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area

검색결과 3,808건 처리시간 0.033초

광역망에서의 서비스 위치 탐색 및 다운로드 프로토콜의 개선 (Improvement of Service Location Discovery and Download Protocol in Wide Area Network)

  • 허덕행;김한경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55-62
    • /
    • 2011
  • 컴퓨팅 장비가 네트워크에 수용되었을 때 이들이 가지는 서비스의 탐색과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토콜인 IETF의 SLP의 기능을 광역화하고, 이동통신을 위한 유무선 네트워크를 수용하며, WIF에서 추진하는 서비스의 분산화 경향을 지원할 수 있도록 개선하기 위하여 Liaison Agent와 Forwarding Agent를 추가하고 이들 사이의 정보 교환을 위한 LAAdvert 메시지를 정의한다. LA 엔티티는 광역망에 존재하는 서비스의 위치를 확인해주며, FA 엔티티는 서비스 정보를 전달해주는 역할을 담당한다. 나머지 메시지 즉, SrvRqst, SrvRply, AttrRqst, AttrRply, DAAdvert, SrvReg, SrvAck, SrvDeReg의 사용은 동일하며 하며, 광역 서비스 망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활용한다. 개선된 프로토콜의 동작을 페트리넷으로 모델링하고, 페트리넷의 실행을 통하여 데드락과 라이브락의 문제가 없음을 확인한다.

상권경쟁을 고려한 신규점포의 입지선정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 (A Study for Locating of a New Store Considering Competition for Trading Area: Focusing on the Case of Hypermarket in Seoul Metropolitan Area)

  • 태경섭;임병준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609-627
    • /
    • 2010
  • 입지는 모든 산업에 있어서 성공의 핵심적인 결정요소이기 때문에 잘못 선정된 입지는 아무리 유능한 운영자라 할지라도 많은 어려움을 겪기 마련이다. 이에 본 연구는 보다 합리적이고 간편한 소매점의 입지 선정 모델을 만들고자 서울시 소재 대형마트를 대상으로 허프의 확률이론을 적용하여 점포별 점유인구를 산출하였다. 점유인구를 바탕으로 모든 단위 구역을 상점간 경쟁 상대를 나타내는 4개의 시장유형, 즉 독점시장, 과점시장, 경쟁시장 비경쟁시장으로 구분하였다. 신규점포가 입지에 가장 합리적인 장소는 점유인구를 가장 많이 확보할 수 있는 지점으로, 비경쟁시장을 최대한 확보할 수 있으면서, 경쟁시장에서 멀리 떨어진 곳이다.

각막굴절수술의 역학적 고찰 및 새로운 기법의 시도 (A MECHANICAL INVESTIGATION OF CORNEAL REFRACTIVE SURGERIES AND PROPOSITION OF NEW TECHNIQUES)

  • 신정욱;한근조;황민철;남상희
    • 대한의용생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5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95-100
    • /
    • 1995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mechanical factors involved in several corneal refractive surgeries on the surgical outcomes. Then we proposed possible new techniques from the mechanical point of a view utilizing finite element method. The models studied are: circumferential keratetomy, combination of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circumferential keratotomy for myopia treatment, arcuate keratotomy for astigmatism treatment. The cornea was assumed to be nonlinear elastic and almost incompressible material as the most soft tissue in the human body. In the circumferential keratotomy the effect of the incision location was investigated. The angle and location of the incision were varied to predict the surgical outcomes in the arcuate keratotom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location of incision was a critical factor affecting the surgical outcomes in the circumferential keratotomy. In the combination of the excimer laser photorefractive keratectomy and circumferential keratotomy, it was predicted that the circumferential can increase or decrease the refractive power depending on the incision location or it can be used to adjust the overcorrection of undercorrection. In the arcuate keratotomy for astigmatism, the most diopter changes were predicted when the location and the angle of the incision were 3.0mm from the apex and $90^{\circ}$, respectively. In the arcuate keratotomy, the effects of an incision were studied within the incision area as well as outside the incision area. Also, the arcuate keratotomy with two incisions located on the opposite area of the cornea was also studied. As a conclusion, the finite element method is a useful technique in the area of corneal refractive surgeries to develop new techinques.

