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ng Elbow

검색결과 147건 처리시간 0.026초

제 2단계 견봉하 충돌증후군에서 관절경적 감압술(5년에서 12년의 장기추시관찰 결과) (Arthroscopic Decompression in Stage II Subacromial Impingement - Five to Twelve Years Follow up -)

  • 최종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권2호
    • /
    • pp.99-105
    • /
    • 1999
  • We investigated the effectiveness of arthroscopic decompression in stage Ⅱ subacromial impingement after long term follow up. Arthroscopic subacromial decompression was done in 104 consecutive patients who had stage Ⅱ sub­acromial impingement. After average of 8.4 years follow up, the final results were as following; 57 shoulders(55%) in excellent, 25(24%) in good, 16(15%) in fair and 6(6%) in poor. All parameters-pain, function, muscle strength and motion-were improved significantly(p<0.00l). Rotator cuff tear was developed in 10 shoulders after decompression. Among them, 8 shoulders had unfavorable results including two poor. In 6 failures, two had rotator cuff tear, three had recurrence of impingement with degenerative change and reflex sympathetic dystrophy was developed in one. Reoperations were done in 4 shoulders. Improvement of impingement symptoms was maintained in the most of patients(79%) after long term follow up. Arthroscopic decompression surgery was very effective means for stage Ⅱ impingement syndrome.

  • PDF

관절경을 이용한 주관절 활막 추벽의 제거 (Arthroscopic Resection of Synovial Plica in Elbow)

  • 유연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50-58
    • /
    • 2007
  • 목적: 주관절의 후외측 동통과 탄발음을 유발할 수 있는 주관절의 활막추벽 9예에 대한 관절경적 경험과 해부학적 특징을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5월부터 2004년 1월까지 주관절 관절경을 받은 43명의 환자 중 활막추벽으로 진단되었거나 제거 받은 12개월 이상 추시가 가능했던 8명의 환자 9예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양측 성을 보인 1명 2예를 포함한 남자가 8예 여자가 1예이었고 평균 연령은 29세 이었다. 모든 환자는 수술 전까지 최소 6개월의 보존적 치료를 받았으며 술 전 활막 추벽이라고 진단했던 경우가 6예, 외상과 염으로 진단했거나 진단이 처음부터 불분명하여 수술 중에 발견했던 경우가 3예이었다. 수술 직 후 관절경 소견으로 추벽의 형태를 분류하였고 최종 추시시점에서 통증 및 탄발음 소실 여부와 함께 Visual Analogue Scale (VAS)의 변화와 환자의 만족도를 조사였다. 결과: 관절경 소견상 전 예에서 외측 활막 추벽과 함께 전 외측에서 국한된 국소적 활막염의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7예에서 요골 두의 연골 연화증 또는 미란 소견을 보였다. 그러나 소두변화는 1예에서만 보였다. 2예를 제외한 7예에서 수술 직후부터 통증과 탄발음이 소실 또는 완화되었으며(VAS<1) 최종 추시 상에의 통증지수는 평균 6.8 에서 0.9로 감소하였다. 그 중 미약한 탄발음이 지속되었던 1예는 불완전한 제거로 판단하여 재수술을 시행하였다. 결론: 주관절의 활막 추벽은 주관절의 잠김 또는 외측 동통을 일으키는 주 진단범주에 포함시켜야할 것이며 특히 오랫동안 지속된 저항성 외 상과염이라면 활막 추벽을 고려해 봐야 할 것이다. 관절경을 통한 추벽의 제거는 매우 안전하고 효과적이었으며 단기 추시에서 매우 우수한 결과를 보였다.

