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ong-term correlation

검색결과 988건 처리시간 0.026초

Contextual Modeling and Generation of Texture Observed in Single and Multi-channel Images

  • Jung, Myung-Hee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35-344
    • /
    • 2001
  • Texture is extensively studied in a variety of image processing applications such as image segmentation and classification because it is an important property to perceive regions and surfaces. This paper focused on the analysis and synthesis of textured single and multiband images using Markov Random Field model considering the existent spatial correlation. Especially, for multiband images, the cross-channel correlation existing between bands as well as the spatial correlation within band should be considered in the model. Although a local interaction is assumed between the specified neighboring pixels in MRF models, during the maximization process, short-term correlations among neighboring pixels develop into long-term correlations. This result in exhibiting phase transition. In this research, the role of temperature to obtain the most probable state during the sampling procedure in discrete Markov Random Fields and the stopping rule were also studied.

Long-term Changes of Physicochemical Water Quality in Lake Youngrang, Korea

  • Bhattrai, Bal Dev;Kwak, Sungjin;Choi, Kwansoon;Heo, Woomyung
    • 생태와환경
    • /
    • 제50권1호
    • /
    • pp.169-185
    • /
    • 2017
  •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water quality were analyzed to understand the long-term variations in Lake Youngrang from 1998 to 2015.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ere applied to deduct correlation among water quality parameters and water quality trend. In total observations(N=64), the Secchi depth (SD) transparenc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alinity (r=0.458) and high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chlorophyll-a (r= -0.649) for p<0.0001 in two-tailed test of Spearman's rank correlation.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s of SD were observed with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phosphorus (TP) and total nitrogen (TN). These correlation patterns were very similar in rainy (N=25) and non-rainy (N=39) periods too. Chlorophyll-a (Chl-a) ha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COD. Sen's slope test was performed along with Mann-Kendall trend test (significance ${\alpha}=0.05$, two-tailed) to find water quality trend. Positive trends were observed for SD and salinity with Sen's slopes 0.012 and 0.385, respectively (p<0.0001). Negative significant trends were observed for total nitrogen (TN) and Chl-a with Sen's slopes -0.02 (p<0.0001) and -0.346 (p=0.0010), respectively. Temperature, COD and phosphorus components had no trends. Carlson's trophic state index (TSI) for SD, TP and Chl-a were obtained in the ranges of 46~80, 37~82 and 39~82, respectively. Trophic index values suggest that Lake Youngrang was mesoeutrophic to eutrophic and there could be possibility of anoxia during the summer and dominance of blue-green algae. Excess nutrient inputs from external and internal sources were the causes of eutrophication in this lake. The findings of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recognize water quality variables to manage the water body.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및 소진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Burnout on Turnover Intention of Care Worker's at Long-Term Care Hospitals)

  • 윤순철;권수혜;강효정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5호
    • /
    • pp.428-440
    • /
    • 2016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감정노동, 직무스트레스, 소진과 이직의도의 정도와 그 관계를 파악하며 이직의도에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K대학교 기관생명윤리위원에서 승인을 받았으며 자료수집 기간은 2015년 8월 12일부터 9월 30일까지이며, 자료는 SPSS/WIN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B광역시와 G도 소재 10개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200명으로 구조화된 자기기입형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는 감정노동(r=.372, p<.001), 직무스트레스(r=.471, p<.001), 소진(r=.411, p<.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beta}=.29$, p<.001), 소진(${\beta}=.24$, p<.001), 취업형태(${\beta}=.19$, p<.001), 감정노동(${\beta}=.16$, p=.017)으로 확인되었고, 이 변인들은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총 32.6%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이직의도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킬 수 있는 적절한 근무환경 개선 및 명확한 직무기술이 요구되며, 소진 및 감정노동의 경감을 위한 적극적인 심리사회적 중재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End of Life Care Competencies and Terminal Care Stress of Nurses in Long Term Care Hospitals)

