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system

검색결과 7,285건 처리시간 0.033초

국내 조명 환경에서 센서공간을 활용한 이동로봇의 위치인식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for Moving Robot in the Sensor Space under KS Illumination Intensity Environment)

  • 강철웅;고석준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67-73
    • /
    • 2014
  • When a mobile robot performs in unknown environments, a location identification is an essential task. In this paper, we propose a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that uses a sensor space without additional devices on the robot. Also the sensor space consists of a matrix of CDS sensor; when a robot was positioned on the CDS sensor, we can estimate the coordinate of the location by sensing a light. Based on KS illumination standard, experiments are performed in various environments. By evaluating the experimental results, we can show that the proposed system can be applicable to the location identification system of a moving robot.

The Distributed Management System of Moving Objects for LBS

  • Jang, In-Sung;Cho, Dae-Soo;Park, Jong-Hyun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2년도 Proceedings of International Symposium on Remote Sensing
    • /
    • pp.163-167
    • /
    • 2002
  • Recently, owing to performance elevation of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increase of wireless internet's subscriber and diffusion of wireless device, Interest about LBS (Location Based Service) which take advantage of user's location information and can receive information in concerning with user's location is increasing rapidly. So, MOMS (Moving Object Management System) that manage user's location information is required compulsorily to provide location base service. LBS of childhood such as service to find a friend need only current location, but to provide high-quality service in connection with Data Mining, CRM, We must be able to manage location information of past. In this paper, we design distributed manage system to insert and search Moving Object in a large amount. It has been consisted of CLIM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PLIM (Past-Location Information Manager) and BLIM (Distributed Location Information Manager). CLIM and PLIM prove performance of searching data by using spatiotemporal-index. DLIM distribute an enormous amount of location data to various database. Thus it keeps load-balance, regulates overload and manage a huge number of location information efficiently.

  • PDF

DDC의 상관식 배가법 적용과 분류체계 세분화에 대한 연구 (A Study of the Application of Relative Location System and Minute Classification System in the DDC)

  • 곽철완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45-61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DDC가 당시 도서관 장서의 급속한 증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도서관 최초로 상관식 배가법을 도입하고 세분화된 분류체계를 적용한 것이 도서관계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DDC가 상관식 배가법을 도입하고, 분류체계를 세분화하여, 도서관과 타 분류법에 미친 영향 등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DDC는 이전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상관식 배가법이라는 혁신적인 방법을 적용하여, 세분화된 분류체계를 도입하면서 당시 도서관이 처해있던 급속한 장서 증가 문제를 해결하였다. 둘째, 세부적인 분류를 위해 형식 구분을 분류기준으로 적용하여 실질적으로 도서관의 도서 분류에 도움을 주었다. 셋째, 분류체계에 십진법을 도입함으로써 분류체계의 무한정 세분화가 가능하여, 경제성과 실용성을 획득하였다. 넷째, 전개분류법이나 주제분류법을 비롯한 현대 도서관 분류법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이처럼 상관식 배가법을 적용하고 세분화된 분류체계를 가진 DDC는 시대적 요구에 적합한 분류법이었고, 개별 도서관에서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분류법이었다.

ZigBee의 RSSI 위치정보기반 보안 영상정보 검색 시스템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ecurity Image Information Search Service System using Location Information Based RSSI of ZigBee)

  • 김명환;정영지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43-258
    • /
    • 2011
  • With increasing interest in ubiquitous computing technology, an infrastructure for the short-distance wireless communication has been extended socially, bringing spotlight to the security system using the image or location. In case of existing security system, there have been issues such as the occurrences of blind spots, difficulty in recognizing multiple objects and storing of the unspecified objects. In order to solve this issue, zone-based location-estimation search system for the image have been suggested as an alternative based on the real-time location determination technology combined with image. This paper intends to suggest the search service for the image zone-based location-estimation. For this, it proposed the location determination algorism using IEEE 802.15.4/ZigBee's RSSI and for real-time image service, the RTP/RTCP protocol was applied. In order to combine the location and image, at the event of the entry of the specified target, the record of the time for image and the time of occurrence of the event on a global time standard, it has devised a time stamp, applying XML based meta data formation method based on the media's feature data based in connection with the location based data for the events of the object. Using the proposed meta data, the service mode which can search for the image from the point in time when the entry of the specified target was proposed.

유비쿼터스 컴퓨팅 환경을 위한 실내 위치 추적 시스템의 설계 (A Design of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for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

  • 우성현;전현식;김기환;박현주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7권3호
    • /
    • pp.71-82
    • /
    • 2006
  • 본 논문은 실내 환경에서 이동객체의 실시간 추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시스템은 기존에 사용되던 삼각측량 기법과 DCM(Database Correlation Method) 기법을 통해 각각의 위치 데이터를 생성한 후, 그 중 이동객체와 더 근사한 위치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선택한다. 또한 Kalman Filter를 사용하여 선택된 위치 데이터를 보정하여 시스템에 적용하므로 이동 객체의 위치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기존에 연구된 Kalman Filter는 과거의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의 위치를 추정해 내는 시스템의 특성상 안정화 되는 시간까지 불확실한 위치 데이터를 가지게 된다. 하지만 제안하는 위치 추적 시스템은 기존의 Kalman Filter를 그대로 적용하지 않고, 더 효율적인 방안을 제시한 후 적용함으로 더 정확한 위치 추적을 가능케 한다.

