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evity Population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2초

장수벨트지역 장수인의 식생활 특성 (The Dietary Habits of the Nonagenarian Population in Longevity Belt in Korea)

  • 이미숙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513-524
    • /
    • 2005
  • The dietary habits and eating behaviors of nonagenarian subjects over 90 years old in Korean representative longevity belts of Damyang, Gokseong, Kurye, Sunchang were evaluate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91 elderly people (26 males and 65 females) over 90 years old and their dietary habits, food preferences and meal patterns were collected by individual interview. The percentage of subjects, who answered 'very good' or 'good' for their health status, was $65.9\%$. In this study, $55\%$ of subjects were without chronic diseases, and there was no significance difference in gender. Many subjects had performed regular exercise and outdoor activity. The rate of eating together with their family was $79.1\%$. Most of subjects ($91.2\%$) had a regular mealtime consuming three meals a day, and they had good appetite and pleasure of eating. The higher preference of food group was fruits ($95.6\%$), legumes ($94.5\%$), mushrooms ($93.4\%$) and vegetables ($92.3\%$), but the amount of intakes is higher in vegetables than the others. Eating with family, regular exercise and self-rated good health are improved their nutrient intakes. Most frequently consumed meal pattern was rice plus soup and side dishes. The side dish consumed frequently was Namul (blanch and seasoned vegetables). From this study, the nonagenarian populations in longevity belt in Korea have good dietary habits such as regular mealtime, constant amount of meal and eat with pleasure. They are taking Korean traditional meal pattern, providing enriched antioxidant vegetable foods. Also,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amount and quality of diet in the long-lived elderly are responsible for the Korean traditional family system.

서울의 인구고령화와 고령자 고용의 지역적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tion Ageing and the Employment of Aged Workers of Seoul)

  • 박삼옥;진종헌;구양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3권3호
    • /
    • pp.337-357
    • /
    • 2008
  • 본 논문은 서울의 인구고령화 현상을 살펴보고 이들 고령자 취업의 지역적 특성을 고찰하는 연구이다. 서울시 구별 자료를 토대로 노령화지수와 장수도를 산출하여 시 공간적 변화와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고령자취업알선센터의 자료를 통해 구인처와 구직자, 취업자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서울의 인구고령화는 다른 지역에 비해 최근 들어서 빠른 속도로 진행되었고, 서울 내에서 각 구별로 지역적 차별화를 보였다. 고령자의 취업현황을 살펴보면 단순노무직 비율이 전국 평균에 비해 높게 나타나고, 고용의 지역적 차별화로 인해, 몇몇 지역을 제외하고는 고령자를 위한 고용기회가 충분하게 주어지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구인처와 구직자, 취업자간에는 지리적 부조응(geographical mismatch)이 나타났는데, 이는 고령구직자가 자신의 주거지 주위에서 적절한 일자리를 얻기 힘들다는 것을 의미하며, 고령자의 낮은 이동성을 고려할 때 정책적 제도적 지원 및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한국 노인의 건강실태와 대책방안 (Health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for Korean Elderly)

  • 황현숙
    •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953-975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document is to provide the direction of the policy for welfare of the elderly, by identifying the problems and status of th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The primary source of degrading the living standard of the elderly is the increase of the elderly population and life longevity. The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to enhance the poor living level of the elderly population should be established, to compensate their former economic and social contribution in the society and also to promote the basic human right. The agenda to achieve this goal sums up like these : First, the basic living of the unhealthy elderly belonging to the low-income group, such as government-provided income and medical service should be provided. Second, for those with working ability, more opportunity for working and social activities should be given, focusing on expanding the employment rather than adding income. Third, for those with middle and high income, silver industry and pastime activities should be nurtured. Lastly, rather than institutional protection for the elderly, the welfare service for those staying home should be enforced, thus naturally leading to the family support for the elderly. There cannot be a sound policy for welfare and improvement of living standard ignoring the Well-being of the elderly population. The effort to better the welfare for the minority groups who compose the base of the social base will, eventually, result in the progress of the entire society.