  • 정영희;전경자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2권3호
    • /
    • pp.125-133
    • /
    • 2019
  • 목적: 요양병원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상관관계를 확인하여 요양병원 간호서비스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방법: 충청남도 A시, C시 소재 요양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6개월이상 경력의 임종간호 경험이 있는 간호사 14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지는 2018년 1월 17일부터 3월 3일까지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SPSS WIN ver.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및 t-test, One way ANOVA, Scheffe-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multiple stepwised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 간호사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은 5점 척도의 평균 $3.54{\pm}0.46$점이며 임종간호스트레스는 평균 $3.77{\pm}0.50$점으로 보통 수준 이상이었다. 연령, 총임상경력, 죽음교육 또는 호스피스 완화의료 교육, 직계가족의 임종경험 여부에 따라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과 임종간호 스트레스 수준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총점평균의 상관관계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은 임종간호 스트레스 중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와 음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r=-0.260, P=0.002). 결론: 이상의 연구결과를 볼 때, 요양병원 간호사의 임종간호 스트레스는 보통 수준 이상으로 높으며 생애말 환자간호 역량이 높을수록 전문지식과 기술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는 낮아지므로 간호사의 특성에 맞춘 생애말 환자간호 교육프로그램이 실시되어야 한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된 간호실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actices of Physical Restraint Use among Nurses work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 하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0권3호
    • /
    • pp.526-534
    • /
    • 2019
  • 환자에게 사용되는 신체적 억제대가 신체적, 정신적 윤리적으로 많은 문제점을 일으키지만, 여전히 임상에서는 무분별하게 사용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된 간호실무에 대한 관련 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조사연구를 시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7년 1월 2일부터 6월 30일까지 11개의 요양병원 간호사 128명을 대상으로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통해 시행되었다. 자료 분석은 기술적 통계, t-test, one-way ANOVA, Welch's test,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및 다중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요양병원 간호사들의 신체적 억제대에 대한 지식, 태도, 인식 및 간호실무 정도는 보통 정도로 나타났으며, 간호실무와 지식 사이에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신체적 억제대 사용과 관련된 간호실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지식(${\beta}=0.27$, p=.002), 태도(${\beta}=-0.17$, p=.044)순으로, 이들 전체 변수의 설명력은 9%였다. 본 연구에서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간호실무에 가장 중요한 예측 인자는 신체적 억제대 사용에 대한 지식임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요양병원에서 신체적 억제대 사용을 줄이기 위한 근거기반의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이 필요하겠다.

요양병원 간호사의 재난 인식, 재난에 대한 태도, 재난간호역량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erception of Disaster, Attitude toward Disaster and Competency of Disaster Nursing of Long-term Care Hospital Nurses)

  • 송인자;정미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593-601
    • /
    • 2022
  •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재난 인식, 재난에 대한 태도, 재난간호역량 간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 광역시와 J도 소재 200병상 이상 요양병원 간호사 123명이었고, 자료수집기간은 2021년 2월 15일부터 2021년 4월 30일까지였다. 연구 결과 수간호사 이상(F=3.89, p=.023), 총 경력 20년 이상(F=5.34, p=.002), 재난간호 교육 경험이 있는 경우가 재난간호역량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t=3.87, p<.001). 또한 재난간호역량은 재난 인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나, 재난에 대한 태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양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역량를 강화하기 위해 기관의 특성에 맞는 실무중심 재난간호교육 프로그램 중재가 필요하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요양병원 간호사의 재난간호역량 증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장기요양기관 시설장의 노인 응급상황 인식 및 대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and Emergency Coping Ability of the Elderly in Long-term Care Facilities)

  • 김순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5호
    • /
    • pp.325-336
    • /
    • 2020
  • 본 연구는 장기요양기관에서 서비스를 총괄하고 있는 시설장을 대상으로 노인 응급상황에 대한 인식 및 대처능력을 파악하여 시설장의 응급상황 대처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및 정책자료 개발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노인요양시설 및 재가센터 시설장 192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3.15~4.20,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Scheffe,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시설장의 응급상황 경험은 97.4%로 높았고, 응급상황 인식도 6.16점, 정답률 62%로 중간정도 수준이였고, 응급상황 대처능력은 평균 69.61±13.537점 이었다. 응급상황 경험과 응급상황 대처능력(r=-.202, p=.005)은 음의 상관관계, 응급상황 대처능력 영향 변수는 장기요양기관 유형(β=8.253, p<.001)이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시설장 대상 응급교육 적용 시 장기요양기관 유형을 고려하여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할 필요가 있겠다.

