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update

검색결과 244건 처리시간 0.03초

차량 위치 정보 저장을 위한 버퍼 노드 기반 그룹 갱신 기법 (A Group Update Technique based on a Buffer Node to Store a Vehicle Location Information)

  • 정영진;류근호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1호
    • /
    • pp.1-11
    • /
    • 2006
  • GPS 및 무선 통신 기술의 진보와 네트워크의 활성화 및 단말기의 소형화를 통해 이동하는 차량의 위치 추적이 가능해지고, 위치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이동 객체 데이타를 빠르게 저장, 검색하기 위한 색인 기술이 필수적이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 객체 색인은 각각의 입력받는 위치 정보를 직접 색인에 입력하기 때문에 많은 비용이 든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색인의 입력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이는 버퍼 노드 방식을 제안하고, 이를 활용한 GU-트리를 설계한다. 제안된 버퍼 노드 방식은 입력받는 이동 객체 정보를 넌 리프 노드 단위로 그룹화하여 색인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타를 입력하는 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인다. 그리고 기존의 색인과 비교 실험함으로써, 버퍼 노드 입력 방식이 이동 객체 색인의 데이타 입력 비용을 효과적으로 줄이고, 특정 시점 질의에서 검색의 성능을 높이는 것을 확인한다. 제안된 버퍼 노드 방식은 여행 가이드 및 물류 차량 관리 시스템과 같이 빈번한 위치 갱신이 이루어지는 환경에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동통신망에서 예측 위치 등록 정책을 통한 위치관리 비용 감소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Location Management Cost by Predictive Location Update Policy in Mobile Cellular Networks)

  • 고한성;홍정식;장인갑;이창훈
    • 대한산업공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60-171
    • /
    • 2008
  • MU's mobility patterns can be found from a movement history data. The prediction accuracy and model complexity depend on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history data. The more data we use, the more accurate the prediction is. As a result, the location management cost is reduced, but complexity of the model increases. In this paper, we classify MU's mobility patterns into four types. For each type, we find the respective optimal number of application of history data, and predictive location area by using the simulation. The optimal numbers of four types are shown to be different. When we use more than three application of history data, the simulation time and data storage are shown to increase very steeply.

이동통신망에서 예측 위치 등록 정책을 통한 위치관리 비용 감소 효과 분석 (An Analysis of Location Management Cost by Predictive Location Update Policy in Mobile Cellular Networks)

  • 고한성;장인갑;홍정식;이창훈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경영과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388-394
    • /
    • 2007
  • In wireless network, we propose a predictive location update scheme which considers mobile user's(MU's) mobility patterns. MU's mobility patterns can be found from a movement history data. The prediction accuracy and model complexity depend on the degree of application of history data. The more data we use, the more accurate the prediction is. As a result, the location management cost is reduced, but complexity of the model increases. In this paper, we classify MU's mobility patterns into four types. For each type, we find the respective optimal number of application of history data, and predictive location area by using the simulation. The optimal numbers of four types are shown to be different. When we use more than three application of history data, the simulation time and data storage are shown to increase very steeply.

  • PDF

영역 기준 이동통신망에서 이동성의 모형화 및 모형들의 비교 분석 (A New Mobility Modeling and Comparisons of Various Mobility Models in Zone-based Cellular Networks)

  • 홍정식;장인갑;이진승;이창훈
    • 산업공학
    • /
    • 제16권spc호
    • /
    • pp.21-27
    • /
    • 2003
  •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the user mobility model(UMM) which is used for the performance analysis of location update and paging algorithm and at the same time, consider the user mobility pattern(UMP) in zone-based cellular networks. User mobility pattern shows correlation in space and time. UMM should consider these correlations of UMP. K-dimensional Markov chain is presented as a UMM considering them where the states of Markov chain are defined as the current location area(LA) and the consecutive LAs visited in the path. Also, a new two dimensional Markov chain composed of current LA and time interval is presente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the appropriate size of K in the former UMM is two and the latter UMM reflects the characteristic of UMP well and so is a good model for the analytic method to solve the performance of location update and paging algorithm.

Three Effective Top-Down Clustering Algorithms for Location Database Systems

  • Lee, Kwang-Jo;Yang, Sung-Bong
    • Journal of Computing Science and Engineering
    • /
    • 제4권2호
    • /
    • pp.173-187
    • /
    • 2010
  • Recent technological advances in mobile communication systems have made explosive growth in the number of mobile device users worldwide.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in designing a mobile computing system is location management of users. The hierarchical systems had been proposed to solve the scalability problem in location management. The scalability problem occurs when there are too many users for a mobile system to handle, as the system is likely to react slow or even get down due to late updates of the location databases. In this paper, we propose a top-down clustering algorithm for hierarchical location database systems in a wireless network. A hierarchical location database system employs a tree structure. The proposed algorithm uses a top-down approach and utilizes the number of visits to each cell made by the users along with the movement information between a pair of adjacent cells. We then present a modified algorithm by incorporating the exhaustive method when there remain a few levels of the tree to be processed. We also propose a capacity constraint top-down clustering algorithm for more realistic environments where a database has a capacity limit. By the capacity of a database we mean the maximum number of mobile device users in the cells that can be handled by the database. This algorithm reduces a number of databases used for the system and improves the update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top-down, modified top-down, and capacity constraint top-down clustering algorithms reduce the update cost by 17.0%, 18.0%, 24.1%, the update time by about 43.0%, 39.0%, 42.3%, respectively. The capacity constraint algorithm reduces the average number of databases used for the system by 23.9% over other algorithms.

