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Ecosystem Services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서천 일대의 생태자산 재구성을 통한 생태계서비스 제공 (Ecosystem services provision through the ecosystem property reconstitution around the Seocheon)

  • 정필모;서종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89-205
    • /
    • 2014
  • 수많은 지자체들이 대규모 개발 사업이나 지역축제를 통해 관광객을 유치하고자 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성공가능성이 낮으므로, 투입비용에 비해 효율이 높은 친환경 생태 관광산업에 더 신경을 써야한다. 서천 지역은 우수한 생태 및 문화자원을 보유하고 있었음에도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지만, 국립생태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이 새롭게 개원하면서 새로운 생태 관광의 중심지로 부상할 가능성이 높아졌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서천 일대에 분포하는 여러 생태 문화적 자산을 분석한 후 생태계서비스의 주요 기능인 생태관광을 도입하여 생태관광의 3요소인 자연환경, 탐방객, 지역민들이 모두 만족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해안과 하안이 만나는 곳에 위치한 서천 지역에서는 기존의 유명 관광지와 연계하여 4개의 권역으로 생태자산을 재구성할 수 있었다. 탐방객들을 머무르게 할 방안으로 체험 활동을 통해 지역에서 숙박을 하도록 유도하였으며, 슬로우 라이프의 실현을 위해 각 경관들을 천천히 즐기도록 설계하였다. 생태연구의 메카가 될 국립생태원과 국립해양생물자원관을 중심으로 인근의 금강 하구 철새도래지와 람사르습지로 지정된 서천 갯벌 주변으로 탐방객들을 인도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서천을 방문하는 탐방객들이 만족하고, 지역민들의 삶도 윤택해질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PDF

GIS기반 InVEST모형을 이용한 네팔 Bagmati유역의 물생산량 산정 (Water yield estimation of the Bagmati basin of Nepal using GIS based InVEST model)

  • 쉬크샤 바스톨라;성연정;이상협;정영훈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2권9호
    • /
    • pp.637-645
    • /
    • 2019
  • 본 연구는 유역에서 제공하는 다양한 생태서비스 가운데 네팔의 Bagmati 유역의 물생산량(Water yield)을 산정하였다. 물 공급, 관개 수력 등 다양한 시설에 사용되는 물생산량 지도는 계획 및 관리에 도움이 되며 생태서비스의 공급과 생산에 의도하지 않은 부정적 영향을 줄일 수 있다. 여러 문헌들은 네팔 Bagmati유역에 대한 탄소저장과 식수공급과 같은 생태서비스 제공 연구에 중점을 두었으나 토양피복별 혹은 소유역별 물 생산량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흡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네팔 바그 마티 유역에서 소유역 규모와 함께 유역의 총 물생산량을 계산하고 유역의 토지피복 유형별로 물생산량을 산정하기 위해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생태서비스 평가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Budyko 수문학적 방법에 바탕을 둔 ArcGIS기반 InVEST Water Yield 모형이 사용되었다. 본 연구로부터의 결과는 단위면적(ha)e당 물 생산량이 소유역 5 ($15216.32m^3/ha$)에서 가장 높았으며 소유역 6 ($10847.15m^3/ha$)에서 가장 낮았다. 토지피복별 물생산량은 도시화지역에서 가장 높게 산정되었으며, 초원과 농경지가 도시화지역 다음으로 높게 산정되었다. 본 연구에서 산정된 소유역별, 토지피복별 물생산량은 지역 규모의 상호 관련 서비스 개발을 위한 효율적인 시나리오를 제공하고 지속 가능한 토지 이용 정책 및 상호 관련된 물 관리 서비스를 촉진시킬 것으로 기대한다.