  • PDF

실내 렌티큘러 스티커를 이용한 위치기반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Location Based System using Indoor Lenticular Sticker)

  • 정승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3호
    • /
    • pp.601-606
    • /
    • 2019
  • 렌티큘러 위치기반 시스템은 지상 및 실외중심의 지역, 건물, 선박, 지하 등 실내에 있는 사용자가 스스로 자신의 위치를 실시간으로 알릴 수 있는 위치정보 기술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전의 실내 위치 인식기술의 한계성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용자 중심의 위치서비스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렌티큘러 스티커, 데이터베이스(DB) 수집 및 분석기술, 측위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고, 측위오차기반 서비스를 실행하기 위한 기반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실내 렌티큘러를 이용한 위치기반시스템 개발을 통하여 사용자 중심의 측위 정확도 향상뿐만 아니라, 각종 재난안전 상황에서 신속한 구조활동에 사용자 중심의 위치기반 시스템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위한 MDR위치조회 알고리듬 (A MDR Location Polling Algorithm for Location Based Alert Service)

  • 안병익;양성봉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89-103
    • /
    • 2006
  • 무선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응용의 확산으로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형태는 더욱더 다양해 지고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 중 특정지역에 진입하거나 벗어날 경우에 자동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는 향후 LBS의 가장 중요한 서비스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상이 되는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빈번하게 조회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동성을 가지는 수많은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이면서도 대량으로 조회해야 함으로써 심각한 시스템의 부하와 비용증가를 초래한다. 지금까지 연구되고 있는 이동체를 위한 위치조회 방법은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한 효율적인 위치조회 및 구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용량의 위치정보를 조회함에 있어서, 이동체의 이동 패턴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위치정보 조회 회수를 줄임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는 효율적인 이동체 조회 방법을 제시하고 기존의 방법과 비교 실험하고자 한다.

  • PDF

위치기반서비스의 법률적 규제범위 분석 (An Analysis of the Regulation Limits for Location Based Services)

  • 진희채;선요섭;남광우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77-182
    • /
    • 2009
  • 위치기반서비스는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다양하고 광범위한 서비스를 의미한다. 이러한 위치기반 서비스들은 개인 위치정보 보호를 위하여 위치정보보호법에 의한 규제를 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위치정보보호법에 의한 위치정보의 형태와 의미를 살펴보고, 위치정보 흐름을 분석하여 그 사용방법 및 한계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이를 바탕으로 위치정보가 다양한 분야의 서비스 개발 등에 활용되어 보다 광범위하게 활용되었으면 한다.

  • PDF

LBS를 위한 무선인터넷 DGPS 위치정보 출력 시스템 개발 (The Wireless Internet DGPS location information output system development for the LBS)

  • 강준묵;조성호;이은수;김재명
    • 한국측량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측량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11-118
    • /
    • 2006
  • The LBS (Location Based Service) location information is the element which is important decides the application of form service, Recently the location accuracy with the method which applies the wireless Internet DGPS improved inside 1 meter Like this. application of the LBS which corresponds In the location accuracy which Improves accurate the Location Information output system development which is accurate stands is essential. In this study which it sees it used 1:5000 digital map MS visual 6.0 Active X controls of the country geography intelligence Personnel and it developed the location information output module of web browser base. The location information output system which is developed it will be able to secure the convenient characteristic of precision and visual program of the digital map simultaneously and the maximum anger of LBS application is expected.

  • PDF

GIS를 이용한 시공간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 (A Spatiotemporal Moving Objects Management System using GIS)

  • 신기수;안윤애;배종철;정영진;류근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 /
    • 제8D권2호
    • /
    • pp.105-116
    • /
    • 2001
  • 이동객체는 시간에 따라 공간 객체의 위치 및 영역이 연속적으로 변경되는 시공간 데이터이다. 기존의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을 이용하여 시공간 이동 객체를 관리할 경우 다음의 두 가지 문제점을 가진다. 첫째, 시간에 따라 변화되는 위치 정보에 대한 빈번한 갱신이 발생된다. 둘째, 항상 객체의 현재 상태만이 저장되므로 시공간 이동 객체의 과거와 미래에 관한 정보를 제공하지 못한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빈번한 갱신없이 이동 객체의 이력 정보를 관리할 뿐만 아니라 과거, 현재 그리고 가까운 미래에 관한 모든 위치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시공간 이동 객체 관리 시스템을 제안한다. 제안 시스템에서 이동 객체 정보는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정보와 이동 습성을 나타내는 행위 정보로 구분된다. 특히, 행위정보 변경 처리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최소한의 이력 정보만으로도 모든 객체의 위치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그리고, 제안한 방법을 전장 분석 시스템에 적용하여 구현하였으며, 이를 통해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GIS 시스템을 이용하여 실세계의 시공간 이동 객체의 과거 , 현재 및 가까운 미래의 위치 정보를 관리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