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Examination about Application Possibility of GPS in Determination of Astronomic Latitude and Longitude

천문 경위도 결정에 있어서 GPS의 응용 가능성 검토

  • Published : 1995.12.31

Abstract

The calculation of astronomic latitude and longitude have been carried by astrolabe, theodolite. Conventional procedures to determine it require clear weather conditions, time high cost. So we need more effective method to decide them. The objective here is to present method to computate astronomic latitude and longitude by mixing GPS observation result and geodetic height. Also to decide geodetic height we used GPS/leveling, DMA(n=m=180) and OSU91A(n=m=360) methods. Compared to conventional procedures we could obtain astronomic latitude and longitude using GPS by $1{\sim}3'$ difference. If the precise geoid model of Korea will be developed, we can compute astronomic latitude and longitude effectively using GPS observation only.

천문 경위도는 그 동안 애스트로레이브, 데오돌라이트 등을 이용한 천문 측량에 의해 결정되어 왔다. 그러나 천문 측량 방법은 기상 조건에 많은 영향을 받음은 물론 보정 과정이 복잡하여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므로 보다 효율적 기법의 연구가 요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PS 성과와 기존의 정표고 성과를 조합하여 천문 경위도를 산출하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천문 경위도 결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정표고는 GPS/leveling 방법 지구 중력장 모델을 사용한 DMA 방법 및 OSU91A 방법으로 도출하였으며 이를 근거로 한 각 기법별 천문 경위도를 기존 천문 측량 성과와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두 성과는 $1{\sim}3$초 정도의 차이를 나타냈으며 정표고의 정확도가 천문 경위도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보다 이상적인 지오이드 모델이 개발된다면 GPS 관측만으로도 천문 경위도를 효율적으로 산정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