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tion area

검색결과 3,756건 처리시간 0.035초

이동 객체 정보 보호를 위한 그리드 기반 시멘틱 클로킹 기법 (Grid-based Semantic Cloaking Method for Continuous Moving Object Anonymization)

  • 장욱;신숭선;김경배;배해영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3호
    • /
    • pp.47-57
    • /
    • 2013
  • 최근 스마트폰의 발전에 따라서 많은 위치 기반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으며, 위치 정보 노출로 인한 문제점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잘 알려진 위치 정보 보호를 위한 공간 클로킹 기법은 사용자가 요청한 지역에서 위치 정보를 흐릿하게 처리하였다. 하지만 계속적으로 움직이는 이동 객체의 모든 지역을 클로킹하기에는 범위공간이 무수히 넓어지는 문제를 가진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동 객체 정보 보호를 위한 그리드 기반 시멘틱 클로킹 기법을 제안한다. 제안 기법은 시멘틱 클로킹을 위하여 EMD 갱신 스키마를 확장하고 이동 객체를 위한 대표 보호지역의 클로킹을 정의하였다. 성능 평가에서는 제안 기법이 기존 기법에 비해 처리 시간과 공간 범위에서 안전성과 효율성을 높였다. 이를 통해, 성공적으로 다양한 적으로부터 지속적으로 움직이는 객체의 위치 개인 정보를 보호하여 기존의 방법을 능가하는 성능을 보인다.

Asset Localization in Wireless Sensor Networks

  • Jo, Jung-Hee;Kim, Kwang-Soo;Kim, Sun-Joong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65-471
    • /
    • 2007
  • Many hospitals have been considering new technology such as wireless sensor network(WSN). The technology can be used to track the location of medical devices needed for inspections or repairs, and it can also be used to detect of a theft of an asset. In an asset-tracking system using WSN, acquiring the location of moving sensor nodes inherently introduces uncertainty in location determination. In fact, the sensor nodes attached to an asset are prone to failure from lack of energy or from physical destruction. Therefore, even if the asset is located within the predetermined area, the asset-tracking application could "misunderstand" that an asset has escaped from the area. This paper classifies the causes of such unexpected situations into the following five cases: 1) an asset has actually escaped from a predetermined area; 2) a sensor node was broken; 3) the battery for the sensor node was totally discharged; 4) an asset went into a shadow area; 5) a sensor node was stolen. We implemented and installed our asset-tracking system in a hospital and continuously monitored the status of assets such as ventilators, syringe pumps, wheel chairs and IV poles. Based on this real experience, we suggest how to differentiate each case of location uncertainty and propose possible solutions to prevent them.

CT를 이용한 복부 지방측정에서 측정 위치에 대한 고찰 (무증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A Study on the Location of Measurements in the Abdominal Fat using CT (In asymptomatic Korean individual))

  • 이상헌;이효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4권5호
    • /
    • pp.685-693
    • /
    • 2020
  • 본 연구는 비 조영 복부 CT 검사를 한 무증상 한국인을 대상으로 L1-S1 inter vertebral disc level에 따른 전체지방 면적, 피하지방 면적, 내장지방 면적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최대지방면적(㎠)을 가지는 위치를 알아보았다. 전체지방 면적의 최대지방비를 보이는 위치는 남자 L2-3, L3-4, L4-5, 여자 L4-5, L5-S1에서 측정한 전체지방 면적이다. 피하지방 면적의 최대지방비를 보이는 위치는 남자 L4-5에서 측정한 피하지방 면적이며, 여자는 L4-5, L5-S1에서 측정한 피하지방 면적이다. 내장지방 면적의 최대지방비를 보이는 위치는 남자 L1-2, L2-3에서 측정한 내장지방 면적이며, 여자는 측정 위치에 따른 내장지방 면적의 차이는 없었다. L4-5 inter vertebral disc level에서 복부 지방측정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넓게는 국적, 인종, 성별 등에 따라 좁게는 연구 대상자에 따라 지방 분포 특성이 다르다. 그러므로 연구목적에 따라 어떤 위치를 선택할 것인지 연구 자료를 통해 분석하고, 선택한 위치가 적절한 이유에 대해 언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운영부동산 유형별 리츠자산의 입지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Locational Characteristics of REITs Assets)

