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ity

검색결과 856건 처리시간 0.027초

A Caching Scheme to Support Session Locality in Hierarchical SIP Networks

  • 최광희;김현우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18권1호
    • /
    • pp.1-9
    • /
    • 2013
  • Most calls of a called user are invoked by the group of calling users. This call pattern is defined as call locality. Similarly Internet sessions including IP telephony calls have this pattern. We define it session locality. In this paper, we propose a caching scheme to support session locality in hierarchical SIP networks. The proposed scheme can be applied easily by adding only one filed to cache to a data structure of the SIP mobility agent. And this scheme can reduce signaling cost, database access cost and session setup delay to locate a called user. Moreover, it distributes the load on the home registrar to the SIP mobility agents. Our performance evaluation shows the proposed caching scheme outperforms the hierarchical SIP scheme when session to mobility ratio is high.

Apache Storm에서 지역성을 고려한 효율적인 트래픽 분배 (Efficient Locality-Aware Traffic Distribution in Apache Storm)

  • 손시운;이상훈;문양세
    • 정보과학회 컴퓨팅의 실제 논문지
    • /
    • 제23권12호
    • /
    • pp.677-683
    • /
    • 2017
  • Apache Storm이란 대표적인 실시간 분산 처리 시스템으로써, 분산 서버를 통해 실시간 데이터를 빠르게 처리하는 특징을 갖는다. 기존에 Storm은 다수의 서버에 트래픽을 분배할 때, 셔플(Shuffle) 그룹핑은 처리 지연 문제가 발생하며 이를 개선한 로컬(Local-or-Shuffle) 그룹핑은 트래픽이 특정 노드에 편중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기존 Storm 그룹핑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역성 고려(Locality-aware) 그룹핑을 제안한다. 실험에서는 제안하는 지역성 고려 그룹핑이 기존의 셔플 그룹핑 및 로컬 그룹핑에 비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기존의 Storm의 한계점인 지역성과 로드 밸런싱을 동시에 고려한 우수한 결과라 사료된다.

제7차 교육과정 지구과학 관련 교과서에서의 화석사진에 대한 산출지역 및 척도 표기 분석 (Analysis of the Locality and Scale of the Presentation of Fossil Photographs in Textbooks of Earth Science on the 7th Curriculum)

  • 정철환;문병찬;김해경
    • 한국지구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477-488
    • /
    • 2005
  •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 ‘실험관찰’ 교과서와 서로 다른 출판사의 중·고등학교 과학과 지구과학 I, II교과서, 각각 4권씩을 대상으로 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을 분석하여 화석의 종류, 산출지역과 척도의 표기에 대한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초등학교의 ‘과학’, ‘실험관찰’ 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의 종류는 32개였으며, 중학교 과학교과서 4권에는 50개, 그리고 고등학교 8권의 교과서에서는 109개였다. 그러나 화석사진에서 표현되는 과학적 정보는 부족하였다. 초등학교의 과학교과서와 실험관찰에서는 수록된 화석사진의 $68\%$에 산출지가 표기되어 있었으며, 척도가 표기된 화석사진은 전체의 $6\%$였다. 중학교와 고등학교 교과서의 경우, 전체 화석의 $40\%$$16\%$에 산출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척도는 14%와 18%만이 표기되어 있었다. 보다 효과적인 과학교육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과학교과서에 수록된 화석사진에 산출지와 척도를 표기할 필요가 있다.

셀룰러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 지역성을 고려한 위치 관리 기법 (A Location Management Scheme using User Locality in Cellular Communciation Systems)

  • 양권우;길준민;김기범;정순영;황종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시스템및이론
    • /
    • 제26권9호
    • /
    • pp.1135-1144
    • /
    • 1999
  • 본 논문에서 우리는 셀룰러 통신 시스템을 위한 위치갱신과 위치질의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새로운 위치관리 기법을 제안한다. 위치갱신 및 위치질의 비용을 줄이기 위하여, 제안한 위치관리 기법은 사용자 지역성을 사용한다. 사용자 지역성은 이동 지역성과 호 지역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동 지역성을 갖는 이동단말들을 위한 위치갱신은 지역 PVLR(Proxy-Visitor Location Register) 갱신에 의해 위치갱신 비용을 줄일 수 있다. 호 지역성을 갖는 이동단말들을 위한 위치질의는 지역 PVLR 질의에 의해 위치질의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분석 모델을 통하여, 제안한 기법의 성능 분석과 IS-41 표준과 제안 기법과의 성능을 비교한다. 사용된 비교 척도는 네트워크 비용, 데이타베이스 비용 그리고 호 설정 지연이다. 이들 모든 척도들에 대해서, 제안 기법이 IS-41 표준에서 정의된 위치관리 기법보다 더 좋은 성능을 보인다. 또한 비교 결과는 CMR(Call-to-Mobility Ratio)에 상관없이 제안 기법이 IS-41 기법보다 성능이 좋음을 보여준다. Abstract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location management scheme for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s with the goal of reducing both location update and query cost. In order to reduce both location update and query cost, the proposed scheme uses user locality. User locality consists of movement and call locality. For mobile terminals with movement locality, location update cost is reduced by local PVLR(Proxy-Visitor Location Register) update. Location query cost is reduced by local PVLR query for mobile terminals with call locality. Through analytical models, we analyz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 and compare it with that of the IS-41 scheme. The measures of comparison used are the network cost, the database cost, and the call set up delay. For all these measures, the proposed scheme performs better than the location management scheme defined in the IS-41 standard. Result comparison also shows that the our scheme performs better than the IS-41 scheme, regardless of CMR(Call-to-Mobility Ratio).

