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cality as ontological 'Between' in Modern and Postmodern Discourse

근대와 탈근대 담론에서 존재론적 '사이'로서의 로컬리티

  • Received : 2013.04.05
  • Accepted : 2013.05.16
  • Published : 2013.06.30

Abstract

This paper aims to cast light upon the urgent problem philosophically the reason why local or locality can not help being raised as the problem of ontological 'between' in human life, in the post modern discourse trying to surmount the general modern system in modern times and it. Therefore, it is necessary that we should inspect the quality of human life, raising a basic question about the existence of human among many questions raised in the process of the discussion of modern and post modern(2). In addition, in the process, we should look into closely what relations local or locality has with the quality of human life, because only in the local, human can be the subject who is making meaning the time and the places, being tangled with the trace of various texture and wrinkles from life. Also, it is here, in the local that subjects can identify to live together through the intersubjective network(3). When these conditions are met, local or locality will emerge as the possibility of locality humanities, as ontological 'between' in human life, where true humane and social life is possible(4).

이 글은 근대에 의한 현대 체제 일반과 그를 극복하려는 탈근대 담론 안에서 왜 로컬 혹은 로컬리티가 필연적으로 인간 삶의 존재론적 '사이'의 문제로 제기될 수밖에 없는지를 철학적으로 조명하려는 시도를 담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근대와 탈근대의 논의 과정에서 제기된 수많은 문제들 중 인간존재에 대한 근본적인 물음을 제기하면서 동시에 인간 삶의 질을 점검할 필요가 있다(2). 또한 이 과정에서 로컬 혹은 로컬리티는 인간 삶의 질과 어떤 연관성을 맺고 있는지도 자세히 들여다보아야 할 것이다. 왜냐하면 로컬 안에서만 비로소 인간은 다양한 질감의 흔적과 주름들이 뒤엉켜 시간과 장소를 의미화시켜 나가는 주체가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주체들은 상호주관적 관계망을 통해 사회를 이루고 함께 살아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3). 이럴 때 로컬 혹은 로컬리티는 참된 인간적 사회적 삶이 가능한 장소, 즉 존재론적 '사이'로서 로컬리티 인문학의 가능성으로 드러나게 될 것이다(4).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