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culture

검색결과 1,721건 처리시간 0.028초

스토리텔링을 통한 충남향토음식 개발 연구 - '무령왕 수라상'과 '몽유도원 밥상'을 중심으로 -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in Chungcheongnam-do by Storytelling)

  • 김미혜;정혜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70-284
    • /
    • 2010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familiarize people with the native local food of Chungnam Province by developing its regional food as a culture resource. Native Local Food Search and luxury itemization based on regionally-characterized stories enhances self-perception of the national culture, promotes appropriate local images to the public, and contributes to the local economy by increasing regional tourism. Therefore, this study researched local stories of cultural significance, that is, those connected to the history and originality of Chungnam Province, and developed contents related to Chungnam native local food. Features of the native local food were introduced by a story telling method in order to appeal to the five senses. The story was composed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value of food, and the brand image of Chungnam was developed based on representative historical stories of the region. In this study, the following were developed as representative images of Chungnam: 'Royal meal table of King Moo-ryung' in Kongju was presented by recomposing the story of King Moo-ryung, a famouns king of the Baekje era; 'Mong-yoo-do-won's rice meal table' was introduced via Mongyoo-do-won's painting by Kyeon An, a famous painter of the Chosun era who was born in Seosan. The 'Royal meal table of King Moo-ryung' was set with food made from local farm products, demonstrating the flavor and elegance of the Baekje era. 'Mong-yoo-do-won's rice meal table' resembled Kyeon An's Mong-yoo-do-won-do, which has a background featuring early spring. The rice table was designed to remind people of a flamboyant painting like a scattered peach blossom leaf in the early spring. To verify the health effectiveness of each rice table, the function of each ingredient was investigated through 'Sik-ryo-chan-yo:a dietary treatment', which was published by Soon-Ui Cheon during the Chosan era. According to the results, most of ingredients are certainly beneficial to health, as was recognized in the early Choson era.

지역브랜드의 현황과 인지도에 관한 연구 -충남의 지역브랜드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ituation and awareness of local brand -focus on Chungnam local brand-)

  • 이은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4권1호
    • /
    • pp.225-230
    • /
    • 2018
  • 지역 브랜드는 지역의 인지도와 지역 농산물의 마케팅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으로 많은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 브랜딩이 관심을 갖고 추진하고 있다. 지역 브랜드는 지역의 매력을 가장 정확하고 뚜렷하게 나타내 줄 수 있는 대표성, 선명성이 있어야 하며, 지역의 특성과 이미지를 가장 잘 연상, 전달할 수 있는 지역성과 차별성을 갖추어야 한다. 지역브랜드는 그 유형에 따라 지역정체성 브랜드와 지역산물 브랜드로 구분이 가능하며, 자연자원형, 문화자원형, 상품자원형, 서비스자원형으로도 유형이 구분되기도 한다. 충청남도의 경우 많은 지역산물에 포커스를 맞춘 지역브랜드를 육성하고 있다. 그러나 충청남도의 지역산물 브랜드의 경우 아직 그 인지도와 신뢰도가 낮아서 지역의 대표성, 이미지를 충분히 커뮤니케이션 하기에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극복하는 것이 앞으로의 지역브랜드 성공을 위한 과제로 대두된다.

지역축제 정착화 과정에서의 콘텐츠 변화양상 -나주 영산강문화축제 사례를 중심으로- (Contents Change Aspect on Fixing Process of Local Festival Case of the Yeongsangang Culture Festival in Naju)

  • 임은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38-447
    • /
    • 2009
  • 과거 10여년 동안 한국의 지역축제는 양적, 질적으로 급성장해 왔다. 그리고 축제를 기획하는 전문가와 연구자들에 의해 지역축제의 문제점 또한 많이 지적되어 왔다. 하지만, 선행연구들 대부분은 한 시점에 근거한 문제점 제시에 그치고 있다. 한편, 최우수 문화관광축제들은 대부분 10년 이상의 역사적 과정 속에서의 시행착오를 통해 정착단계를 맞이하고 있다. 그만큼 과정을 이해하는 것이 근본적인 문제점을 해결해 나가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는 나주 영산강문화축제를 사례로 지역의 대표축제로서의 정착화 과정에서의 축제 콘텐츠 변화양상을 시계열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가장 큰 문제점은 광범위한 주제설정으로 인한 축제소재의 불명확성이 축제의 정체성 상실로 이어지고 있다는 점이다.