두 개의 다른 부분접속수 요건을 가진 부분접속 복구 부호 (Locally Repairable Codes with Two Different Locality Requirements)

  • 김건우;이정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41권12호
    • /
    • pp.1671-1683
    • /
    • 2016
  • 부분접속 복구 부호(Locally Repairable Code)는 분산 저장 시스템(Distributed Storage System)의 효율적인 노드 복구(repair)를 위한 부호로서, 부분접속수(locality), 즉 복구 과정에서 사용되는 노드의 개수를 작게 함으로써 복구의 효율성을 높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각 노드의 부분접속수가 서로 다른 값으로 규정되는 상황을 다룬다. 다중 부분접속수에 대한 기존의 연구 결과를 ($r,{\delta}$)-부분접속수의 경우로 확장하여, 서로 다른 두 부분접속수로 규정되는 부호의 최소 거리 상계 및 이를 달성하는 최적 부호의 설계를 제시한다. 제안되는 상계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다중 부분접속수의 개수가 두 개로 제한되지만, 부호의 부분접속수가 정확하게 주어지지 않고 상한으로만 주어지는 보다 일반적인 경우에 직접 적용 가능하다.

이동 IPv6 환경에서 지역성에 기반한 효율적인 멀티캐스트 전송 메커니즘 (An efficient Multicast Delivery Mechanism Based on Locality in Mobile IPv6 Networks)

  • 성수련;김기영;신용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3호
    • /
    • pp.409-418
    • /
    • 2005
  • 본 논문은 이동 IPv6 환경에서 지역성에 기반한 효율적인 멀티캐스트 전송 방식을 제안한다. 본 논문은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하는 전체 횟수를 줄이기 위해 이동 노드의 반복적인 이동 성향을 이용한다. 이동 노드의 이동 성향을 이용하여 지역성 범위를 정의한다. 외부 네트워크는 지역성 범위에 속하는 동안 멀티캐스트 트리를 계속 유지하게 된다. 이동 노드가 일정 시간 후에 지역성 범위에 포함된 외부 네트워크로 돌아왔을 때, 이동 노드는 멀티캐스트 그룹에 가입 절차로 인한 지연 없이 멀티캐스트 서비스를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은 비용 분석을 위해 이산분석 모델을 이용하여 산출된 전체 처리 시간과 서비스 지연 시간을 기반으로 제안한 방식과 기존의 방식을 비교한다. 분석 결과는 제안한 방식이 전체 처리 시간과 서비스 지연시간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음을 보여준다.

근대와 탈근대 담론에서 존재론적 '사이'로서의 로컬리티 (Locality as ontological 'Between' in Modern and Postmodern Discourse)