디지털생태계의 진화와 사업역량 변화에 관한 연구 (Study of the Change of Business Competence as the Evolution of Digital Ecosystem)

  • 이계수;윤현덕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8권9호
    • /
    • pp.1105-1117
    • /
    • 2015
  • During the last decade, the business infrastructure has become digital with increased interconnections among products, processes, and services. Across many firms spanning different industries and sectors, digital technologies are fundanmentally transforming business stratiges, business processes, firm capabilities, productes and services, and key interfirm relationships in extended business networks. With the emergence of smartphones, the paradigm of the ICT industry is rapidly changing as the line between global and local markets are being blurred. In the changing global environment, although some game companies are accelerating the improvement of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and cases of successes of venture enterprises by developing biosimilar technology are being discovered, majority of ICT companies are focusing on limited marketing activities to get subcontracts or projects from large companies. Thu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digital ecosystems evolve and how business models and strategies have changed of individual companies according to the evolution of the digital ecosystems.

Implications of Mangrove Wetland in Socio-environmental Sector: Experiences from Southeast Coast of Chittagong, Bangladesh

  • Ullah, Md. Hadayet;Mondal, Md. Atiqul Islam;Uddin, Md. Riaz;Ferdous, Md. Azim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6권2호
    • /
    • pp.103-111
    • /
    • 2010
  • Wetlands perform various functions of vital socio-ecological significance playing fundamental role in moderating monsoon tidal floods and coastal protection and generate goods and products such as fish and forest resources. The depletion of mangroves is a cause of serious environmental and economic concern to many developing countries. Problems of sustainability of mangrove ecosystems are not only technical but also socio-economic. Functions played by mangrove wetlands are of fundamental importance for society. The present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llenges of the mangrove wetlands of Southeast coast of Chittagong, their uses and socio-economic influence on local people, and the value of ecosystem services, and to suggest how to conserve this ecosystem in a more equitable way.

공공도서관의 희망도서바로대출제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경기도 공공도서관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ocal Bookstore Direct Loan Service for Users' Requests in Public Libraries: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in Gyeonggi-do)

  • 이윤정;정연경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83-107
    • /
    • 2022
  • 경기도에서 시작된 바로대출제 서비스는 지역서점의 매출 상승을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이용자의 만족도를 높이는 창의적인 신규 서비스로 호응을 받았다. 그러나 이용자의 희망도서 중복신청으로 인해 공공도서관 장서의 질이 떨어진다는 의견이 제시되면서 긍정적인 측면과 부정적 측면이 공존하는 서비스이다. 본 연구는 공공도서관, 지역서점, 바로대출제 이용자 대상 설문조사를 통해 바로대출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공공도서관과 지역서점의 창의적 협력 방안인 바로대출제는 도서관 자료구입비 예산 확대 및 도서관, 지역서점, 이용자 간의 지속적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는 운영위원회 구성과 설명회 개최, 도서구입비 대비 바로대출제 희망도서 구입비 연구를 통한 기획 수집, 바로대출제 관련 규정 제정, 독서문화서비스 확대, 건전한 이용자층 확대 및 다양한 지역서점 육성을 통해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필요하다.

Coral Reefs in Indonesia: A Review on Anthropogenic and Natural Disturbances

  • Meinita, Maria Dyah Nur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10
    • /
    • 2007
  • Coral reefs are among the most dynamic and various ecosystems on tropical ecosystem. They provide a large number of important ecosystem services. Despite their importance, they appear to be one of the most susceptible marine ecosystems. Dramatic decreasing of coral reefs has been reported from every part of the world. Indonesia contains 18% of coral reefs of world's total. Unfortunately the status of coral reefs in Indonesia is already in critical and poor condition. Coral reefs communities in Indonesia are subjected to a variety of environmental disturbance. Threats to Indonesia's coral reefs resources can be divided into two main types: anthropogenic and natural disturbances. The major anthropogenic disturbances on coral reefs in Indonesia are destructive fishing, pollution, coastal development, mining and harvesting live fish and coral, tourism. The natural disturbances such as cyclones, volcanic eruptions, earthquakes, tsunami and predator also contribute to coral reefs destruction in Indonesia. In my paper I tried to compare between natural and anthropogenic disturbances on coral reefs in Indonesia and raised these questions: (i) how the natural disturbances differ from anthropogenic area (ii) which type of disturbances has caused the greatest impact on coral reef ecosystem. My finding is that both of anthropogenic and natural disturbances give major impact on coral reefs in Indonesia. The important issue here is coral reef resilience could be disturbed by synergistic effects between various anthropogenic and natural disturbances. This phenomenon has significant conservation and management implication. The appropriate management should be conducted to protect coral reefs ecosystem in Indonesia. Mangrove management will succeed only when local people are involved and get sustainable benefits from mangrove ecosystem. Community based management and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ICZM) are type of management that can be applied on coral reef ecosystems in Indonesia.