The Relationships among Food Image, Tourist Satisfactions and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A Case of Hanoi Local Cuisine

  • Tu, Minh;Lee, Kwang-Woo;Park, Soo-Han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70-77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ourist satisfaction towards Hanoi local food image as well as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ose two variables with tourist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A self-administered survey was carried out in Hanoi, Vietnam. Of the distributed 400 questionnaires, a total 393 respondents of foreign tourists were used to data analysis b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actor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underlying dimensions of what foreign tourists expect most from Hanoi local food image. The results showed that foreign tourist perceived Hanoi local food image as, food quality, food culture, contexture features and atmospheric. The finding showed that Hanoi local food image had a direct effect on foreign tourist's satisfaction and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In addition, tourist satisfac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destination loyalty intention. At last, considering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t is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reate and maintain the identity of image by formulating appropriate strategies and it is instrumental to promote local food image based on its distinctiveness and diversity which stands for the unique native culture.

영주 지역 향토음식의 인지도 분석 및 개발방안 (Study on Recognition and Development of Native Local Foods in the Young-ju Area)

  • 남선정;박금순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45-454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better understand the local and specialty foods of the Yeong-ju region.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for new menu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The results of 384 surveys, which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raditional rice cake production methods and their traits, were analyzed. Samgyetang was ranked top in the survey on recognition, public interest, and frequency of the local foods. Dakjuk was ranked second, followed by Baechujeon and Bopguk, in order. The levels of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specialty foods were in the order of hasuo, peach, apple, and meat. Among the answers in the survey on the popular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local foods, changing of the cooking style for younger generations' taste was considered to be the most important. Holding events to promote regional specialty foods and initiate the public to traditional cooking styles were listed sequentially by importance. The survey results show that promotion of local foods through education, and as well as incorporation of new ingredients are both highly effective ways to commercialize local foods for tourism. The results also indicate that taste, nutrition, and appearance of food should be considered in order to improve quality.

창녕지역 축제에서 지역농특산물 및 그 가공품의 구매와 운영 프로그램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among Operation Program and Purchase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Products at Changnyeong Local Festival)

  • 차용준;허은실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29-40
    • /
    • 2015
  • This study analyzed purchasing characteristic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products as well as evaluated operation programs for Changnyeon festival participants. The purchasing rate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and processed products at this festival were 63.6% and 49.1%, respectively, and the main purchased crops were onion (42.6%) and garlic (20.7%). Drinks (43.6%) were highly purchased processed products. The recognition (95.3%) and preferences (98.4%) for Changyeong local agricultural products were high at this festival. Subjects (72.5%) responded that public relations were effective for sale at this festival, and evaluation of the operation program for the festival was $3.51{\pm}0.74$ (total score 5 points). Satisfaction with the experience event (37.7%) and exhibition event (33.6%) were high at this festival program, whereas participants gave low rates for art exhibition and sale events of local agricultural products (16.2%), cooking education (14.7%), direct education program (12.9%), and games (12.1%). This festival was an effective means of public relations, although purchase effects were not significant.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festival is necessary for planning a program to increase purchasing.

지역문화축제 스토리텔링이 브랜드 자산에 미치는 영향: 지역문화 일치성의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Storytelling of Local Cultural Festival on Brand Assets: Moderating Effect of Local Culture Unity)

  • 최건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7호
    • /
    • pp.13-20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축제 방문객을 대상으로 지역문화일치성이 스토리텔링과 브랜드자산과의 관계를 조절하는지를 검증하여 지역문화축제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있다. 설문조사는 S시 읍성축제 프로그램에 참여한 431명의 방문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설문자료의 분석은 기술통계,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및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스토리텔링과 지역문화일치성은 가장 높은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고, 지역문화일치성과 브랜드자산 간, 스토리텔링과 브랜드자산 간 모두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다. 둘째, 조절효과 분석 결과 지역문화일치성이 스토리텔링과 브랜드 자산을 조절하였다. 즉, 스토리텔링이 증가하면 브랜드 자산이 증가하는데 지역문화일치성이 높은 경우 낮은 경우보다 가파르게 증가하였다. 본 연구는 지역축제의 브랜드자산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다.