  • 정재연;이창수
    • 지역연구
    • /
    • 제40권1호
    • /
    • pp.89-110
    • /
    • 2024
  • 리츠는 부동산 운용과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으나, 그동안 리츠자산 입지를 분석한 선행연구는 부재하다. 이에 본 연구는 리츠자산들의 공간정보를 활용하여 그 입지특성을 규명하고자 리츠자산의 입지특성을 두가지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첫째, 리츠자산이 분포하는 도시 유형특성을 분석하였고, 둘째, 리츠자산이 분포하는 용도지역 특성을 분석하였다. 유형별 리츠자산이 분포하는 도시특성을 분석한 결과, 수도권의 경우, 리츠자산 입지도시 비율과 리츠자산 입지강도(도시당 리츠자산개수) 모두 광역시>대도시>중소도시 순의 도시 위계별 입지특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비수도권의 광역시와 대도시의 경우, 리츠자산 입지도시비율이 수도권과 유사한 경우도 있으나 리츠자산 입지강도는 수도권 대비 현저하게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유형별 리츠자산의 분석결과, 주택리츠 자산은 구도심 상업지역과 신도심 주거지역에 입지경향이 강하고, 오피스리츠 자산은 서울시 특정 상업지역에 입지가 편중되는 특징이 있으며, 리테일리츠 자산은 구도심 역세권 핵심 상업지역 중심으로 입지하고 있다. 그리고, 물류리츠 자산은 권역내 물류 핵심거점 도시를 중심으로 관리지역 입지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세대 멀티미디어 이동통신 망에서의 이동성 제어 방법 (Mobility Control in the Next Generation Multimedi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 신현철;장희선
    • 정보학연구
    • /
    • 제5권4호
    • /
    • pp.165-171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망에서 동적 위치등록 관리 방안을 제시한다. 동적 위치등록 방안을 제어하기 위해서 VLR내에 가입자마다 동적인 원형 위치등록 방법을 이용한다. 가입자가 새로운 위치영역으로 이동시 시스템은 현재의 원형 위치정보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이전 VLR과 새로운 VLR에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갱신하게 된다. 아울러 가입자의 위치정보를 동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발신호 설정시 현재의 가입자의 위치를 통보한다. 제안된 방법을 이용하여 이전의 방법 보다 HLR에서의 위치등록 트래픽을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 PDF

초고속 인터넷상에서 위치기반 서비스를 위한 실시간 IP/위치 매핑 시스템 구현 (A Implementation of Real-Time IP Address-Location Mapping System for LBS on High-Speed Internet)

  • 김민경;백규태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설비학회 2005년도 하계학술대회
    • /
    • pp.10-15
    • /
    • 2005
  • In the area of mobile communication, Location Based Services (LBS) using the location of mobile terminal to provide their services are rapidly spreading as communication network and terminal evolves. Despite the LBS are highly demanded in high speed internet area, the services are very rare due to the difficulty locating terminals.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method to locate terminals in real time and describe its implementation system. The proposed system is designed to collect the information in real time for more than a terminal connecting internet. And, the system shows high performancecollecting and generating location information through simulation tests.

  • PDF

혈액 물류센터 위치 선정 문제 (Facility Location Problem for Blood Logistics Center)

  • 이상운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2권2호
    • /
    • pp.135-143
    • /
    • 2012
  • 요본 논문은 혈액의 총 배송비용 최소화와 배송 허용시간 $T^*$ 조건을 만족시키는 최적의 물류센터 위치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Zhang과 Yang은 각 지역에서 최대 거리에 위치한 2개 지점의 평균값이 배송제약시간보다 작은 지점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방법을 제안하였으나 최단거리 계산 오류로 인해 물류센터 위치를 잘못 선정하였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지역 간 최단거리 $l_{ij}$를 구하여 $_{max}l_{ij}{\leq}L^*$인 지점과 $l_{ij}>L^*$인 경로 $P_{ij}=v_i,v_k,{\cdots},v_l,v_j$에 대해 ($v_i,v_k$)와 ($v_j,v_l$)로 $l_{ij}-L^*$ 위치를 이동시킨 지점들 중에서 $_{max}l_{ij}{\leq}L^*$인 지점들을 최종 후보 물류센터 위치로 결정하였다. 이들 후보 지점들 중 총 배송비용이 최소가 되는 지점을 최적의 물류센터 지점으로 결정하였다.