  • PDF

습도와 감귤 잎의 연령이 귤녹응애 증식에 미치는 영향 및 감귤원에서 발생소장 (Effects of Humidity and Citrus Leaf Age on the Multiplication of Aculops pelekassi (Acari: Eriophyoidea) and Seasonal Population Abundances in Citrus Orchards)

  • 서연동;김동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1-6
    • /
    • 2014
  • 귤녹응애(Aculops pelekassi (Keifer))는 제주감귤의 중요한 해충이다. 본 연구는 귤녹응애의 연간 발생소장을 구명하고자 수행하였으며, 습도와 잎의 연령이 밀도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상대습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귤녹응애 성충의 수명 및 산란에 영향을 주었다. 상대습도 33, 75, 84%에서 수명은 각각 7.5, 14.5, 14.6일 이었고, 산란수는 5.4, 21.5, 27.1개 이었다. 감귤 잎의 연령에 따라 귤녹응애의 증식정도는 유의하게 차이가 있었다. 연령이 40일된 잎에서는 귤녹응애 밀도증식이 가장 높았으며, 4주 후에는 10일된 잎에서 증식된 것과 비교하여 3배 이상 높았다. 눈 인편 틈에서 월동한 귤녹응애 성충은 4월 하순부터 활동을 시작하여 5월 중순경부터 봄에 발아하여 전개되는 잎(봄 잎)에서 발생하기 시작하였고, 6월 중순에는 과실에서 발생이 시작되었다. 잎에서 발생소장은 6월 하순에서 7월 발생최성기를 보였고, 과실에서는 8월 상순 발생 최성기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는 감귤원에서 귤녹응애 방제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우리나라 장수자(長壽者)의 생활(生活) 및 의식조사(意識調査)에 관한 연구(硏究) -(1) 장수지역(長壽地域)의 지역적(地域的) 특성(特性)- (Investigation of Daily Life and Consciousness of Longevous People in Korea -(1)The Regional Features of Longevity Areas-)

  • 최진호;변재형;임채환;양종순;김수현;김정한;이병호;우순임;최선남;변대석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권2호
    • /
    • pp.116-126
    • /
    • 1986
  • 우리나라 장수자(長壽者)의 생활(生活) 및 의식조사연구(意識調査硏究)의 일환(一環)으로, 우리나라 장수지역(長壽地域)의 특성(特性)을 조사(調査).비교(比較)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80세 이상 장수자수(長壽者數)는 171,449명(名)으로 전인구대비(全人口對比) 0.46%였으며 이 중 남자가 42,842名(0.23%)이고 여자는 128,607名(0.69%)이었다. 2. 시(市)(도(道))별(別) 장수율(長壽率)을 보면 제주가 1.03%로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전남(0.79%), 전북(0.66%), 경북(0.65%), 경남(0.61%)의 순으로 감소하였고, 인천(0.22%), 서울과 부산(0.23%), 대구(0.28%)등 대도시는 농어촌보다 장수율(長壽率)이 현저히 낮았다. 3. 장수율(長壽率)이 1.0% 이상인 장수지역(長壽地域)은 전국(全國)에서 17개군(個郡)으로, 전남이 10개(個) 지역(地域)으로 가장 많았으며, 그 밖에는 경북과 경남이 2개(個) 지역(地域), 전북, 경기 및 제주가 1개(個) 지역(地域)씩이었다. 4. 전국(全國) 장수지역(長壽地域)중에서 장수율(長壽率) 북제주가 1.65%로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남해(1.56%), 승주(1.24%), 보성(1.22%), 곡성(1.20%)의 순으로 감소하였다. 최장수지역(最長壽地域)인 북제주의 남(男).여별(女別) 장수율(長壽率) 각각 0.71%, 2.51%였다. 5. 우리나라 장수자(長壽者)의 성별(性別) 구성비(構成比)를 보면 여(女)/남비(男比)가 3.0이었다. 따라서 여자가 남자보다 3배(倍) 정도 장수율(長壽率)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6. 장수지역(長壽地域)을 분류(分類)하여 보면 해안(海岸).농어촌지방(農漁村地方)이 7개 지역, 도서지방(島嶼地方)이 3개 지역, 산간벽지농촌지방(山間僻地農村地方)이 7개 지역으로 나눌 수 있었다. 따라서 장수지역(長壽地域)은 탈도시화(脫都市化) 현상(現象)이 두드러진 곳이다. 7. 우리나라 장수지역(長壽地域)의 기상현황(氣象現況)은 연평균(年平均) 기온(氣溫)이 $11.2{\sim}14.8^{\circ}C$, 연평균(年平均) 강우량(降雨量)이 $878.5{\sim}1585.9mm$의 범위내에 있었으며 대부분 북위(北緯) 38도(度) 이남(以南)에 위치하고 있었다. 8. 우리나라 장수자(長壽者)의 교육정도(敎育程度)는 무학(無學)이 전체의 71.5%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서당(書堂)(15.8%)이었으며, 보통학교 졸업 이상이 4.8%에 불과했다. 그러나 남자의 경우는 50.4%가 어떤 형태(形態)든 교육(敎育)을 받았다는 사실은 흥미있는 일이다. 9. 장수자(長壽者)의 일상생활기능(日常生活機能)에 의한 건강상태(健康常態)를 비교하여 본 결과(結果), 지금도 상당히 활발히 활동(活動)하거나 노동(勞動)을 하고 있는 사람이 53.0%로 가장 많고, 그 다음이 집안에서 가벼운 일을 할 수 있는 사람이 23.5%로서, 비교적 활동적인 장수자가 전제의 76.5%나 되고 있으므로 장수자의 현재의 건강상태는 매우 만족스러움을 알수있었다.