요양병원 직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Resilience on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

  • 박종원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1호
    • /
    • pp.39-50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직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및 근무환경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경기도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 요양병원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180부가 최종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분석과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 중에는 나이, 결혼유무, 경력, 직위가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업무성과의 정도는 평균 91.25(±12.46)점, 감정노동은 평균 41.25(±4.21)점, 회복탄력성은 평균 52.89(±6.37)점, 근무환경은 평균 78.93(±15.3)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근로자의 업무성과는 감정노동(r=.326, p<.001), 근무환경(r=.384,p=.005), 회복탄력성 .417(p<.001)의 변수 모두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업무성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근무환경이었으며 두 번째로는 회복탄력성이었다.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48.2%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8.249, p<.001).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수성이 있기는 하지만 이상의 결과에서 요양병원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무환경을 좀 더 세심하게 개선하고 근로자들이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제주지역 미세먼지의 장기변동 및 농도변화에 관한 국지기상 분석 (An Analysis of Long-Term Variation of PM10 Levels and Local Meteorology in Relation to Their Concentration Changes in Jeju)

  • 박연희;송상근;이수정;김석우;한승범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07-125
    • /
    • 2016
  • Long-term variations of $PM_{10}$ and the characteristics of local meteorology related to its concentration changes were analyzed at 4 air quality sites (Ido-dong, Yeon-dong, Donghong-dong, and Gosan) in Jeju during two different periods, such as PI (2001-2006) and PII (2007-2013), over a 13-year period. Overall, the long-term trend of $PM_{10}$ was very slightly downward during the whole study period, while the high $PM_{10}$ concentrations in PII were observed more frequently than those in PI. The concentration variations of $PM_{10}$ during the study period was clarified in correlation between $PM_{10}$ and meteorological variables, e.g. the low (high) $PM_{10}$ concentration with large (small) precipitation or high (low) radiation and in part high $PM_{10}$ concentrations (especially, Donghong-dong and Gosan) with strong wind speed and the westerly/northwesterly winds. This was likely to be caused by the transport effect (from the polluted regions of China) rather than the contribution of local emission sources. The $PM_{10}$ concentrations in "Asian dust" and "Haze" weather types were higher, whereas those in "Precipitation", "Fog", and "Thunder and Lighting" weather types were lower. The contribution of long-range transport to the observed $PM_{10}$ levels in the urban center (Ido-dong, Yeon-dong, and Donghong-dong), if estimated by comparison to the data of the background site (Gosan), was found to explain about 80% (on average) of its input.

악교정술전후의 설위 및 설골의 위치변화와 회귀현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F RELAPSE AND POSITION OF HYOID BONE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 이상한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13권4호
    • /
    • pp.476-490
    • /
    • 1991
  • Although various technical details of the surgical procedures have been improved, Skeletal relapse is the most noteworthy complication of orthognathic surgery. It seems to be an imbalance of the perioral muscular groups resulting from changes in the cavitas oris propria after surgery. Among other factors, it is widely known with the changes of tongue posture, as indicated by the hyoid position. Ten patients that had undergone mandibular setbacks by way of Modified Obwegeser method were evaluated retrospectively. The serial cephalometric films were taken preoperatively, immediately postoperatively, after removal of IMF, and at a subsequent long-term follow-up period. The cephalometric evaluation of tongue posture were based on stable craniofacial landmarks. The relation between the 2-dimensional changes of tongue posture and hyoid position and the relapse of mandibular setback are discussed. Anatomic changes that were found to accompany such setback are as follows. 1.There are 2 cases of relapse in 10 patients at long-term follow-up(20%) 2.The tongue was moved posteriorly and its size was reduced anteriorly and posteriorly at immediate postoperative change and then the mandible shifted slightly toward the preoperative position, but the long was adapted to its new environment due to changing the position of its posterior part, and also the hyoid that moved posterioly and inferiorly was stabilized sightly posteriorly than its original position. 3.On the distance change of the suprahyoid muscle, the distance of P-H, ST-H was increased at immediate postoperative change(p<0.01) and decreased at IMF period(p<0.001), but the distance of H-Me, H-Ge was slightly decreased at IMF and long-term period(p<0.05). 4.On the width change of the pharyngeal air way, the width of the upper part of the pharyngeal space was lightly contracted at IMF and long-term period(p<0.05). 5.On the relation between mandibular setback and tongue posture and hyoid position, the significant correlation was found between the changes of some parts of mandibular setback and those of tongue posture, and not found those of hyoid posi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