  • PDF

대전지역 대학생들에 의한 대학 급식소의 급식평가 (Assessment of University Food Service by Students in Daejeon Area)

  • 박상욱;하귀현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1권5호
    • /
    • pp.528-535
    • /
    • 199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some basic information for promoting efficiency in university food services. Subjects were 309 students of A, B and C university. The survey was done by questionaire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SAS program. The quantity and nutritional values of food was evaluated as appropriate but temperature and freshness of food, use of seasonal food, variety of menu were indicated as unsatisfactory. Male students marked lower points on the price but female students gave lower scores for variety of menu and use of seasonl food. Employee hygiene fast service and neatness and kindness of workers were evaluated as appropriate but food sanitation and cleanness of dishes were indicated as unsatisfactory. A and B university students scored low marks on food sanitation. Female students scored higher marks on the employee's neatness. Arrangement of tables and chairs, location of returning utensils, location of counter use of menu board and ventilation facilities were scored as average but interior decoration and heating facilities were scored as low level. Students of a school scored low mark on the arrangement of tables, location of counter, heating facilities and interior decoration but students of B school scored low mark on the use of menu board. Calmness and comfortableness of dining hall was unsatisfactory but location of dining hall, serving time and waiting time were evaluated as appropriate. In conclusion improvements for temperature and freshness of food, use of seasonal food, variety of menu, food sanitation, cleanness of dishes, interior decoration, heating facility and resting area were indicated as necessary.

  • PDF

능선환경으로 본 아산 용두천 유역 및 주변 지역에 있어서 청동기시대 취락의 최적 입지환경 (The Optimal Location Environment of the Bronze Age Settlement in Yongdu Stream and its Surrounding Area in Asan through the Ridge Environment's Perspective)

  • 박지훈;이애진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89-112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we restore the optimal topographical environment of the Bronze Age settlements in the Yongdu Stream and its surrounding area in Asan City. Second, we reveal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opographical factors that the Bronze Age people considered when selecting their dwelling locations. We compared and analyzed topographical factors (ridge scale, ridge direction, slope direction of the ridge, micro-landform of the ridge, position of the ridge) from the ridge's environmental perspective of 123 Bronze Age dwellings (hereinafter referred to as dwellings) found in the survey area for that purpose.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rom a macro perspective, the optimal topographical environment for the location of the Bronze Age settlement is the second ridge that have the E-W direction. And from a micro perspective, it is the southeast direction slope of the Crest slope at the summit. Second, it appears that the Bronze Age people have taken important consideration in determining the location of their dwelling in the following order: ① position (eg. summit), ② micro-landform (eg. Crest slope, Upper slope), ③ slope direction (eg. southward, South, Southeast), ④ scale (eg. sub-ridge, secondary, tertiary), ⑤ direction (eg. E-W, NNE-SSE).

지방의료원 수술부 배치 및 규모에 관한 연구 - 순면적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Location and Area Composition of the Operation Department in Regional Public Hospitals - Focused on Net Floor Area)

  • 윤우용;채철균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93-104
    • /
    • 2019
  • Purpose: To establish the building guidelines and to analyze the function of Regional Public Hospitals, the survey was conducted primarily on the current status focusing on the location and relationship of the department, area composition ratio, area per bed, and area per operating room. Methods: The research method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1) A literature survey on the function of the operating and related departments, 2) A drawing analysis for spatial composition and net area calculation. Results: The area of the Operation Department in the Regional Public Hospitals with 200 to 300 beds are as follows. Area ratio: 3.35%, area per Bed: 2.53㎡/bed, the number of beds per operating room: 64.37bed, area per operating room: 146.46㎡/n, area per operating room by plan type: integration corridor 133.84㎡/n, separation corridor 184.82㎡/n. Implications: This paper analyzed data on the current state of Operation Departments for setting up the function and role for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In the future, it is also required to provide size that takes into account user behavior and the user's psychological aspect in order to suggest appropriate area.

