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Long-term Care Hospitals

Search Result 305, Processing Time 0.041 seconds

일개 특수 요양병원 환자들의 특성 및 사망 위험요인 (Characteristics and Death Risk Factors of Patients in Long-Term Care Hospital Connected to Special Hospital)

  • 박운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651-659
    • /
    • 2020
  • 일 공공기관 S보훈병원과 상호 연계된 협진체제를 구축하여 운영하고 있는 V요양병원 환자들의 특성 및 사망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양질의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V요양병원에서 2017년 1년 동안 850명의 퇴원 환자를 대상으로 2020년 3월1일부터 5월31일까지 3개월 동안 추적조사를 하였다. 조사분석 결과 V요양병원 입원환자는 최저 37세에서 최고 100세로 평균연령은 79.2세, 70세 이상이 86.4%로서 타 선행연구보다 연령 비중이 높았다. 국가유공자가 75.4%로서 유가족이나 일반인 환자보다 3배 이상 높았다. 주진단명은 치매 질환이 22.2%로 가장 많았으며, 심혈관질환, 마비증후군 순이였다. 평균재원일수는 160일이였으며, 재원일수 180일 이상이 46.4%로서 일반 요양병원의 37%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사망률이 여성보다 높고, 국가유공자는 사망이 생존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망위험요인은 연령과 재원일수 이었다. S보훈병원으로 전원이 높은 것은 응급센터/재활센터/심혈관센터 등의 진료 이용이 신속하고, 다양한 회복치료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V요양병원 중증 만성질환자들에게 S보훈병원으로의 전원은 진료이용이 신속하고 다양한 회복치료의 효과가 높으므로 협진체계를 확대 운영하여 요양병원 만성질환자들에게 건강 회복을 통한 행복한 삶의 질을 높여야 할 것을 시사한다.

요양병원 직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등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Emotional Labor, Resilience on Performance of Long-term Care Hospital Employee)

  • 박종원
    • 벤처혁신연구
    • /
    • 제4권1호
    • /
    • pp.39-50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 직원의 감정노동, 회복탄력성 및 근무환경이 업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실증적 연구이다. 경기도에 소재한 200병상 이상 요양병원 직원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회수된 설문지 중 180부가 최종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 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 Pearson correlation 분석과 위계적 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일반적 특성 중에는 나이, 결혼유무, 경력, 직위가 업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업무성과의 정도는 평균 91.25(±12.46)점, 감정노동은 평균 41.25(±4.21)점, 회복탄력성은 평균 52.89(±6.37)점, 근무환경은 평균 78.93(±15.3)점으로 나타났다. 요양병원 근로자의 업무성과는 감정노동(r=.326, p<.001), 근무환경(r=.384,p=.005), 회복탄력성 .417(p<.001)의 변수 모두와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업무성과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근무환경이었으며 두 번째로는 회복탄력성이었다. 회귀모형에 대한 설명력은 48.2%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F=58.249, p<.001). 코로나 바이러스의 특수성이 있기는 하지만 이상의 결과에서 요양병원의 업무성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근무환경을 좀 더 세심하게 개선하고 근로자들이 정신적, 신체적 건강을 유지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이나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요양병원 치료사의 코로나19 대응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Qualitative Study on Experiences of Responding to COVID-19 of Therapists in Long-term Care Hospitals)

  • 배원진;박주영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5권4호
    • /
    • pp.337-347
    • /
    • 2021
  • 본 연구는 요양병원에 근무하는 치료사의 코로나19 대응 전략 및 치료실 감염관리 시스템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치료사의 감염관리 업무 이해를 돕고자 실시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방법은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요양병원에서 근무 중인 작업치료사와 물리치료사 9명을 대상으로 전화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연구대상자의 동의하에 녹음하였으며, 추가적인 내용 확인은 이메일로 받았다. 녹음된 내용은 전사 뒤 분석하여, 코로나19에 대처한 경험의 의미와 본질을 기술하였다. 인터뷰 내용은 6개의 주제와 17개의 중심의미, 49개의 의미단위로 정리하였다.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요양병원 내 감염관리 교육 강화, 감염관리 실천, 업무시간 외 감염관리 감독으로 감염관리 시스템이 강화되었으며, 치료실 내 거리두기 실천, 업무시간 내 휴식 및 식사시간 조정, 감염관리 강화로 치료활동 제약으로 치료 환경이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치료사의 역할이 확대되고 언택트 중재방법에 대한 고려하는 등 치료의 패러다임이 변화되었으며, 코호트 격리, 코로나19 사전검사, 백신접종과 부작용 경험으로 코로나19에 따른 새로운 경험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감염업무로 인해 치료사의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두려움과 우울감, 업무 스트레스를 겪고 있으며, 백신접종 후 휴식 보장, 감염관리 도구 및 장비 지원 등 요양병원 치료인력 지원의 필요성도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요양병원 치료실 내 감염병 대응 전략 프로그램 개발 및 요양병원 감염관리를 위한 인적, 물적 지원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국내 일개 2차 병원의 암환자 치료 실태 (Treatment of Patients with Cancer in a Secondary Hospital in Korea)

