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behavior

검색결과 1,794건 처리시간 0.041초

(탈)중심화 경관의 해석을 위한 틀 : 권력, 주체성, 수행성 (A Framework of Interpretating (de)Centralized Landscape : an Interaction of Power, Subjectivity, and Performativity)

  • 박규택;하용삼;배윤기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55-368
    • /
    • 2010
  • 본 연구는 근대 국민국가와 자본주의 체제가 수립된 이후 급속하게 진행된 로컬 경관의 변화를 새롭게 해석하기 위한 틀을 만들기 위한 시론적 작업으로 이루어졌다. 틀의 토대가 될 주요 개념은 권력(power), 주체성(subjectivity), 수행성(performativity)이며, 향후 이 개념들을 보다 치밀하게 결합된 해석의 틀로 발전시킨 뒤 다양하며 역동적으로 변화한 (탈)중심화 경관의 구체적 현상을 연구하는 데 응용될 것이다. 국민국가 하에서 국가권력은 통치, 국민적 정체성, 중앙집중적 경제발전 등을 실행하기 위해 상이한 로컬의 문화 역사와 다양한 주체들의 가치를 파괴하거나 주변화 시킨다. 이는 경관을 매개로 작동하며, 경관에 나타난다. 그리고 역사의 흐름 속에서 국가 권력에 의해 형성된 경관은 로컬에서 갈등의 동인으로 작동하기도 한다. 경관은 다양한 주체들에 의해 만들어지며, 역으로 생성된 경관은 사람들의 정서, 인식, 행동에 능동적인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경관과 주체성의 역동적 관계를 근대 이념, 국민국가, 자본주의 체제는 이성/합리성, 전체성/집단성, 이성과 감성의 분리 등에 의해 위장하거나 배제 혹은 주변화시켰다. 그리고 경관과 주체성의 관계에 관한 논의는 주체들의 저항성과 창의성에 무게를 둔다. 마지막으로 경관은 선험적으로 혹은 객관적으로 표현되는 개념 혹은 주체의 감성과 인지와 분리될 수 있는 물체(혹은 객체)가 아니라 상이한 주체들과의 수행적 관계 속에서 해석되어야 한다. 수행성은 경관의 물질성, 권력, 주체성을 결합시킬 뿐만 아니라 경관 자체의 능동적 역할을 이해하는 데도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아산 탕정지구 외골유적 출토 고려 기와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제작기법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Making Techniques of the Goryeo Roof Tiles from Oegol Site of Tangjeong Area in Asan, Korea)

  • 김지영;이찬희;조선영;김란희;이호형
    • 보존과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299-316
    • /
    • 2009
  • 아산 탕정지구 외골유적에서 출토된 고려시대 와편은 외면과 속심의 색상에 따라 회색 계열, 적황색 계열, 회색-황색 계열로 세분된다. 각 그룹별 와편들은 특징적인 가비중, 흡수율, 작열감량 및 기질의 유리질화 정도를 보이나, 혼입광물의 함량과 분포 및 화학조성은 출토유구와 색상에 관계없이 비교적 균질하게 나타났다. 또한 모든 와편의 지구화학적 거동특성과 점토화 정도는 유사하며, 유적지에서 수습된 토양과도 거의 동일한 진화경향을 보였다. 와편의 소성온도는 회색 계열은 $950{\sim}1,050^{\circ}C$, 적황색 계열은 $800{\sim}900^{\circ}C$, 회색-황색 계열은 $900{\sim}950^{\circ}C$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이를 통해 와편은 유적지 일대에 분포하는 점토질 토양을 채취하여 비짐광물을 거의 첨가하지 않은 채 다양한 소성환경에서 제작되었으며, 태토의 가공과 정선 과정은 비교적 표준화된 공정이 적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 PDF

토노(Tono) 화강암의 변형 및 파괴거동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the Deformation and Failure Behavior of Tono Granite)