  • 이재성
    • 철학연구
    • /
    • 제126권
    • /
    • pp.235-261
    • /
    • 2013
  • 이 글은 근대에 의한 현대 체제 일반과 그를 극복하려는 탈근대 담론 안에서 왜 로컬 혹은 로컬리티가 필연적으로 인간 삶의 존재론적 '사이'의 문제로 제기될 수밖에 없는지를 철학적으로 조명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근대와 탈근대의 논의 과정에서 제기된 수많은 문제들 중 인간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면서 동시에 인간 삶의 질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2). 또한 이 과정에서 로컬 혹은 로컬리티는 인간 삶의 질과 어떤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도 자세히 들여다보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로컬 안에서만 비로소 인간은 다양한 질감의 흔적과 주름들이 뒤엉켜 시간과 장소를 의미화시켜 나가는 주체가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체들은 상호주관적 관계망을 통해 사회를 이루고 함께 살아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 이럴 때 로컬 혹은 로컬리티는 참된 인간적 사회적 삶이 가능한 장소, 즉 존재론적 '사이'로서 로컬리티 인문학의 가능성으로 드러나게 될 것이다(4).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cience Classes using the Geological Materials of a Locality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cientific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김해경;이경학;나경아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73-184
    • /
    • 2017
  • 본 연구는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초등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와 과학적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G광역시 G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3학년 47명이다. 이 중 실험집단은 23명, 비교집단은 24명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는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실시하고 비교집단에는 교과서에 제시된 사진 및 기존에 비치되어 있는 암석과 화석표본 또는 모형을 활용하여 수업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학업 성취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이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본 결과 과학적 태도 전체 점수 및 하위 요소인 과학수업의 즐거움, 과학 탐구에 대한 태도 및 관심에서도 실험집단의 점수가 비교집단 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변화 양상을 심도 있게 들여다보는 질적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지역의 지질 자료를 활용한 수업을 효과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지역별로 다양한 자료에 대한 개발 및 보급이 되어야 하고 수업자료 개발 및 적용을 위해서는 관련 교사교육의 기회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실내에서 지역의 지질에 대해 소개하고 실제 분포하는 지질 자료를 활용한 과학 수업을 야외학습으로 연결할 경우 야외 지질학습 활동의 준비단계 활동으로서 적용이 가능하므로 이에 대한 추후 연구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SSD 기반 서버급 스토리지를 위한 지역성 기반 청킹 정책을 이용한 데이터 중복 제거 기법 (Data Deduplication Method using Locality-based Chunking policy for SSD-based Server Storages)

  • 이승규;김주경;김덕환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0권2호
    • /
    • pp.143-151
    • /
    • 2013
  • 낸드 플래시 기반 SSD(Solid State Drive)는 빠른 입출력 성능, 저전력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타블릿, 데스크탑 PC, 스마트폰, 서버 등의 저장장치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SSD는 쓰기 횟수에 따라서 마모도가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SSD의 수명을 향상시키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 중복제거 기법이 도입되었으나, 일반적인 고정 크기 분할방식은 데이터의 지역성을 고려하지 않고 청크크기를 할당함으로써, 불필요한 청킹 및 해시값 생성을 수행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가변 크기 분할방식은 중복제거를 위해 바이트 단위로 비교하여 과도한 연산량을 유발한다. 본 논문에서는 SSD 기반 서버급 스토리지에서 쓰기 요청된 데이터의 지역성에 기반한 적응형 청킹 정책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중복데이터가 가지는 응용프로그램 및 파일 이름 기반 지역성에 따라 청크 크기를 4KB 또는 64KB로 적응적으로 분할하여, 청킹 및 해시값 생성에 따른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고, 중복 쓰기를 방지한다. 실험결과, 제안하는 기법이 기존의 가변 크기 분할 및 4KB의 고정 크기 분할을 이용한 중복제거기법보다 SSD의 쓰기 성능이 향상되고 전력 소모 및 연산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부산의 기억과 로컬리티 -<부산의 인물>과 <부산의 문화재>를 중심으로- (Memories and the Locality of Pusan - Focusing on Historical Figures of Busan and Cultural Properties of Busan -)

  • 송정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343-364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부산의 로컬리티를 기록화하기 위해 우선 부산의 로컬리티가 무엇인지 밝히는 것이다. 부산의 로컬리티를 어떻게 밝힐 수 있을 것인가? 기억이 정체성 형성의 근본이므로 부산에 대한 기억이 부산의 지역정체성, 즉 로컬리티 형성의 근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기억과 정체성의 관계에 주목하여 이 연구에서는 부산에 대한 기억을 분석함으로써 부산의 로컬리티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부산에 대한 기억을 파악하기 위해서 부산시청 홈페이지에서 제시하고 있는 <부산의 인물>과 <부산의 문화재>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부산의 인물>을 시대와 주제로 분석한 결과, 삼국시대와 고려시대에는 등재된 인물이 없었고, 조선시대에도 장영실을 제외하고는 부산 출신의 학자는 없었다. 등재된 인물의 대부분은 부산으로 부임해 온 동래부사와 같은 목민관이었다. 그러나 개항기에 이르면 신교육을 받은 부산인물의 약진이 눈에 띈다. <부산의 문화재>를 분석한 결과 동래구, 수영구, 사하구는 정주의 공간임을, 중구와 그에 인접한 서구와 영도구는 일본의 이익을 대변하는 이주의 공간이며, 동구는 정주의 공간에서 개항을 계기로 이주의 공간으로 변모하였음을 밝혔다. 조선시대의 행정중심지였던 동래가 개항 이후 주변화되는 것과 대조적으로 일본인의 집단거주지인 이주의 공간이 새로운 중심지로 부상하였다. 이는 관부연락선과 경부선 등 새로운 교통수단이 일본인 거주지 중심으로 개발되는 것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