지방문화원의 재정자립을 위한 법적 검토 (A Legal Review for Financial Independence of Local Cultural Centers)

  • 이홍기
    • 지역과문화
    • /
    • 제8권4호
    • /
    • pp.23-42
    • /
    • 2021
  • 이 논문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지방문화원의 수익사업과 관련된 규정을 마련하여 지방문화원의 재정적 자립을 구축하기 위한 법적 방안을 검토하였다. 지난 70여년간 지방문화원은 지역문화의 중심지였으나, 재정적으로 자립하지 못하고 보조금에 의해 존속해왔다. 외부에 의존하는 재정구조는 지방문화원 목적사업의 수행을 어렵게 하고, 지속 가능성까지 위협한다. 법적으로 지방문화원은 지방문화원진흥법에 따라 설립되는 특수법인으로서, 설립근거법령에 따라 법적 지위와 기능이 규정된다. 현행 지방문화원진흥법은 지방문화원의 목적사업 외에 수익사업을 영위할 수 있음을 규정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다른 특별법으로 설립된 특수법인들의 입법례를 검토할 때, 지방문화원진흥법도 지방문화원의 수익사업과 관련된 규정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파악된다. 이 글은 구체적인 법안을 제시하는 한편, 그 외 재정자립에 필요한 논의들을 함께 제시하였다.

모바일 웹 서비스에 기반한 문화 콘텐츠의 활용: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의 사례를 중심으로 (The Application of the Culture Contents Based on Mobile Web Services: Focusing on the Case of The Encyclopedia of Korean Local Culture)

  • 김수영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1-59
    • /
    • 2012
  • 모바일 및 태블릿 PC의 확산으로 인해 지리적 경계가 무너짐에 따라 글로벌 문화 예술 활동 및 공공문화 콘텐츠 교류가 확대되는 추세이며, 웹2.0의 확산에 따라 사용자는 쉽게 다양한 문화 콘텐츠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이에 적합한 기술을 적용하고 문화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있어 각 지자체 및 연구기관에서는 선례나 기준이 없어 개별적이고 독자적으로 구축, 서비스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기존의 콘텐츠 서비스와는 달리 모바일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야 하며 사용자의 현재 상황에 적합한 개인화된 콘텐츠를 적시에 제공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문화 콘텐츠의 모바일 서비스를 위한 기반연구 현황과 모바일 환경을 기반으로 한 문화 콘텐츠 서비스의 표준적이고 효과적인 구축방안을 기초한 한국향토문화전자대전 모바일 웹 서비스 사례를 소개한다.

자치단체의 독서진흥조례 내용분석 (A Study on Content Analysis of the Reading Promotion of Ordinance in Local Governments)

  • 홍은성;장우권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07-135
    • /
    • 2015
  • 이 연구는 우리나라 지방자치단체의 자치법규인 독서문화진흥을 위한 조례의 제정과 시행에 대한 현황과 내용을 조사 분석한 후 조례와 규칙의 운영에 대한 효율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헌고찰과 관련 조례를 조사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1) 전국 245개 광역 및 기초자치단체가 운영 중인 독서관련 자치법규는 조례가 77건, 규칙이 7건으로 나타났다. 2) 지자체와 교육지자체의 조례와 규칙명칭이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3) 조례와 규칙의 명칭에 따라 내용의 구성요소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같은 조례 규칙의 명칭을 부여하고 있음에도 서로 다른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다. 4) 현재까지 폐지된 지자체 독서관련 자치법규는 조례 10건, 훈령 2건으로 나타났다. 이에 독서문화진흥정책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면 1) 독서진흥정책 홍보를 통한 인지도를 개선해야 한다. 2) 지자체의 독서진흥의 환경을 고려한 최적의 자치법규 조례명칭을 부여해야 하며, 조례 규칙의 내용은 통일성을 가져야 한다. 3) 조례는 폐지하기에 앞서 폐지 후 나타난 문제점을 면밀히 살펴본 후, 주민들이나 전문가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한 후 대체 자치법규를 제정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