  • PDF

인구구조의 변화와 교육투자의 효율성 (The Change of Age Structure of Population and the Efficiency of Education Investment)

  • 이종하;황진영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6호
    • /
    • pp.2528-2534
    • /
    • 2011
  • 본 연구는 106개 국가 간 통계자료를 사용해 인구구조의 변화와 교육투자의 효율성 간의 관계를 검토했다. 선행연구에 기초해 전체인구 대비 청소년층 인구비율과 교육투자의 효율성과 간에는 음(-)의 관계가 존재하는 반면, 노인층 인구비율과 교육투자의 효율성 간에는 양(+)의 관계가 존재한다는 가설을 설정했다. 실증분석 결과 이상의 가설은 표본이나 모형의 선택에 상관없이 성립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고령화와 저출산으로 인해 생산가능인구 감소가 심각한 사회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우리나라와 같은 국가의 경우 보다 교육비지출이 효율적으로 이뤄져야 하며, 교육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Estimation of Under-5 Child Mortality Rates in 52 Low-migration Countries

  • Sapkota, Nirmal;Gautam, Nirmal;Lim, Apiradee;Ueranantasun, Attachai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6권4호
    • /
    • pp.463-469
    • /
    • 2020
  • Reduction of the under-5 mortality rate is a target of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estimate under-5 child mortality rates in 52 low-migration countries using population data. The study utilized population data from the US Census Bureau from 1990 to 2015. The method involved first estimating mortality rates for countries with negligible net migration and then applying these rates to countries with matching mortality profiles, where it is reasonable to assume that migration is negligible for children under the age of 5 years. The highest child mortality was concentrated in the African region, followed by Asia and the Western region. However, steady progress in child mortality trends was concentrated in low-income countries. This simple method demonstrated that child mortality has significantly improved in high-income countries, followed by middle- and low-income countries. To reduce the under-5 mortality rates even further in these 52 countries, there is a need to accelerate equitable plans and policies related to child health to promote children's longevity and survival.