Prevalence of rotator cuff diseases in adults older than 40 years in or near Chuncheon city, Korea

  • Kim, Do-Young;Hwang, Jung-Taek;Lee, Sang-Soo;Lee, Jun-Hyuck;Cho, Min-Soo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3권3호
    • /
    • pp.125-130
    • /
    • 2020
  • Background: To determine the prevalence of rotator cuff diseases in a population older than 40 years in or nearby Chuncheon city, Republic of Korea. Methods: Sixty shoulders of 30 people older than 40 years who participated in a health lecture were examined for free by an orthopedic surgeon. Visual analog scale of pain and American Shoulder and Elbow Surgeons scores were assigned, and routine physical examination was performed.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on the shoulder. Results: On ultrasonographic examination, there were one shoulder with ful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20 of 60 (33%) with partial thickness rotator cuff tear, five of 60 (8%) with calcific tendinitis, one of 60 (2%) with tear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and five of 60 (8%) with tendinitis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Participants older than 60 years showed significantly high proportions of lesion of the long head of the biceps and rotator cuff diseases (P=0.019 and P=0.015, respectively). Participants who performed physical labor had high proportions of rotator cuff tear and rotator cuff disease (P=0.001 and P<0.001, respectively). Conclusions: Rotator cuff diseases showed a high prevalence in aged persons and resulted in a decrease in shoulder function.

Diagnostic Consistency between Sonoelastography and Conventional Sonography of Long Head of the Biceps

  • Yoon, Sunghyun;Seo, Joong-Bae;Yoo, Jae-Sung;Ryu, Jee-Won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7권3호
    • /
    • pp.107-113
    • /
    • 2014
  • Background: Sonoelastography (SE) is a new technique that can assess differences in tissue stiffn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ability of SE to assess the long head of biceps tendon alteration. Methods: Forty shoulders of 36 consecutively registered patients with clinical symptoms and conventional ultrasonography findings of biceps tendinitis or tendinosis, and 40 asymptomatic shoulders of 20 healthy volunteers were assessed with SE. Transverse and longitudinal images of long head of biceps tendon were obtained using SE. SE images were performed by one orthopedic surgeon and evaluated by two orthopedic surgeons using an experimentally proven color grading system. Results: The transverse images of SE showed a sensitivity of 87.5%, a specificity of 95.0% and a accuracy of 91.3%, the longitudinal images of SE showed a sensitivity of 92.5%, a specificity of 90.0% and a accuracy of 91.3%. Inter-observer reliability of SE was in 'almost perfect agreement' with a weighted kappa coefficient of 0.83. Conclusions: SE is valuable in the detection of the intratendinous and peritendinous alterations of biceps tendon, and has excellent accuracy and excellent correlation with conventional ultrasound findings.

Biceps long head tendon revisited: a case report of split tendon arising from single origin

  • 김경천;이광진;신현대;변기용
    • 대한견주관절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견주관절학회 2008년도 제16차 학술대회
    • /
    • pp.165-165
    • /
    • 2008
  • A 27-year-old, right-hand-dominant woman with a posttraumatic anterior shoulder dislocation 3 months earlier after traYc accident presented because of pain and limited range of motion in the right shoulder. On physical examination, the patient had negative instability tests and a sulcus sign. On arthroscopic examination, a bifurcate long biceps tendon with two limbs was observed about 1 cm distal to the origin in the supraglenoid tubercle. We found no evidence of a tear in the long biceps tendon on probing, and the margin of each limb was smooth and round. Although this anatomic variant may be benign, its presence might be associated with other shoulder pathology. It is interesting to speculate whether the aberrant biceps anatomy in our patient contributed to transfer of injury at dislocation to the rotator cuff rather than to the classic anterior-inferior capsulolabral complex. In addition, recognition of the described anatomic variant on arthroscopy can aid the shoulder surgeon in focusing treatment on the actual pathology.

  • PDF

이두근 장두 건 고정술시 강한 고정이 필요한가? (Is the Strong Fixation Necessary in Performing Biceps Tenodesis?)

