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information

검색결과 7,709건 처리시간 0.041초

RFID를 이용한 이동체의 위치 결정에서 리더 태그간 인식율 연구 (A Study on Reader and Tag Sensing Rate of Location Detection Using RFID)

  • 전성희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7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33-34
    • /
    • 2007
  • LBS has many issues of wireless sensor networks and mobile communication parts. Location tracking or location sensing will be the opening of ubiquitous society's a big challenge and the beginning of infinite ubiquitous society's a chanc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study of sensing rate per reader antenna's placement and tag location and placement using RFID as location reference point with many advantages for location detection.

  • PDF

위치기반 앱 서비스를 통한 인지된 가치와 평판 형성을 위한 소비자 지식 구조 (The Customer Knowledge Structure for Building Perceived Value and Reputation of Location-based App Service)

  • 손봉진;최재원
    • 지식경영연구
    • /
    • 제18권1호
    • /
    • pp.159-176
    • /
    • 2017
  • Recently, the popularity of smartphones has led to a dramatic increase in the frequency of use of App(Application) services. LBS (Location-Based Service) App service adopts various methods such as push marketing and useful information by region through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 based on the location of the consumer. In particular, an enterprise or an App management company can provide necessary information to the consumer through the necessary information among the customer related knowledge information obtained by utilizing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consumer in real time. Nevertheless, since LBS is a service that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company obtains consent to provide location information voluntarily by the consumer, there is a case of privacy infringement due to consumers' use of personal infor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privacy related variables and the knowledge structure for consumer value formation based on the theory of privacy calculation. We also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Korea with those of China in privacy iss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was confirmed that factors such as information utilization ability and information control ability were influential as a key factor of privacy calculation. In addition, perceived value influences the reputation of the LBS App service.

Three Dimensional Indoor Location Tracking Viewer

  • Yang, Chi-Shian;Jung, Sang-Joong;Chung, Wan-Young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3권1호
    • /
    • pp.108-118
    • /
    • 2009
  • In this paper we develop an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and its 3D tracking monitoring viewer, viz., 3D Navigation Viewer (3DNV). We focus on the integration of an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with the Virtual Reality Modeling Language (VRML), to facilitate a representation of the user's spatial information in virtual indoor environments that is synchronized with the physical location environment. The developed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employs beacons as active transmitters, and a listener as a passive receiver. The distance information calculated from the difference speeds of RF and Ultrasonic signals is exploited, to determine the user's physical location. This is essential in supporting third parties like doctors and caregivers in identifying the activities and status of a particular individual via 3DNV. 3DNV serves as a unified user interface for an indoor location tracking system, showing the viewpoint and position of the target in virtual indoor environments. It was implemented using VRML, to provide an actual real time visualization of the target's spatial information.

무인 지상 차량 네트워크에서 GPS 재밍에 강인한 위치기반 라우팅 (GPS Jamming Resilient Location-based Routing for Unmanned Ground Vehicle Networks)

  • 이진우;정우성;김용주;고영배;함재현;최증원
    •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32-440
    • /
    • 2015
  • UGVs(Unmanned Ground Vehicles) are robots that can substitute humans in reconnaissance operations of potentially dangerous and contaminated sites. Currently, there have been active research on utilizing UGVs in military environments. Much resrach has been focused on exploiting the weakness of topology-based routing and instead utilize location-based routing for the networking of UGVs. It is generally assumed that location-based routing methods can fully utilize the location information gained from GPS. However, this may not be possible in tactical environments due to enemy GPS jamming and LOS(Line of Sight) limitations. To solve this problem, we propose a location-based routing scheme utilizing low control message that can calibrate the location information using GPS information as well as location of neighboring UGV, movement direct and speed information. Also utilizing topology-based routing scheme to solve incorrect location information in GPS jamming region.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위한 MDR위치조회 알고리듬 (A MDR Location Polling Algorithm for Location Based Alert Service)

  • 안병익;양성봉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89-103
    • /
    • 2006
  • 무선인터넷 기술의 발달과 응용의 확산으로 위치정보를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형태는 더욱더 다양해 지고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 중 특정지역에 진입하거나 벗어날 경우에 자동으로 정보를 제공하는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는 향후 LBS의 가장 중요한 서비스가 될 것으로 전망된다. 그러나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대상이 되는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주기적으로 빈번하게 조회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이동성을 가지는 수많은 이동체의 위치정보를 지속적이면서도 대량으로 조회해야 함으로써 심각한 시스템의 부하와 비용증가를 초래한다. 지금까지 연구되고 있는 이동체를 위한 위치조회 방법은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제공 하기 위한 효율적인 위치조회 및 구조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위치기반 경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대용량의 위치정보를 조회함에 있어서, 이동체의 이동 패턴을 이용하여 불필요한 위치정보 조회 회수를 줄임으로써 시스템의 부하를 줄이는 효율적인 이동체 조회 방법을 제시하고 기존의 방법과 비교 실험하고자 한다.

