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ity

검색결과 857건 처리시간 0.023초

현대주거건축론을 통해 본 외관표현에 관한 연구 -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expression in elevation in through theory of contemporary house - focused on the Taegu province -)

  • 정명섭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5권2호
    • /
    • pp.77-86
    • /
    • 1994
  • The attempts in pursuit of humanity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brought about meaning to the 'Locality as a main conception which opens new potentiality at this confused period. Contemporary housing design should meet the indigenous ‘Locality’ of the building sites environment. An adequate adaptation to the ‘Locality’ will bring more efficient use, lower running-costs, and longer durability of original beauty of the houses. Our contemporary houses should admit general requirements at this time and they should be expressed through not only space but also form and design. Finally, we must find the direction of elevation planning of Korean contemporary houses, inquiring into design elements of ‘Locality’ in the view point of transformation and analyzing how the elements are represented in contemporary houses. This research was aimed to find how to optimize an elevation design of houses in adapting to the Korean indigenous ‘Locality’ in order to create a domestic housing design suitable for Korean life style, however, one cannot ignored elements of the Korean traditional mode of living.

  • PDF

영상의 지역성과 인접 픽셀 차분 시퀀스를 이용하는 가역 데이터 임베딩 기법 (Reversible Data Embedding Algorithm Using the Locality of Image and the Adjacent Pixel Difference Sequence)

  • 정수목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573-577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영상의 지역성과 인접 픽셀 차분시퀀스를 이용하는 가역 데이터 임베딩 기법을 제안하였다. 자연영상에는 일반적으로 지역성이 존재한다. 영상의 지역성을 이용하여 인접한 픽셀 값을 예측하는 기법을 기존의 기법인 APD(Adjacent Pixel Difference) 기법에 적용하여 임베딩 가능한 데이터 량을 증가 시키고 다양한 레벨로 데이터 임베딩을 가능하게 하는 가역 데이터 임베딩 기법을 제안하였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기법의 우수성을 확인하였다.

Dual Cache Architecture for Low Cost and High Performance

  • Lee, Jung-Hoon;Park, Gi-Ho;Kim, Shin-Dug
    • ETRI Journal
    • /
    • 제25권5호
    • /
    • pp.275-287
    • /
    • 2003
  • We present a high performance cache structure with a hardware prefetching mechanism that enhances exploitation of spatial and temporal locality. Temporal locality is exploited by selectively moving small blocks into the direct-mapped cache after monitoring their activity in the spatial buffer. Spatial locality is enhanced by intelligently prefetching a neighboring block when a spatial buffer hit occurs. We show that the prefetch operation is highly accurate: over 90% of all prefetches generated are for blocks that are subsequently accessed. Our results show that the system enables the cache size to be reduced by a factor of four to eight relative to a conventional direct-mapped cache while maintaining similar performance.

  • PDF

공간 중심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의 설계 (Designing a Space-based Locality Documentation Model)

  • 설문원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437-455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공간/장소를 중심으로 추진되는 로컬리티 기록화의 모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x 등이 주창한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과 우리나라에서 최근 이루어진 관련 연구 등을 분석하여 로컬리티 기록화의 방향과 전략이 어떻게 바뀌고 있는지 분석하였고, 이를 토대로 디지털 환경에서의 새로운 로컬리티 기록화 패러다임을 도출하였다. 새로운 패러다임에 근거하여 공간 기반의 로컬리티 기록화 모형(spanDoc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 모형은 기록화의 원칙, 구조, 절차를 포함하며, 특히 로컬리티 기록화의 결과가 디지털 환경에서 축적되고 활용되는 구조를 보여주는 데에 초점을 맞추었다.

Locality를 이용한 섹터 매핑 기법의 효율적인 FTL 알고리듬 (Design of an Efficient FTL Algorithm Exploiting Locality Based on Sector-level Mapping)

  • 홍수진;황선영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6권7B호
    • /
    • pp.818-826
    • /
    • 2011
  • 본 논문은 플래쉬 메모리 접근 시 소거 횟수를 줄이기 위해서 섹터 매핑 기법을 바탕으로 지역성(Locality)을 FTL (Flash Translation Layer) 알고리듬을 제안한다. 섹터 매핑 기법은 다른 기존의 매핑 기법보다 성능은 우수하나, 매핑 테이블이 커지는 단점을 가진다. 제안한 알고리듬에서는 동적 테이블 업데이트 방식으로 매핑 테이블의 크기를 줄였으며, 순차적 지역성 (Sequential Locality)을 이용하여 순차쓰기를 처리하고 임의쓰기에서 hot 섹터를 추출하였다. 실험결과 제안된 알고리듬은 기존의 BAST, FAST, 섹터 매핑 알고리듬과 비교하여 75.2%, 65.8%, 10.3%의 소거 횟수가 감소함을 보인다.