  • 송현석;최우혁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5권2호
    • /
    • pp.148-153
    • /
    • 2012
  • 다양한 이두근 건고정술이 시행되고 있어서, 문헌들의 결과를 단순 비교하기 어렵게 만든다. 이두근 장두의 건고정술은 첫째로, 시술을 관혈적 절개를 통하여 시행하는가 또는 관절경을 이용한 방법으로 시행하는가로 구분해 볼 수 있다. 두 번째로는, 이두건 자체를 고정하는 주변 조직에 따라서 연부 조직 건고정술과 골 고정술로 나눌 수 있다. 세 번째로는, 고정하는 위치에 따라 근위부와 원위부로 구분할 수 있다. 네 번째로는, 건 고정술에 기구(간섭 나사, 봉합 나사, 비매듭 봉합 나사 등)를 사용하는 가에 따라서 구분해 볼 수 있다. 적절한 고정력이 어느 정도인지 밝혀지기까지는 단정적인 결론은 보류되어야 한다.

Core decompression for early-stage avascular necrosis of the humeral head: current concepts and techniques

  • Michael D. Scheidt;Saleh Aiyash;Dane Salazar;Nickolas Garbis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6권2호
    • /
    • pp.191-204
    • /
    • 2023
  • Avascular necrosis (AVN) of the humeral head is a rare, yet detrimental complication. Left untreated, humeral head AVN frequently progresses to subchondral fracturing and articular collapse. Cases of late-stage humeral head AVN commonly require invasive procedures including humeral head resurfacing, hemiarthroplasty, and total shoulder arthroplasty (TSA) to improve clinical outcomes. However, in cases of early-stage AVN, core decompression of the humeral head is a viable and efficacious short-term treatment option for patients with pre-collapse AVN of the humeral head to improve clinical outcomes and prevent disease progression. Several techniques have been described, however, a percutaneous, arthroscopic-assisted technique may allow for accurate staging and concomitant treatment of intraarticular pathology during surgery, although further long-term clinical studies are necessary to assess its overall outcomes compared with standard techniques. Biologic adjunctive treatments, including synthetic bone grafting, autologous mesenchymal stem cell/bone marrow grafts, and bone allografts are viable options for reducing the progression of AVN to further collapse in the short term, although long-term follow-up with sufficient study power is lacking in current clinical studies. Further long-term outcome studies are required to determine the longevity of core decompression as a conservative measure for early-stage AVN of the humeral head.

Histological Changes in Biceps Muscle after Tenotomizing the Biceps Long Head in a Rat Model

  • Song, Ha-Jung;Heu, Jun-Young;Song, Hyun Seok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21권2호
    • /
    • pp.87-94
    • /
    • 2018
  • Background: Popeye deformity is common after rupture of the biceps muscle's long head tendon. Herein, we report on histological changes in biceps brachii muscles following tenotomy of the long head biceps tendon. Methods: Twelve Sprague-Dawley rats (12-week-old) underwent tenotomy of the long head biceps tendon in the right shoulder. At postoperative weeks 4, 7, and 10, the operative shoulders were removed by detaching the biceps brachii muscle from the glenoid scapula and humerus; the opposite shoulders were removed as controls. H&E staining was performed to elucidate histological changes in myocytes. Oil-red O staining was performed to determine fatty infiltration. Myostatin antibody immunohistochemistry staining was performed as myostatin is expressed by skeletal muscle cells during myogenesis. Results: H&E staining results revealed no changes in muscle cell nuclei. There were no adipocytes detected.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bicep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ng head biceps was significantly smaller (p=0.00). Statistical changes in the total extent of the 100 muscle cells were significant (p=0.00). Oil-red O staining revealed no fatty infiltration. Myostatin antibod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sides. Conclusions: Muscular changes after tenotomy of the long head biceps included a decrease in the size of the individual muscle cells and in relative muscle mass. There were no changes observed in muscle cell nuclei and no fatty infiltration. Moreover, there were no changes detected by myostatin antibody immunohistochemistry assay.