  • PDF

재난 관련 위치 신뢰도 향상을 위한 소셜 미디어 활용 (Leveraging Social Media for Enriching Disaster related Location Trustiness)

  • 뉘엔반퀴엣;뉘엔양쯔엉;뉘엔신응억;김경백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567-575
    • /
    • 2017
  • 위치기반 서비스는 재난 경보 시스템 및 추천시스템 등의 다양한 응용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들 응용들은 위치정보(위도, 경도 등) 뿐만 아니라 위치에 대한 사건(지진, 태풍 등)의 영향력을 필요로 한다. 최근 이러한 위치에 대한 사건의 영향력을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정보(지진 정보와 센서 정보)를 이용한 위치 신뢰도 계산 방법이 연구 되었다. 이전의 연구에서는 사건의 영향을 선형으로 감소시키는 형태로 위치 신뢰도를 계산하였다. 이 논문에서는 소셜 미디어를 추가적으로 활용하여 사건의 위치에 대한 영향력, 즉 위치 신뢰도를 향상 시키는 만드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우선 지진정보와 소셜 미디어 데이터를 수집하는 시스템을 설계하였다. 두번째로, 지진정보에 기반한 위치 신뢰도 계산 방법을 소개하였다. 최종적으로 소셜 미디어에 기반하여 공간적으로 분산되는 형태로 신뢰도를 증강시키는 방법을 통해 위치 신뢰도 정보를 더욱 풍부하게 제공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G-File에 저장된 위치정보 관리 알고리즘 (G-File stored in the location information management algorithm)

  • 최상균
    • 한국항행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742-748
    • /
    • 2011
  • G-File은 사진촬영의 위치 좌표를 내장한 사진 파일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사진 속 이미지의 위치와 방향각 데이터를 이용한 파일을 말한다[1]. G-File은 사진 파일을 입력받아 저장하는 사진 파일 수신 수단과, 사진 파일을 사진 정보와 위치 정보로 분리하여 피사체의 위치 정보를 추출하는 위치 정보 분석 수단 및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지도상의 대응되는 좌표에 표시하는 위치 안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G-File에 저장된 위치 정보에 대한 관리를 할 수 있는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 알고리즘은 G-File을 이용하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관리하게 하고, G-File 관리에 편리함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Indoor Passive Location Tracking and Activity Monitoring using WSN for Ubiquitous Healthcare

  • Singh, Vinay Kumar;Lee, Seung-Chul;Lim, Hyo-Taek;Myllyla, Risto;Chung, Wan-Young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5권4호
    • /
    • pp.382-388
    • /
    • 2007
  • Indoor location system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 technology was applied for the status evaluation and activity monitoring of elderly person or chronic invalid at home. Location awareness application is transparent to the daily activities, while providing the embedded computing infrastructure with an awareness of what is happening in this space. To locate an object, the active ceiling-mounted reference beacons were placed throughout the building. Reference beacons periodically publish location information on RF and ultrasonic signals to allow application running on mobile or static nodes to study and determine their physical location. Once object-carried passive listener receives the information, it subsequently determines it's location from reference beacons. By using only the sensor nodes without any external network infrastructure the cost of the system was reduced while the accuracy in our experiments. was fairly good and fine grained between 7 and 15 cm for location awareness in indoor environments. Passive architecture used here provides the security of the user privacy while at the server the privacy was secured by providing the authentication using Geopriv approach. This information from sensor nodes is further forwarded to base station where further computation is performed to determine the current position of object and several applications are enabled for context awareness.

개인의 위치를 보호하기 위한 효율적인 더미 생성 (Efficient Dummy Generation for Protecting Location Privacy)

  • 채천원;송두희;윤지혜;이원규;김용갑;박광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526-533
    • /
    • 2016
  • 위치기반서비스(LBS; location based services)에서 사용자의 위치를 보호하는 연구가 많은 관심을 받아오고 있다. 특히 k-익명화(k-anonymity)를 이용한 연구가 가장 인기 있는 사생활 보호 기법이다. k-익명화란 k-1개의 다른 더미(dummy) 또는 클라이언트를 선택하여 클로킹 영역을 계산하는 기법을 말한다. 질의자는 신뢰할 수 없는 서버 또는 공격자에게 1/k의 확률로 자신의 위치 노출 확률을 줄일 수 있다. 그러나 더미가 사용자 주변에 밀집되어 있거나 질의자가 존재할 수 없는 곳에 더미가 생성된다면 질의자의 위치가 공격자에게 노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우리는 실제 도로환경을 고려해서 더미를 생성함으로서 사용자의 위치보호를 높일 수 있는 시스템 모델과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실험 결과를 통하여 제안기법의 우수성을 증명하였다.

위치정보 보호를 위한 이동 경로 기록 및 관리 서비스 앱 개발 (Development of Android App to Record and Manage Travel Routes for Location Information Protection)

  • 김서연;김아영;오민정;오샘;김성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12권10호
    • /
    • pp.437-444
    • /
    • 2023
  • 현재 위치기반서비스는 우리의 일상생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위치 정보의 수집과 이용이 급속하게 증가하고 있다. 위치기반 서비스가 발전하면서 사용자가 느끼는 편의성은 증대되었지만, 프라이버시 침해에 대한 불안 역시 증가하였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사용자의 위치 기록을 안전하게 기록하고 관리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설계 및 구현한다. Room DB를 이용하여 수집한 개인 위치 정보를 위치기반서비스 사업자의 서버가 아닌 사용자 기기의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 또한 사용자가 원할 때 기록을 시작하고 종료할 수 있게 하여 위치 정보에 관한 개인정보 보호 측면을 강화한다. 사용자가 본인의 위치 정보를 스스로 제어함으로써 이동 경로 기록에 관한 사용자의 불안감을 감소시킬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