-Jae
    • 천문학회보
    • /
    • 제36권2호
    • /
    • pp.97.1-97.1
    • /
    • 2011
  • In this study we have examined the probability of solar proton events (SPEs) and their peak fluxes depending on flare (flux, longitude and impulsive time) and CME parameters (linear speed, longitude, and angular width). For this we used the NOAA SPE list and their associated flare data from 1976 to 2006 and CME data from 1997 to 2006. We find that about 3.5% (1.9% for M-class and 21.3% for X-class) of the flares are associated with SPEs. It is also found that this fraction strongly depends on longitude; for example, the fraction for $30W^{\circ}$ < L < $90W^{\circ}$ is about three times larger than that for $30^{\circ}E$ < L < $90^{\circ}E$. The SPE probability with long duration (${\geq}$ 0.3 hours) is about 2 (X-class flare) to 7 (M-class flare) times larger than that for flares with short duration (< 0.3 hours). In case of halo CMEs with V ${\geq}$ 1500km/s, 36.1% are associated with SPEs but in case of partial halo CME ($120^{\circ}$ ${\leq}$ AW < $360^{\circ}$) with 400 km/s ${\leq}$ V < 1000 km/s, only 0.9% are associated with SPEs. The relationships between X-ray flare peak flux and SPE peak flux are strongly dependent on longitude and impulsive time. The relationships between CME speed and SPE peak flux depend on longitude as well as direction parameter. From this study, we suggest a new SPE forecast method with three-steps: (1) SPE occurrence probability prediction according to the probability tables depending on flare and CME parameters, (2) SPE flux prediction from the relationship between SPE flux and flare (or CME) parameters, and (3) SPE peak time.

  • PDF

천문 경위도 결정에 있어서 GPS의 응용 가능성 검토 (A Examination about Application Possibility of GPS in Determination of Astronomic Latitude and Longitude)

  • 강준묵;오원진;손홍규;이용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75-82
    • /
    • 1995
  • 천문 경위도는 그 동안 애스트로레이브, 데오돌라이트 등을 이용한 천문 측량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 그러나 천문 측량 방법은 기상 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음은 물론 보정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보다 효율적 기법의 연구가 요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S 성과와 기존의 정표고 성과를 조합하여 천문 경위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천문 경위도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정표고는 GPS/leveling 방법 지구 중력장 모델을 사용한 DMA 방법 및 OSU91A 방법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한 각 기법별 천문 경위도를 기존 천문 측량 성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두 성과는 $1{\sim}3$초 정도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정표고의 정확도가 천문 경위도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보다 이상적인 지오이드 모델이 개발된다면 GPS 관측만으로도 천문 경위도를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UAV의 회전각을 이용한 목표물 위경도 탐지 방법 (Target Latitude and Longitude Detection Using UAV Rotation Angle)

  • 신광성;정념;염성관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107-112
    • /
    • 2020
  • 최근 드론의 활용 분야가 다양해짐에 따라 측량뿐만 아니라 수색 및 구조 작업에서도 활발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활용분야에서는 목표물의 위치나 UAV의 위치를 파악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은 드론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한 목표물 탐지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방법에서는 드론이 촬영한 이미지를 찾고자 하는 이미지와 비교하여 목표물의 위치를 찾아 해당 목표물의 위경도 정보를 계산한다. 목표물의 정확한 위경도 정보는 핀홀 카메라의 특성을 이용하여 이미지 영상의 거리에 상응하는 실제 거리를 계산하여 위경도를 계산한다. 실제 실험을 통해 제안하는 방법을 이용하여 목표물의 위경도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GROUND TRACK MAINTENANCE MANEUVER SIMULATIONS FOR THE KOMPSAT SPACECRAFT

  • Lee, Byoung-Sun;Lee, Jeong-Soo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5권1호
    • /
    • pp.197-208
    • /
    • 1998
  • Ground track manintenance maneuver simulations for the KOMPSAT spacecraft are performed for three and half years. Both longitude targeting and time targeting strate-gies are applied for in-plane maneuvers. The nominal longitude bands of maneuvers for $\pm5km$ and $\pm10km$ are applied for the longitude targeting and the 21-day maneuver time duration is used for the time targeting. Daily solar flux values for the simulation period are derived from the previous solar cycle values. Atmospheric drag formula for the KOMPSAT orbit altitude is derived from Jacchia model using polynomial and sinusoidal curve fitting. Total required delta velocity and proper time between successive maneuvers are estimated during ground track maintenance maneuver simulations.

  • PDF

일점측위에 의한 GPS측정 (GPS Surveying by A Point Positioning)

  • 이용희;문두열
    • 한국항만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19-130
    • /
    • 1998
  • As a satellite positioning system, GPS is designed to provide the information on three dimensional position, velocity, and time all over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obtain what day has the best accuracy and what time has the best accuracy of measuring of forteen-twenty mimutes for effective using of MAGELLAN G.P.S NAV DLX-10 system. The result of measurement maximum deviation value from November, 1997 to March, 1998 that latitude deviation is 3' .75 and longitude deviation is 2' .1 And the result of measurement maximum deviation value during fourteen minutes of April 29, 1998 that latitude deviation is 3' .75 and longitude deviation is 1' .9. The result of measurement maximum deviation value during twenty minutes of May 6, 1998 that latitude deviation is 4' .75 and longitude deviation is 2' .1 and that is provid 3' .25, 4' .1 to May 13, 1998. So, we expect efficient use of horizontal position for navigation.

  • PDF

정지위성 궤도의 평균 궤도 요소 - II -궤도 경사각, 승교점 경도, 위성 경도- (MEAN ORBITAL ELEMENTS FOR GEOSYNCHRONOUS ORBIT -II -Orbital inclination, longitude of ascending node, mean longitude-)

  • 최규홍;박종옥;문인상;배성구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7권1호
    • /
    • pp.11-21
    • /
    • 1990
  • 점융궤도 요소는 평균 궤도 요소, 영년 섭동, 단주기, 장주기항이 포함되어 있다. 접융궤도 요소로부터 평균 궤도 요소로 변환시키는 알고리즘을 기술하였고, 평균 궤도 요소 $W_c,\;W_s$, L도 얻었다.

  • PDF

태풍의 전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curvature of Typhoons)

  • 설동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40-146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20년간(1992-2011년)의 기상 데이터를 이용하여 태풍의 전향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연별 전향하는 태풍의 수는 연별 태풍 발생 수의 감소와 함께 서서히 줄어드는 경향을 보였다. 전향하는 태풍은 특히 8-10월에 많고, 7-10월에 전향하는 태풍의 수는 전체 전향 태풍의 71 %를 차지하였다. 남중국해를 제외한 북태평양에서 전향한 태풍의 수명은 5일과 7일이 가장 많았고, 전향한 태풍의 평균 수명은 6.8일이었다. 이는 전향, 비전향의 모든 태풍의 평균 수명보다 다소 긴 값이다. 전향 태풍의 대부분은 태풍으로 발달한 후 5일 이내에 북위 20-34도, 동경 120-139도에서 북동쪽으로 전향하였다. 평균 전향 위도는 북위 25도, 평균 전향 경도는 동경 135도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