고성능 데이터 캐시 메모리 구조 (High Performance Data Cache Memory Architecture)

  • 김홍식;김정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945-951
    • /
    • 2008
  • 공간적 지역성(spatial locality) 및 시간적 지역성(temporal locality)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고성능 데이터 캐시 구조를 제안한다. 제안된 캐시 메모리는 하드웨어 프리패치 유닛과 큰 블록 크기를 갖는 직접사상(DM: direct mapped) 캐시와 작은 블록 크기를 갖는 완전 사상(FA: fully associative) 캐시의 하위 캐시 유닛으로 구성된다. 공간적 지역성은 블록 데이터를 패치하여 직접 사상 캐시에 저장함으로써 보장되며, DM 캐시 히트가 발생한 경우에 그 이웃 데이터 블록을 프리패치 함으로써 최적화 된다. 시간적 지역성은 작은 블록 데이터가 DM 캐시로부터 제거 될때 그 블록의 과거 기록에 따라서 중요한 데이터는 완전사상 캐시에 저장함으로써 보장된다. Spec2000 벤치 마크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 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캐시 구조는 비슷한 크기의 직접사상 캐쉬, 4웨이 연관사상(4 way set associative cache) 및 SMI(selective-mode intelligent cache) 캐쉬 [8]등의 기존의 구조에 비해서 미스 비율(miss rate)을 평균적으로 $12.53\sim23.62%$ 그리고 AMAT(average memory access time)를 평균적으로 $14.67\sim18.60%$ 줄일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지역방송의 지역성 및 다문화주의 반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flect of the Locality and the Multiculturalism in the Local Broadcasting)

  • 홍숙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6권3호
    • /
    • pp.149-158
    • /
    • 2008
  • This study identifies the present status of multicultural broadcasting programs as multicultural phenomenon is spreading throughout Korean society and it discusses how a local broadcasting has to reflect locality and multicultural characteristic. A notion on the local of multimedia and multichannel time is expanding as a concept of emotional and psychological territory over geographical space. Therefore the locality should reflect attachment and interests of its members as well as disseminating multicultural reality. A locality for broadcasting should accept differences, reflect a cultural diversity, and satisfy its dynamic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quire whether a local broadcasting is performing its function as a local press and a place forpublic opinions by examining how they reflect reality of local, where an inflow of Immigrants and their cultures are altering the place as a multicultural society, and what Programs they propose. This study also presents media education for immigrants, revitalization of community, multicultural education about local citizens, and practical use of multicultural contents and small output radio as a source of supply for local broadcasting program in order to harmonize production of multlcultural media contents In local society.

  • PDF

로컬리티 재구성 과정에 대한 이론적 분석틀 (A Theoretical Framework for the Reconstructing Process of Locality)

  • 김용철;안영진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420-436
    • /
    • 2014
  • 이 논문은 근래에 들어와서 다양한 변화의 압력을 받아 온 지역사회의 대응 양상 및 전략 그리고 그 결과로서 등장하는 지역사회의 변화를 '로컬리티'(locality)의 재구성 과정이라는 관점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광주 전남의 로컬리티의 지속과 변화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로컬리티를 둘러싼 국내외의 선행 연구들의 논의를 살펴보고, 기존 연구가 지닌 이론적 문제점을 종합적으로 검토하면서,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적 개념과 분석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로컬리티를 국가적 그리고 지구적 수준의 영향력과 로컬 수준의 사회적 관계망 간의 상호작용이 생성해 낸 구체적 결과물로 규정하고자 한다. 즉, 로컬리티를 '글로벌-내셔널-로컬'이라는 다중적 스케일의 구조적 맥락 속에서 일정한 공통의 장소를 근간으로 다양한 행위자들에 의해 구성되는 사회적 구축물로 파악하였다.

  • PDF

계층적 P2P 시스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네트워크 거리 기반 운영 기법 (An Efficient Management Scheme of Hierarchical P2P System based on Network Distance)

  • 홍충표;김정길;김신덕
    • 정보통신설비학회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21-127
    • /
    • 2011
  • Many peer-to-peer (p2p) systems have been studied in distributed, ubiquitous computing environments. Distributed hash table (DHT)-based p2p systems can improve load-balancing even though locality utilization and user mobility are not guaranteed. We propose a mobile locality-based hierarchical p2p overlay network (MLH-Net) to address locality problems without any other services. MLH-Net utilizes mobility features in a mobile environment. MLH-Net is constructed as two layers, an upper layer formed with super-nodes and a lower layer formed with normal-nodes. Because super-nodes can share advertisements, we can guarantee physical locality utilization between a requestor and a target during any discovery process. To overcome a node failure, we propose a simple recovery mechanism. The simulation results demonstrate that MLH-Net can decrease discovery routing hops by 15% compared with JXTA and 66% compared with Chord.

  • PDF

마을계획에 따른 농촌경관과 지역성 고찰 - 충북 보은군 산외면 대원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ural Landscape and Locality according to the Community Planning - Focused on the Daewon Ri Sanoe Myeon Boeun Gun Chungbuk -)

  • 박헌춘;김승근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0권4호
    • /
    • pp.65-72
    • /
    • 2008
  • Recently, has been the subject of high interest in rural areas. However it incite the damage to rural landscape and destruction of the locality. The reason is the economic logic that potential was ignored of community. In the meantime, has thrown out the importance to restore damaged rural landscape. So, pleasant natural environment and community resources to create valu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redefine the value of the future of rural landscape that the community design and community planning is to offer basic data.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landscape that all human perception through the senses, so the community planning to landscape the locality of the formation is a very important element. Second, if it build a new building would have to find space in community. So, the plan must reflect the community and the locality, If so the landscape of th community, the building will be imbibe naturally. Third, the rural area of the rural community when planning for past, present and future should be thoroughly analyzed, and for the future direction of the community will be set up. Finally, analyzing correctly past of the community to reconfigure the rural community is very important. When configure the space of rural community, if created the new space based on original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ty, the landscape will be kept in rural communit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