  • 최정해;채병곤
    • 지질공학
    • /
    • 제22권2호
    • /
    • pp.173-18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응력완화실험을 통한 포화상태에서의 토노(Tono) 화강암의 표면변형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서 실험이 진행되는 동안 실시간으로 다초첨 레이져 스캔 현미경(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으로 관찰이 가능하고 변위 및 응력에 대한 데이터 취득이 가능한 장치를 고안하였다. 광물내의 변형 및 광물경계부에서의 변형은 유한요소해석 방법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응력완화실험 중에는 광물 내부와 광물 경계부 모두에서 활발한 변형을 보이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가해지는 응력이 높아질수록 더욱 커진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의 결과는 광물내의 변화보다는 압축력에 의해서 발생되는 광물경계부에서의 변화가 더욱 크다는 것을 설명한다. 이를 도식화시켜 표현해보면 화강암 내부에서 광물 경계부의 변형이 광물 내부의 변형보다 크게 나타난다는 것을 쉽게 관찰 할 수 있다. 이는 흑운모와 석영의 물리화학적 특성에 기인된다고 사료된다. 즉 석영은 안정된 구체를 보이는 반면에 흑운모는 층상형태로 약한 결합구조를 보이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cdot$$\cdot$주별 열에너지 소비절약 실태에 관한 조사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 강혜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24
    • /
    • 1981
  • The objectives of the study were to determine 1) if energy consumption and conservation vary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with independent variables-size of household, homemaker's age, employment, and level of education, level of living, type of house, electricity use, and all energy use, and 2) if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clothing, food, and housing. Questionnaires wee given to the randomly selected homemakers in Seoul in July, 1980. Data from 620 responses were analyzed by F-test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Clothing (1) the scores of the conservation practices I clothing were generally high. /However, it was found that a) they did not practice in wearing heavy under clothes and behavior outer clothing to cope with cool room temperature in the winter, b) they did not use bleach for laundry, but they used boiling method, and c) they did not have enough knowledge on Permanent Press finish. (2)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cloth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level of living and homemakrer's level of education. a) The higher the level of living, the higher scores in the knowledge were found. b) the higher the homeakcer's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scores in the knowledge and ironing were obtained. 2. Food (1) The scores of the conservation practices in food were generally high. However, it was found that scientific cooking methods were not performed such as a) to use measuring spoons, cups, and timers, b) to practice a simple method in using solor energy for warming water, c) to use thermos for the hot water tea or coffee, but they boiled water whenever necessary, and b) to use the pressure cooker whenever possible. (2)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food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omemaker's employment and type of dwellings. a) The scores of full-time homemakers (not gainfully employed) were higher than gainfully employed homemakers. b) Families in traditional Korean dwellings revealed higher scores than those in apartment or western style dwellings. 3. Housing (1) The scores of the conservation practices in housing were generally high. However, it was found that a) they did not install fans in the kitchen, bathroom, and attic in the summer, b) they did not install a humidifier for tolerating a lower room temperature in the winer, c) they did not practice to make plans for the door of the refrigerator remained open for the shortest time, d) they did not install or use a local lighting with a general lighting for reading and cooking, and e) they usedaluminum foil without the knowledge of the heat reaction of its shiny and dull sides. (2)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n housing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homemaker's employment and level of education, economic status, types of dwelling, and all energy use, a) Full-time homeakers had higher scores than gainfully employed homeakers. b) the higher the homemaker's level of education and economics status, the higher scores were obtained. c) Homeakers with their own house scored higher points than those with rented houses. And families in apartment or row houses scored higher points than those in traditional korean or western style dwellings. d) The higher the consumption rate of electricity and all energy, the higher scores were revealed. 4. correl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energy conservation practices I clothing, food, and housing.

  • PDF

제왕절개 수술후 통증조절을 위해 PCA를 이용한 정맥과 경막외 Meperidine 투여효과의 비교 (A Comparative Effect of Meperidine between Intravenous and Epidural Patient-Controlled Analgesia for the Postoperative Pain Relief after Cesarean Section)