거리기반 위치등록 방법을 적용한 IP 페이징 구조 (IP Paging Architecture using Distance-based Location Update Scheme)

  • 장인동;이준섭;김형준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2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628-631
    • /
    • 2002
  • 차세대 유무선 통신망은 IP기반으로 통합 발전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고, 현재 연구중인 Mobile IP는 필수적으로 사용하게 될 것이다. 문제점이 많은 기본 Mobile IP에 기존의 하위계층에서 사용하던 여러 가지 기술들을 추가하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것이 위치등록과 페이징 기법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은 3계층에서의 이동성 프로토콜인 Mobile IP에 기존의 2계층에서의 거리기반 위치등록 방법을 적용시켜 IP망에서의 효율적인 페이징 방안을 제시한다. 그리고, 네트워크 시뮬레이션 도구인 OPNET을 이용하여 제시한 방안을 구현하고 검증하였다.

  • PDF

이동 통신에서 호 수신 확률에 근거한 위치 관리 기법의 분석 (The Analysis of the Location Management Strategy Based on the Call Arrival Probability(CAP) in Mobile Communication)

  • 박선영;장성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7호
    • /
    • pp.1-6
    • /
    • 2005
  • 증가하는 이동 통신망 가입자를 수용하기 위한 셀 크기의 소형화는 잦은 위치 갱신을 유발시켜 위치 관리 비용의 증가를 가져왔다. 본 논문에서는 [l]에서 향후과제로 남겨두었던 호 수신 확률에 근거한 위치 관리 기법의 비용을 분석하여 제안된 기법이 기존의 방식(IS-41)보다 위치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그리고 분석에 의해 계산된 위치 관리 비용을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제안된 기법은 단말의 호 도착률이 낮은 경우, 위치 갱신을 생략하는데서 얻어지는 비용의 감소로 기존의 위치 관리 기법보다 전체 위치 관리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호 도착률이 높아지더라도 위치 관리 비용이 기존 방식의 위치 관리 비용을 초과하지 않음을 보였다.

이동통신망에서 영역분할 방식의 위치관리 기법 (Location Management using LA-Division Scheme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 박노열;장인갑;홍정완;이창훈
    • 산업공학
    • /
    • 제16권4호
    • /
    • pp.507-514
    • /
    • 2003
  • In personal communication systems location management of mobile terminals is required to connect incoming calls to the mobile terminals. Investigation of effective location update and paging strategies is important to reduce the cost of location management. In this study, we propose a paging strategy considering the mobile terminals' residence patterns. The first paging area is characterized by the set of cells in the location area where mobile terminals usually stay for a significant period of time. The rest of cells in the location area are included into the second paging area. To reduce the paging cost the first paging area is decided by reflecting various residence patterns of mobile terminals. For an incoming call, the sequential paging is performed in the order of the paging area. Thus the paging cost is greatly reduced, especially when the called mobile terminal is located in the first paging area. The proposed strategy is expected to be more effective than an existing strategy that uses the anchor cell in the location area.

셀룰러 망에서 프로파일 기반 위치관리를 위한 위치영역 리스트 생성 (Location Area List Generation for Profile Based Location Management in Cellular Networks)

  • 조현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123-132
    • /
    • 2005
  • 이동망의 위치관리에서 위치갱신 비용 최소화를 위한 많은 연구 결과들이 있다. 위치갱신 비용의 최소화를 위해서는 각 사용자들의 이동 패턴을 고려해야만 한다. 본 논문은 과거의 사용자 이동에 대한 이력으로부터 각 사용자에 대한 위치영역 리스트 생성과 이를 위한 3 단계 페이징 방안을 제안한다. 사용자의 이동은 공간적으로 뿐만 아니라 시간적으로도 규칙적인 패턴이 존재한다. 따라서 제안된 위치영역 리스트 생성방안은 이상의 2가지 측면에서 사용자의 방문빈도를 이용하여 규칙성을 발견하고, 이에 대한 위치영역리스트를 생성한다. 제안된 방안의 성능분석 위해서 제안된 방안에 대하여 사용자 이동 패턴을 고려한 모의실험을 수행하였다. 모의실험 결과 제안된 방안이 위치관리 비용 측면에서 장점이 있음이 확인되었다.

  • PDF

Hierarchical Location Mobility Management using MobilityManagement Points in IP networks

  • Park, Chul Ho;Oh, Sang Yeob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5권8호
    • /
    • pp.1069-1074
    • /
    • 2022
  • IP mobility can be handled in different layers of the protocol. Mobile IP has been proposed to handle the mobility of Internet hosts in the network layer. Recently, a new method based on the SIGMA mobility architecture has been proposed to support mobility management with reduced packet loss and latency. The location management structure is not suitable for frequent mobile handover due to the high mobility of the user with this transport layer solu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cation management optimization method i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by applying hierarchical location management using MMPs(Mobility Management Points) for transport layer mobility management. Therefore, we propose an efficient hierarchical mobility management structure even between heterogeneous wireless networks using MMPs for the probability that a mobile terminal can change multiple location areas between two messages and calls. The proposed method shows reduction in location update cost and data retrieval cost using MMPs, and as opposed to mobility appearing in time intervals with the minimum cost required to reach 90% of the stabilized cost, the mobility location update search, location It was found that the message processing cost per area was reduc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