  • PDF

디지털 미디어 시대 지역방송 서비스 개선 방안: KBS를 중심으로 (Improvement of Local Broadcasting Service in the Age of Digital Media: Focusing on KBS)

  • 도기태;정회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4호
    • /
    • pp.381-388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지역시청자들의 지역성 인식과 그들이 원하는 지역방송 서비스에 대한 고찰을 기반으로, 앞으로 지향해야 할 지역방송의 서비스 정책 방향과 구체적인 서비스 전략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방법은 KBS가 실시한 3차례(2013, 2015, 2018년)의 지역시청자 설문조사와 심층인터뷰 자료들을 활용한 2차 분석(Secondary Analysis)이다. 지역시청자들에게 지역성 개념은 실제 자신이 거주하는 시/군/구를 중심으로 좁아지고 있으며, 중요하게 인식하는 정보 역시 실제 생활권역에서 발생하는 지역정보들이다. 지역방송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지역방송 서비스를 개선하기 위해, 첫째, 지역 메가 플랫폼으로 기능과 역할을 확장해야 한다. 둘째, 지역현안에 대한 심층취재나 토론 등 지역프로그램을 강화해야 한다. 셋째, 지역시청자와의 소통을 위해, 지역방송 구성원들의 시청자 분석능력, 소통교육이 필요하다. 넷째, 지역민들이 지역방송의 생산자로 참여하는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Ethnobotanical importance of the endemic taxa in the Egyptian flora

  • Mohamed Mahmoud El-Khalafy;Dalia Abd El-Azeem Ahmed;Kamal Hussein Shaltout;Soliman Abdelfattah Haroun;Yassin Mohamed Al-Sodany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7권3호
    • /
    • pp.146-156
    • /
    • 2023
  • Background: Endemic species are important components in the flora of most world regions. Most of these species have become threatened and exposed to extinction within the last few years. The present study aims to evaluate the ecosystem services offered by the endemic plant taxa in Egypt and the threats that affect them. Twenty-five field visits were conducted during summer 2018 to spring 2022 to several locations all over Egypt. In each location, the main habitats, national distribution, abundance, goods and threats were recorded. Results: Egypt has 41 endemic taxa belonging to 36 genera and 20 families inhabiting 10 main habitats. Rocky surfaces and sandy formations have the highest number of endemic species. The 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endemic taxa and the abundance categories indicated that 2 taxa are rare (4.9% of the total taxa), while the remaining were very rare (95%). The most represented offered good was the medicinal uses (32 taxa = 78%), while fuel plants were only represented by 2 taxa (2 taxa = 4.9%). Besides, 14 taxa (34.1% of the total studied taxa) have at least 1 environmental service. Soil fertility (7 taxa = 50%) was the most represented, followed by sand accumulations (6 taxa out of 14 taxa = 43%), while shading plant was the least (1 taxon = 7.1%) (Rosa arabica). The most represented threat is over-cutting and over-collecting (38 taxa = 92.7%), while mining and quarrying is the least represented (4 taxa = 9.8%). Conclusions: The potential and actual goods, services and threats of the endemic taxa were assessed as follows; field observation, information collected from local inhabitants and herbalists, and a literature review. The present study recommended planning a strategy about the importance, threats and conservation of endemic taxa in Egypt that would help in the protection and rescue of these plants and increase awareness about the importance of these plants.