소규모 노인요양시설의 입지 및 공간구성의 실태 고찰 - 경남지역 노인요양시설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of Small Elderly Care Facilities - Focus on the Elderly Care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

  • 양금석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7-25
    • /
    • 202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location and space composition of small elderly care facilities in gyeongsangnam-do and to present a desirable direction for planning small elderly care facilities. As a research method, the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of 82 facilities for elderly care facilities with a capacity of 10 to 29 installed in Gyeongsangnam-do were investigated. In particular, the location, site area, total floor area, and composition of major rooms of small elderly care faciliti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e survey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for location characteristics, 56.1% of the suburban and rural types, 28.1% of the urban area type, and 12.2% of the mountain type were found in order. Second, in the connection between location and spatial composition, stand-alone facilities accounted for 53.7%, and complex types accounted for 46.3%. Third, the average number of admissions was 23.1, and facilities corresponding to the size of 26-29 admissions were the largest at 41.0%. The total floor area per person was 28.3m2. Fourth, in terms of the spatial composition of facilities, stand-alone facilities accounted for 53.7%, and complex types accounted for 46.3%. Fifth, by the number of people in the bedroom, 49.4% were installed in the order of a four-person room, 25.0% in a three-person room, 18.7% in a two-person room, and 3.5% in a one-person room. In addition, in the bedroom lifestyle, 84.1% of the bed type and 15.9% of the bed + sitting type were found.

A leak detection and 3D source localization method on a plant piping system by using multiple cameras

  • Kim, Se-Oh;Park, Jae-Seok;Park, Jong Wo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1권1호
    • /
    • pp.155-162
    • /
    • 2019
  • To reduce the secondary damage caused by leakage accidents in plant piping systems, a constant surveillance system is necessary. To ensure leaks are promptly addressed, the surveillance system should be able to detect not only the leak itself, but also the location of the leak. Recently, research to develop new methods has been conducted using cameras to detect leakage and to estimate the location of leakage. However, existing methods solely estimate whether a leak exists or not, or only provide two-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leakage location. In this paper, a method using multiple cameras to detect leakage and estimate the three-dimensional coordinates of the leakage location is presented. Leakage is detected by each camera using MADI(Moving Average Differential Image) and histogram analysis. The two-dimensional leakage location is estimated using the detected leakage area. The three-dimensional leakage location is subsequently estimated based on the two-dimensional leakage location. To achieve this, the coordinates (x, z) for the leakage are calculated for a horizontal section (XZ plane) in the monitoring area. Then, the y-coordinate of leakage is calculated using a vertical section from each camera. The method proposed in this paper could accurately estimate the three-dimensional location of a leak using multiple cameras.

수도권 정책변화에 따른 산업입지 수요의 변동 (The Variation of Industrial Location Demand by Changing Policy of Seoul Metropolitan Area)

  • 이현주;김미숙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6-306
    • /
    • 2011
  • 본 연구는 2008년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의 발표를 필두로 현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수도권정책의 변화의 방향과 그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수도권정책의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기업의 공간수요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내용은 수도권 정책이 기업의 입지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현 정부의 수도권 규제완화 정책에 따른 기업들의 입지행태 변화 및 공간수요의 변화방향을 분석한다. 연구방법은 실증분석과 설문분석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은 1980년대 이후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제조업체의 공간수요 변화추이를 분석하였다. 설문분석은 외생적 충격인 수도권 정책 변화가 기업체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여 향후 기업들의 제조업용지 수요방향을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기업체들은 그동안 수도권정책으로 인하여 기업입지 결정이나 공장규모결정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가장 큰 규제정책은 수도권정비계획법상의 권역규제와 공장총량제인 것으로 조사된다. 현 정부의 수도권규제완화로 인하여 제조업용지 수요증가가 예상된다. 특히 수도권과 충청권을 중심으로 제조업용지 수요가 증가될 것이며 강원도는 수요감소가 전망된다. 이는 수도권지역이 우리나라 중에서 가장 교통 물류 조건과 시장조건이 양호한 지역이므로 이 지역에 대한 기업선호도가 높은 까닭이다. 그러나 독자적인 경제권을 형성하고 있는 동남권이나 대경권의 경우 수도권 정책변화로 인한 영향력이 적다. 수도권지역 경우도 전체 지역에서 수요가 증가하는 것이 아니라 성장관리권역에서의 수요증가가 예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