  • 이병호;채준석;정미영;변형진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8권2호
    • /
    • pp.257-265
    • /
    • 1995
  •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has been widely used for postoperative pain relief. Meperidine is useful for PCA and has efficient analgesia, rapid onset, and low incidence of adverse effect. To compare the analgesic effect, total dose and hourly dose, side effect and neonatal status of breast feeding with meperidine via intravenous or epidural PCA for 48 hours after Cesarean Section, 40 parturient women undergoing elective Cesarean Section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respective group of 20 parturient women received meperidine via one of the intravenous PCA after general anesthesia with enflurane (IVPCA group) and the epidural PCA after general anesthesia with enflurane (IVPCA group) and the epidural PCA after epidural block with 2% lidocaine 20ml combined with general anesthesia with only $N_2O$ and $O_2$ (EpiPCA group) when they first complained of pain in recovery room. Following the administration of analgesic initial dose, parturient women of IVPCA group were allowed intravenous meperidine 10 mg every 8 minutes when they felt pain. The EpiPCA group received additional bolus dose of meperidine 2 mg and bupivacaine 0.7 mg were administered every 8 minutes as requested the patients with hourly continuous infusion of meperidine 4 mg and bupivacaine 1.4 mg. Data was collected during the 48 hours observation period including visual analog scale (VAS) pain scores, total meperidine dose, hourly dose during 48 hours and each time interval, incidence of adverse effect, satisfaction, and neonatal status with breast feeding. VAS pain scores of analgesic effect in EpiPCA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IVPCA group at 2 hours after the initial pain after Cesarean Section. Total dose and hourly dose of meperidine significantly reduced in EpiPCA group. Hourly dose of meperidine at each time interval significantly reduced during first 6 hours and from 12 hours to 24 hours in EpiPCA group. The side effects in IVPCA group were mainly sedation, nausea, and local irritation of skin. And EpiPCA group experienced numbness and itching. The degree of satisfaction of parturient women was 88.2 % in IVPCA group and 85.7 % in EpiPCA group. We did not observe any sedation, abnormal behavior, or seizure like activity in any neonates of breast feeding. From the above results we conclude that epidural PCA was more efficiently analgesic, less sedative, and consumptional, and safer for neonate than intravenous PCA, and could be an alternative method to intravenous PCA.

  • PDF

링크 공간평균속도 신뢰성 확보를 위한 프로브 차량 데이터 적정 수집주기 산정 연구 (Probe Vehicle Data Collecting Intervals for Completeness of Link-based Space Mean Speed Estimation)

  • 오창환;원민수;송태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70-81
    • /
    • 2020
  • GPS가 탑재된 차내 단말기, 스마트폰에서 방대하게 수집되는 초 단위 위치(위·경도) 데이터는 교통 분야에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공공의 교통관련 의사결정자들과 교통서비스를 개발·제공하는 민간회사들에게 운전자들의 행태와 교통흐름을 미시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속도 데이터는 통행시간 예측에 주요한 정보로 활용되며, 해상도 높은 데이터 기반의 고차원 서비스 개발에 이용되고 있어 신뢰성있는 정보의 확보가 요구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링크별 속도 산출 시 각기 다른 저장, 수집주기 등을 기준으로 사용하고 있어 정보 활용에 있어 신뢰성을 담보하기 어렵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차내 단말기를 장착한 프로브차량 데이터를 수집해 링크 공간평균속도를 산출하고 동일 구간 및 시간대의 영상기반 공간평균속도와 비교분석을 통해 오차율을 도출하는 것이다. 수집주기와 실제 속도 상황에 따른 오차율을 분석한 결과 8초 이내 수집주기에서 95% 신뢰수준을 보였으며 이를 공간평균속도 산출 시 신뢰성확보를 위한 적정 수집 주기로 제안했다. 해당 결과는 향후 커넥티드 환경에서 수집될 핵심 정보들의 신뢰성 확보와 서비스 개발 시 기초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기대해본다.

A Retrospective Clinical View of Basal Cell Carcinoma and Squamous Cell Carcinoma in the Head and Neck Region: A Single Institution's Experience of 247 Cases over 19 Years

  • Kang, Kyung Won;Lee, Dong Lark;Shin, Hea Kyeong;Jung, Gyu Yong;Lee, Joon Ho;Jeon, Myeong Su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56-62
    • /
    • 2016
  • Background: The two most common skin cancers are basal cell carcinoma (BCC) and squamous cell carcinoma (SCC).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the detailed clinical behavior of BCC and SCC in the head and neck region over 19 years at a single institution.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performed for all patients with non-melanoma skin cancer who had undergone surgical resection over an 18-year period. Patient charts were reviewed for demographic information, tumor size, onset-to-diagnosis, anatomic location, clinical subtype, histologic differentiation, method of surgical treatment, and recurrence. Results: The review identified 265 cases of either BCC or SCC in 226 patients. Of the 226 patients, 80 (35.4%) were men and 146 (64.6%) were women. BCC (n=138, 55.9%) was more frequent than SCC (109, 44.1%). The most frequent age group was 70-to-79 year olds (45 patients, 35.2%) for BCC and 80-to-89 year olds (41 patients, 41.8%) for SCC. By aesthetic units of the face, the most common location was the nasal unit (44 cases, 31.9%) for BCC and the buccal unit (23 cases, 21.1%) for SCC. The most common clinical subtype of BCC was the nodular type (80 cases, 58.0%). Local flaps were most commonly used to cover surgical defects (136 cases, 55.1%). Recurrent rates were 2.2% for BCC and 5.5% for SCC. Conclusion: In our study, many characteristics of BCC and SCC were compared to previously published reports were generally similar, except the ratio of BCC to SCC. Further study can help to establish the characteristics of BCC and SCC.