  • 손명균
    • Journal of Hospice and Palliative Care
    • /
    • 제21권3호
    • /
    • pp.84-91
    • /
    • 2018
  • 목적: 본 연구는 국내 2차 병원의 암환자 치료 실태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 한 2차종합병원에서 2009년 1월 1일부터 2017년 9월 31일까지 입원치료 받은 암환자를 대상으로 전자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연구 대상자는 총 223명이었다. 2차 병원 입원 이유로는 3차 병원에서의 수술,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치료 후의 지지요법 위한 경우가 69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기타 지지치료 위한 입원(58명), 증상 조절 위한 입원(53명), 2차 병원 입원 중 암이 진단된 경우(27명), 적극적 항암치료를 하지 않기로 한 후 전원 된 경우(16명) 순이었다. 퇴원 시 타 기관으로 전원 된 환자 75명 중 3차 병원으로 전원 된 환자들이 50명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요양병원(10명), 호스피스병원(8명), 요양원(4명), 2차 병원(2명) 순이었다. 암 외 동반질환을 가진 환자가 120명(53.8%)이었다. 타 진료과로 협의진료 의뢰된 경우 암 관련 의뢰보다 암 외 다른 질환으로 의뢰된 경우가 더 많았다. 심폐소생술금지에 동의한 경우는 73명이었다. 결론: 암환자 치료를 위해 의료기관 간 협력체계 확립이 필요하며, 암 외 동반질환 치료 등 종합적인 관리가 필요하다.

대학병원과 종합병원 직원의 부서간 갈등수준 비교분석 (Comparison of level of interdepartmental conflict among employees' in the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 손태용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0-61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efficiency of the management of the controls organization in the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by evaluating the factors underlying organizational conflict. The subject population included 351 hospital workers randomly selected from two general hospitals of less than 200 beds and two university hospitals over 500 beds in Seoul area.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survey questionnaire. To define related factors for the level of conflict among departments in each hospitals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Independent factors were characteristics of subjects, conflicting factors between the departmen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ose in high job position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ly higher level of conflict between departments. Those working in the general hospitals, who were older and had long-term tenure at current working hospital had higher level of conflict between the departments. 2. Concerning the involvement of conflicting factors and the level of conflict in the employee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reliability and job-related and intra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in university hospitals.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interdepartmental conflicting factors of mutual dependence, difference in goal/orientation and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3. In the university hospitals, among the interdepartmental factors, mutual dependence and difference in goal/orient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In the general hospitals, job position was a significant factor which showed that those in high position such as section chief or above, compared to those in general position had higher level of conflict. Among the interdepartmental characteristics, factors of mutual dependence and goal/orientat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e and showed a positive relationship with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In the general hospitals setting efforts to reduce conflict in areas among workers with high position, old age, and long tenure and those in medical care department should be made and prudent management and planning for improved manpower and increased budget or efficient allocation and clear definition of job description are necessary to adequately assess. In the university hospitals setting efforts to reexaminitation of the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efficiency conveyance of information and efforts to resolve conflict among young workers with lower level of education is need. This study has its own merit in comparing empirically the conflict among hospital workers in the university hospitals and general hospitals. Future study are needed with respect to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departmental level of conflict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hospital organization for improved resolution of conflict in the organization and hospital management.

  • PDF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동 간호사의 우울 예측 요인 (Factors Influencing Depression of Nurses amo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 이에리쟈;장성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340-351
    • /
    • 2016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depression and its influencing factor of nurses amo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Methods: The research wa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73 nurses of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in Gyeonggi-do. Data collection was done using self-reported structured questionnaires asking about job stress, emotional labor, job burnout, somatic symptoms, turnover intention, depression and general characteristics from May 16 to June 3, 2016. Data were analyzed with SPSS/WIN 19.0 program. Results: Mean scores of job stress were 159.15(range 43~215), emotional labor 30.90(range: 9~45), job burnout 59.45 (range: 0~132), somatic symptoms 24.03 (range: 12~60), turnover intention 5.61 (range 0~18) and depression 19.25 (range: 0~60) and reported as depression in 63.6%. Somatic symptoms (${\beta}=.26$, p<.001), job burnout (${\beta}=.37$, p<.001) had significant associations with depression and the most important variable was job burnout.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developed program to reduce job burnout in hospitals and to prevent and/or control depression. And also, it needs to improve working conditions and increase the nursing staff to reduce somatic symptoms for nurses among comprehensive nursing care service ward.