조선조 역대왕의 수명과 그 사인 (Longevity of Kings and their Causes of Death during Yi Dynasty -Based on Review of Historic Royal Archives-)

  • 홍성봉
    • 한국인구학
    • /
    • 제14권1호
    • /
    • pp.35-46
    • /
    • 1991
  • Improvements in various health indices have been ushered in, along with soaring economic growth in the last few decades in Korea. Life span of Koreans at present stands at somewhere around age of seventies. It seems of worth to elucidate some facets of health profile of historic Koreans during Yi dynasty encompassing about five hundreds years between the 14th and 19th century. Datas on health of historic Koreans are meager with exception for sovereigns for whom royal archives have been preserved intact through centuries. Though the health environments for monarchs are, no doubt, incomparable to that of the grassroot levels during the same period, health profile of monarchs would facilitate to assess health indices for historic Koreans during Yi dynasty. Arithmetic average of life span of 25 consecutive Kings(omitted the last two Kings under Japanese control) is 44.6 years of age 81 year old for King Yongjo and 16 year old for King Danjong, representing two extremes. The principal causes of death are septicemia, subsequent to infections of soft tissue and ether organs(8 in number, one-thirds of all). Secondly, both epidemic disease and vascular accidents caused deaths of three Kings each. Two kings succumbed to diabets and one suicide. The causes for the remainder, eight kings are hardly ciarified. The monarchs who contributed in establishment of new Yi dynasty with highspirited and disciplined survied beyond their fifties and sixties. In contrast, those who reigned during mid - era of the dynasty at its culmination succumbed to death in their young adulthood, most likely due to their indulgence in court life.

  • PDF

Comparison of Genetic Diversity and Population Structure of Kalopanax pictus (Araliaceae) and its Thornless Variant Using RAPD

  • Huh, Man-Kyu;Jung, Sang-Duk;Moon, Heung-Kyu;Kim, Sea-Hyun;Sung, Jung-Sook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69-74
    • /
    • 2005
  • Kalopanax pictus is a long-lived woody species mostly distributed in East Asia. K. pictus has been regarded as medically and ecologically important species in Korea. Thornless castor aralia variant, local name 'Cheongsong' is an endemic to Cheongsong province in Korea. Random amplified polymorphic DNA (RAPD) was used to investigate the genetic variation and structure of Korean populations of two species. A high level of genetic variation was found in six K. pictus populations. Twelve primers revealed 49 loci, of which 29 were polymorphic (59.2%). Nei's gene diversity for K.pictus and K. pictus variant were 0.119 and 0.098, respectively. Mean of genetic diversity in K. pictus was higher than average values for species with similar life history traits. The asexual and sexual reproduction, perennial habitat, and longevity are proposed as possible factors contributing to high genetic diversity. An indirect estimate of the number of migrants per generation (Nm=0.857) indicated that gene flow was not extensive among Korean populations of K.pictus. It is suggested that the isolation of geographical distance and reproductive isolation between K.pictus and K.pictus variant populations may have played roles in shaping the population structure of this species.

살충제의 체계적 처리에 의한 벼멸구개체군밀도 억제효과에 관한 연구 II. Buprofezin(Applaud)과 Isoprothiolane(Fuji-one)의 벼멸구개체군 밀도억제에 미치는 몇가지 생물학적특성 (Studies on the Effects of Systematic Applications of Several Insecticides on the Population of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II. Some Properties of Buprofezin (Applaud) and Isoprothiolane (Fuji-one) in their Effects upon the BPH Population)

  • 배윤환;현재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61-68
    • /
    • 1989
  • 살충제의 체계적 처리에 의한 벼멸구 개체군밀도억제 가능성을 검토할 목적으로 실내와 폿트에서 buprofezin과 isoprothiolane의 벼멸구 밀도억제에 관한 몇 가지 특성을 조사하였다. 두 약제 모두 처리농도에서 약충의 발육기간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buprofezin을 약충에 처리했을 경우 그로부터 우화한 성충의 수명이 짧아졌으며, 그 효과는 유영약충에 처리했을 때 더 강하게 나타났다. 폿트에서 buprofezin 2G의 약효지속기간은 약 30일 정도였으며 그의 밀도억제효과는 유영약충의 대다수인 개체군에 처리했을 때 개체군밀도변동상황에 있어서 낮은 밀도수준을 유지할 수 있었다. Isoprothiolane 12G의 개체군밀도억제효과는 약처리당시의 유영약충 비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던 바, buprofezin의 7월중 처리는 개체군년영분포가 유영약충으로 편중되도록 유도하여 목벼열병방제시 처리하는 isoprothiolane의 벼멸구방제효과를 증대시킬 수도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