서베이를 이용한 입찰게임에서 출발점 편의의 추정 (Estimating Method of Starting Point Bias in Bidding Game)

  • 박용치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4권2호
    • /
    • pp.63-86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과 그 인근 지역에서 수돗물의 질을 끌이지 않고도 마실 수 있는 수준으로 개선한다는 가정 아래 이에 대 한 지불의사액을 결정하고자 할 때 가상상황 가치평가 기법의 입찰게임에서 출발점 편의의 존재 여부를 검정하는 것이다. 모든 가상상황 가치평가 기법 가운데 입찰게임이 가장 정상가격을 얻는 데 가깝기 때문에 지불의사액(WTP)을 절정하기 위하며 3가지(저$.$$.$고)의 서로 다른 입찰값의 출발점 그룹을 사용하였다. 응답자들은 출발점에 무작위적으로 배정되었고 사전 검사된 면접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출발점 편의의 증거를 밝히기 위하여 비모수적 검정과 로짓(Logit)모델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높은 출발점 집단에서는 높은 지불의사액을, 낮은 집단에서는 낮은 지불의사액을 나타내었으며 이것은 출발점 편의의 존재를 확인하는 것이다. 출발점 편의의 문제는 지불카드나 입찰게임 없이 응답자에게 최대 지불의사액을 직접 질문함으로써 회피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질문은 대답하기에 아주 어렵고, 무응답을 증가시키며 비현실적인 것이 될 수 있다.

  • PDF

Phase transition of (Bi, Pb)-2223 superconductor induced by Fe3O4 addition

  • Ko, Y.J.;Oh, J.Y.;Song, C.Y.;Yang, D.S.;Tran, D.H.;Kang, B.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1-5
    • /
    • 2019
  •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Fe3O4 addition on the critical temperature of (Bi, Pb)-2223 polycrystalline samples. Bi1.6Pb0.4Sr2Ca2Cu3O10+δ + x wt. % Fe3O4 (x = 0.0, 0.2, 0.4, 0.6, and 0.8) samples were prepared by using a solid-state reaction method. The analysis of X-ray diffraction data indicates that as Fe3O4 is added, dominant phase of the sample changes from Bi-2223 to Bi-2212 with an increasing Bi-2201 phase. The transition temperature of the samples drastically decreased with the Fe3O4 addition. The resistance data of samples with x = 0.2 and 0.4 showed a double transition indicating a coexistence of Bi-2223 and Bi-2212 phase while the samples with x = 0.6 and 0.8 showed a single transition with a semiconducting behavior. This phase transition may originate from changes in local structure of the Bi-2223 system by Fe3O4 addition. Analysis of the pair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Cu-O pair in the CuO2 plane calculated from extended X-ray absorption fine structure data revealed that the oxygen coordination of copper ion changes from CuO4 planar type (x = 0.0 - 0.4) to CuO5 pyramidal type (x = 0.6, 0.8). The correlated Debye-Waller factor,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atomic disorder within the CuO2 plane, shows an inverse relation to the coordination number.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ddition of Fe3O4 changes the oxygen distribution around Cu in the CuO2 plane, causing a phase transition from Bi-2223 to more stable Bi-2212/Bi-2201 phases.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Social work field training awareness on the impact of the research career)

  • 전성남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119-128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현장실습이 전문직업인으로서 성장하는데 있어 진로의식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은 G지역 4년제 대학교 사회복지전공학생 198명을 목적표집에 의하여 조사하였으며, 자기기입식 설문을 통하여 진행하였다. 분석방법은 대상 및 변수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 빈도 및 기술분석, T-test, F-test, ANOVA, 상관관계(correlation), 회귀분석(regression)을 위해 SPSS 14.0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요인으로 실습생이 개인의 의사가 반영(${\beta}=.197$)되는 것과 사회복지학 전공을 선택한 것에 대해 만족감(${\beta}=.205$)이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진로정체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개인요인으로 자신이 사회복지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것에 만족감(${\beta}=-.291$)을 느끼는 경우와 부모가 사회복지학을 전공으로 선택한 것에 만족감을 느끼는 경우 사회복지전공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셋째, 개인요인으로 개인의사 반영(${\beta}=.156$)이 진로준비행동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