Y의료원의 물류 공급체계 중앙화 관리에 대한 연구 (A Study of an effective centralization of medical supply system. In Y University Medical Center)

  • 권순창;김영수
    • 한국병원경영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20
    • /
    • 1999
  • Since the late 1980s, there have been radical changes in the managerial environment of Y University Medical Center(YUMC). Externally, the competition among hospitals has intensified due to the establishment of universal health insurance in 1939 and the entrance of large enterprises into the health care industry in the early 1990s. In addition, government regulation of medical institution is becoming stricter. Also, consumer groups have continued to demand the respect for patient rights and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medical services. Internally, the financial condition of YUMC has worsened, not only because weak control and poor mediation in its large-scale structure have made its operation inefficient, but also because the rates of increase in the prices of goods and labor have grown faster than any increases in revenues. This study on materials management at YUMC presents a way for YUMC to reduce costs and increase its productivity, thereby overcoming its financial difficulties and dealing with external pressures. This study utilized the case studies of the materials purchasing and medical supply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of management to suggest short-term and long-term alternatives for innovation in YUMC. The goals of the short-term alternatives for innovation are to centralize the purchasing and supply departments and to simplify the decision-making processes. Through these attempts, it is estimated that YUMC's costs could be reduced by $600,000 per year. In the long-term,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ing a Supply Processing Distribution(SPD) system and setting up a centralized electronic system for supply and inventory management, although it is difficult to estimate the effect of cost-cutting because of the lack of analysis data. Thus, YUMC should thoroughly analyze initial investment costs and economical efficiency generated from long-term alternatives.

  • PDF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Geriatric Care Helpers)

  • 임정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225-235
    • /
    • 2011
  •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 의해 부산지역에서 노인요양과 관련된 기관에서 노인요양 업무를 수행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355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방법은 소속기관에 따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경험과 대처노력, 그리고 직무만족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하여 t-test를 실시하였으며, 소속기관에 따라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기 위하여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는 요양병원 요양보호사가 요양시설 요양보호사 보다 적게 받고 있는 것으로 소속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도는 요양시설에 요양보호사가 요양병원 요양보호사보다 높은 것으로 소속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요양보호사의 스트레스 대처경험과 대처노력은 소속기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 영향요인은, 요양병원 요양보호사의 경우 고용형태 업무 스트레스 환자와의 스트레스 요인이었으며, 요양시설 요양보호사의 경우는 평균임금 고용형태 관리환자 수 업무 스트레스 근무조건 스트레스 환자와의 스트레스이었다. 그러나 소속기관 관계없이 공통적인 영향요인은 고용형태가 정규직인 경우, 업무 스트레스가 낮을수록, 환자와의 스트레스가 높을수록 직무만족이 높다는 것이었다.

치과위생사에 관한 일부 의료종사자의 인지도 조사 (Recognition of Health Care Workers for Dental Hygienists)

  • 박소영;원영순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3호
    • /
    • pp.127-140
    • /
    • 2012
  • This study involved an investigation of perception of dental hygienists based on a self-reported survey of a sample of 230health care personnel working at long-term care hospitals located in Gyeonggi Province, Korea. The primary objective was to provide basic data for establishing various policies related to building up a positive image of dental hygienists as a profess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79.1% of the respondents recognized dental hygienists as a profession. Among the titles for a dental hygienist, "teacher" was the most common with 47.4% of all. Female respondents and respondents who were able to discern between dental hygienists and nursing assistants were more likely to perceive dental hygienists positively than male respondents and ones who were not, respectively. Among social perceptions of dental hygienists was there a negative finding, that is, there was no appropriate title to address dental hygienists. This negative finding indicates that there is a vital need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who are dental hygienists as a professionals level at the individual as well as institutional level.

중환자실 간호사의 표준주의에 대한 지식과 이행도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by Nurses in Intensive Care Unit)

  • 조귀래;최정실
    • 기본간호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73-81
    • /
    • 2010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identify the intensive care unit nurses' knowledge of and compliance with the standard precautions (universal precaution) as stated in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Method: From September 14 to September 28, 2006, data were collected via a questionnaire survey from 189 Intensive Care Unit nurses working at three university branch hospitals and one general hospital in Gyeonggi province. Results: The mean knowledge score was 18.8/20.0 (93.9%). The mean compliance score was 3.4/4.0 (85.8%). Two factors influencing compliance were perception of the standard precautions and experience of needle stick injuries over the past year (p<.05). Two factors influencing knowledge were support of co-workers in the use of protective devices and the availability of hand-washing device or waterless alcohol gel (p<.05). Conclusion: In order to improve knowledge and compliance with standard precautions, all factors of importance for knowledge and compliance must be taken into consideration in the clinical work place and in edu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