산양삼 생육특성과 입지환경 간의 상관관계 (The Correlation between Growth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Environment of Wild-simulated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 김기윤;엄유리;정대희;김현준;김만조;전권석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463-470
    • /
    • 2019
  • 본 연구는 고품질 산양삼 생산을 위한 표준재배기술 개발을 위해 산양삼의 생육특성과 재배지의 입지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구명하고자 하였다. 전국 9지역의 산양삼 재배지를 선정하여 13년생 산양삼의 생육특성을 조사하고, 각 재배지의 임상 및 토양 이화학성을 분석하여 입지환경과 산양삼 생육특성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총9개의 재배지 중에서 산양삼의 생육특성은 거창과 함양 재배지에서 다른 재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임산과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산양삼의 부피는 재배지 임상의 흉고직경과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활엽수의 비율과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 침엽수의 비율과는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침엽수의 비율이 100%로 확인된 영월 재배지의 산양삼 생육특성이 다른 재배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어, 이러한 결과는 침활혼효림에서 침엽수의 비율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토양 특성과의 상관관계 분석에서는 재배지 토양의 pH, K, Ca, Mg과 생육특성 간의 유의적인 부의 상관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이 산양삼의 생육특성과 입지환경 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산양삼의 생육은 재배지 임상의 흉고직경이 크고, 침활혼효림에서 침엽수의 비율이 높으며, 토양의 pH, K, Ca, Mg 함량이 높지 않은 재배지에서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산양삼 재배에 적합한 재배적지의 입지환경 조건을 확인할 수 있었고, 산양삼은 7~20년 동안 무농약, 무비료의 청정환경에서 생산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활용하여 향후 산양삼의 예상재배지를 선정하는데 있어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도권 시군구별 입지요인이 제조업 기업의 생애주기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the influence of the regional location factors to the lifecycle of manufacturing firm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안영수;이승일
    • 지역연구
    • /
    • 제31권3호
    • /
    • pp.55-77
    • /
    • 2015
  • 이 연구의 목적은 수도권 시군구별 입지요인이 제조업 기업들의 생애주기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 하는 것이다. 한 기업도 가구와 마찬가지로 일련의 생애주기를 갖는다. 기업의 생애주기를 선행연구에서는 기업통계(firmography)로 정의하고 있으며, 이를 생성, 성장, 쇠퇴, 소멸의 단계로 구분하였다. 이 연구에서도 기업의 생애주기 단계를 동일하게 적용하였으며, 제조업 기업들을 대상으로 경공업과 중공업, 첨단제조업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수도권 시군구별 입지요인은 도시규모와 교통접근성, 사회 경제특성, 수도권 권역구분으로 구분하여 총 12개의 입지요인을 독립변수로 적용하였다. 분석결과, 경공업과 중공업, 첨단제조업 기업별로 기업의 생애주기에 미치는 유의미한 입지요인이 차이가 있었으며, 입지계수 또한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기업유치를 통해 일자리를 늘리려는 지자체에서 신규기업의 생성뿐만 아니라 기존 기업의 성장을 도모하는 정책을 수립하는데 있어서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두경부 질환의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의 피폭선량평가를 위한 공간선량측정에 관한 연구 (Measurement of Spatial Dose Distribution for evaluation operator dose during Neuro-interventional Procedures)

  • 한수철;홍동희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9권3호
    • /
    • pp.323-328
    • /
    • 2016
  • 두경부 질환의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가 받는 피폭선량의 평가 및 감소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로써, 이온 전리함을 이용하여 인터벤션 시술 시 시술자의 위치하는 공간선량 분포를 측정하였다. Bi-plane 인터벤션 시술 장비를 대상으로 4개 구역(45, 135, 225 그리고 315도)으로 나누어 가상의 시술자가 있다는 가정아래에 시술자의 결정장기위치에서 거리(80, 100, 120, 그리고 140 cm)에 따라 조사선량을 측정하였으며, 방사선발생장치의 위치를 변화시켜 선량변화를 분석하였다. 시술자의 대부분이 위치하는 225도의 구역의 조사선량은 가장 가까운 거리인 80 cm에서 시술자 눈의 높이에서 114.5 mR/h, 가슴의 높이는 143.1 mR/h, 그리고 생식기위치는 147 mR/h이었다. 그리고 방사선 발생장치의 위치를 시술자 가까이로 변화시켰을 경우, 평균적으로 $18.1{\pm}10.5%$의 선량이 증가하였다. 본 연구에서 인터벤션 시술 동안 시술자가 위치할 수 있는 곳의 공간선량분포를 확인하였으며, 본 연구 결과를 통하여 시술자의 방사선 방어에 대하여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수상 안전을 위한 Finger Printing 기반 무선 위치추적 기술 (Finger Printing Based Radio Positioning Scheme for Maritime Safety)

  • 석근영;류종열;이정훈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1001-1008
    • /
    • 2018
  • 본 논문은 인명구조, 사고방지, 시설관리 등 수상환경에서 위치정보가 필요한 상황에서 무선 신호를 활용한 효율적인 위치 추적 기술을 제안한다. 제안하는 기법은 유저의 배터리 파워 소모량을 고려하여 제한된 전력 내에서 위험도를 최소화한다. 수상의 일정 반경 내에서 유저의 송수신 신호 세기를 이용하여 유저의 위치를 알 수 있는데, 이 때 유저가 일정 반경을 벗어나는 것을 사전에 방지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먼저 유저가 일정 반경을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위험도 함수를 정의한다. 위험도 함수는 위치정확도, 수심, 유속 등 수상 환경 위험에 관련된 다양한 요인들을 고려한다. 본 논문은 finger printing 기법을 이용한 효율적인 무선 측위 기술을 활용하여 일정 지역 내에 위치한 유저의 평균 위험도를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