연결형(반구속형)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 (Linked (Semi-constrained) Total Elbow Arthroplasty)

  • 정홍준;전인호;전재명;이태균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6권2호
    • /
    • pp.170-177
    • /
    • 2013
  •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은 고관절이나 슬관절 인공 관절 치환술에 비해 아직은 발전 단계에 있는 수술이다. 많은 임상 경험을 통해 여러 형태의 치환물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장기 추시 결과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현대의 주관절 치환물은 크게 두 가지 디자인 범주로 나누어지는데, 연결형 치환물과 비연결형 치환물이 그것이며, 이들은 다른 말로 반구속형과 비구속형으로 불리기도 하며, 이에 추가적으로 비구속형/구속형 전환 가능한 치환물도 사용되고 있다. 연결형 치환물과 비연결형 치환물의 선택은 우선적으로 주관절의 안정성 및 골성 구조물의 적절성에 의해 결정된다. 연결형 치환물의 경우 전통적으로 마모, 조기 이완, 해리 등과 같은 합병증으로 인해 장기 추시 결과가 좋지 않았던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최근 들어 적절한 환자의 선택, 새로운 디자인의 개발, 수술 술기의 발달, 그리고 수술 후 적절한 재활 치료 등으로 인해 이러한 문제점이 많이 해결되었다. 하지만, 여전히 신체적인 활동에 대한 요구가 높은 환자에 있어서는 마모나 이완 등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연결형 치환물이 적절한 선택이 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본 종설에서는 연결형 (반구속형) 주관절 인공 관절 치환물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보고자 한다.

초음파를 이용한 주관절 주위 척골 신경의 동적 형태학적 연구 (Dynamic Morphologic Study of the Ulnar Nerve Around the Elbow Using Ultrasonography)

  • 전인호;이성만;최진원;김풍택
    • Clinics in Shoulder and Elbow
    • /
    • 제10권1호
    • /
    • pp.99-105
    • /
    • 2007
  • 목적: 정상인에 있어 주관절 주위 척골 신경에 대하여 초음파를 이용한 척골 신경의 형태학적인 연구 및 동적 안정성을 조사하고, 주관 증후군 환자에서 척골 신경병증에 대한 초음파 영상의 진단에 있어 기초 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sim}30$세 사이 건강한 정상 성인 남자 25명 50예의 척골 신경에 대하여 연구를 시행하였다. 7.5 MHz 고해상도 초음파의 선상 프로브를 이용하여 주관절 주위의 척골신경을 장축 및 단축영상에서 조사하였다. 장축영상을 통해 척골 신경의 주행경로와 위치, 신경의 굵기를 파악하고, 단축 영상을 내상과 근위부 1 cm, 내상과 후방, 오스본 인대부위, 오스본 인대 원위부 1 cm에서 측정하여 주관절의 굴곡 신전시 각 네 지점에서 척골 신경의 장단경과, 동적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결과: 주관절 신전시 척골 신경의 단경은 각각 2.66 mm, 2.97 mm, 2.64 mm, 2.69 mm로 측정되었다. 한편 장경은 각각 4.61 mm, 4.56 mm, 4.36 mm, 4.37 mm로 측정되어 각 네 곳의 해부학적 지점 간에 큰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한편 굴곡시 척골 신경의 단경은 각각 2.72 mm, 2.34 mm, 2.65 mm, 2.41 mm로 변경되고, 장경은 각각 4.49 mm, 5.40 mm, 4.16 mm, 4.66 mm로 측정되었다. 주관절 굴곡시 내상과 후방에서 척골신경이 의미 있는 형태의 변화가 관찰되었으며 신전 굴곡시 모두 오스본 인대 입구에서 장단경이 가장 작게 관찰되었다. 동적 안정성 측정에서 척골 신경의 아탈구는 9예, 척골 신경 탈구는 7예 관찰되었다. 결론: 주관절 척골 신경의 초음파 검사에서 척골 신경은 정상인에서도 동적 불안정성과 굴곡신전에 따른 척골 신경의 장단경의 형태 변화가 관찰되기에 초음파로 척골 신경병증 진단에 있어 참고해야 할 소견이라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