생태계 보호지역 평가에서 생태공학 도입과 활용 (Application of An Ecological Engineering Approach in Evaluating Protected Area at Local Scales)

  • 구경아
    • 환경영향평가
    • /
    • 제29권2호
    • /
    • pp.144-155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생태계의 보전 및 생물다양성 보전과 증진을 통한 생태계의 지속가능한 이용을 위하여 우리나라 생태계 보호지역 확대를 위한 평가기법과 이의 정책적 활용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하여 첫째, 생태계 보호지역 평가기법 활용 현황을 분석하였고, 둘째, 생태공학 기법을 기반으로 지역 규모의 생태계 보호지역 평가를 위한 개념 모형을 제시하였으며, 셋째, 이러한 분석 결과의 활용 방안을 제언하였다. 국외에서 보호지역 지정 시 다양한 분석 모형을 활용하고 있는 것과 달리, 우리나라의 경우 장기 생태계 모니터링 및 생태연구 자료가 부족하여 보호지역 지정 분석기법의 개발 및 적용이 미흡한 상태이다. 특히 미소 규모나 지역 규모보다는 국가 규모의 분석에 기반한 보호지역 지정이 주를 이루고 있어 지역 규모의 다양한 생태계가 반영되지 못하고 있다. 보호지역의 합리적인 지정과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인자들과 인자들 간의 상호작용을 고려한 지역 규모의 종합분석이 필요하며,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생태공학 기법을 토대로 한 보호지역 분석의 개념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생태계 보호지역 분석은 다양한 생물 인자 및 비생물 인자,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 및 미래 환경변화를 고려한 각 지역 생태계의 특성을 반영하기 때문에 현재 우수한 생태계뿐만 아니라 앞으로 중요하게 보호해야 할 생태계를 보호지역으로 편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제시한 분석 기법의 충분한 활용을 위해서는 각 지표항목과 지표항목에 속하는 인자들에 대한 개별 생태연구 자료 및 공간자료가 필요하다. 이러한 분석의 한계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장기간의 생태자료와 종별 서식지 환경조건에 대한 연구 자료가 필요하며 서식지 모형, 생태모형, hybrid 모형 등 경관생태모형을 활용한 분석이 필요하다.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의 잠재적 생태계 서비스 가치평가 - 서울시 공원 및 녹지를 중심으로 - (Evaluation of the Economic Value of Potential Ecosystem Services of Unexecuted Urban Planning Facilities - Focused on Urban Green Spaces and Urban Forests in Seoul -)

  • 박진한;김송이;허한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24-32
    • /
    • 2019
  •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도시계획현황에 따르면 현재 전국의 도시계획시설 미집행면적은 약 $1,257km^2$에 이르며, 그중 공원과 녹지의 미집행면적은 약 47%를 차지한다. 특히, 서울의 경우 전체 도시계획시설의 미집행면적은 약 $66km^2$이며, 이는 전국 미집행면적의 5.24%에 해당하며, 전체 미집행면적의 약 88%가 공원과 녹지의 미집행면적으로 이는 전국의 비율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이 중 약 92%가 10년 이상 된 장기 미집행 도시계획시설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중 공원과 녹지를 대상으로 메타회귀분석방법을 적용하여 도시 녹지가 제공하는 조절서비스, 지원서비스, 문화서비스에 대한 생태계 서비스의 경제적 가치를 추정하였다. 연구 결과, 서울시의 미집행 공원 및 녹지가 제공하는 조절서비스의 가치는 약 163억 9,201만 원, 지원서비스의 가치는 약 58억 7,323만 원, 문화서비스의 가치는 약 77억 8,441만원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는 약 339억 2,541만 원으로 나타났다. 조절서비스와 문화서비스의 가치가 제일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도심지에 위치한 대상지의 특성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본 연구는 서울시의 미집행 공원 및 녹지에 대한 생태계 서비스의 가치를 평가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본 연구의 결과는 도시계획 혹은 정책결정의 과정에서 유용하게 쓰일 수 있을 뿐 아니라, 최근 전 세계적으로 대두되고 있는 생태계 서비스 지불제의 개념을 적용한다면 미집행 도시계획시설 보상의 근거자료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