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ocal Authority

검색결과 265건 처리시간 0.029초

청말신정(淸末新政) 시기 오대신출양(五大臣出洋)과 군주입헌론의 전개 - 단방(端方)을 중심으로 (Investigating Constitutionalism by the Five Important Officials at the End of the Late-Qing Dynasty - Focusing on Duan Fang)

  • 조세현
    • 동북아문화연구
    • /
    • 제19권
    • /
    • pp.23-48
    • /
    • 2009
  • Duan Fang's doctrine of constitutional monarchy went forward from monarchy to constitutional government based on that an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political structure is superior to a arbitrary rule political structure. And Duan Fang's doctrine featured limitation of monarch's authority protection of subjects' rights. He thought constitution government should be based on the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preparation. He believed that China need to take merit equally in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constitution preparation. In spite of this flexible recognition, there was not enough consideration about an ideological, social and economical basis that can make possible constitutional government operation. He had understood constitutional government system from angle of monarch's safety and the wealth and power of nation. The view was that a responsible Cabinet was for monarch's safety and the nation assembly judicature local autonomous is a system for safety of nation showed us. In his opinion, neither main task of congress is legislation, cabinet nor is the high ranking executive agency, however, he expected to constitutionalism system to become a buffing role instead of monarch. A little pure and simple thinking that open nation assembly and execute constitutional monarchy could make China powerful and wealthy might reflected urgent situation at that time.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현황 분석 (A Study on the Present Stage of Children's Services of Public Libraries in Korea)

  • 김종성;오동근;여지숙;박상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5-202
    • /
    • 2008
  • 이 연구는 우리나라 공공도서관 어린이 서비스의 현재 수준을 조망해 보기 위하여 전국의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현황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전국 공공도서관 중 171개관을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도서관의 소재 지역과 예산 규모에 따라 영역을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어린이 서비스를 시설 및 공간, 자료, 인력, 이용자봉사, 운영 일반 및 강좌 5개 영역으로 나누어 다양한 측면들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어린이 서비스의 수준과 내용에서 도서관 소재 지역과 규모에 따라 다양한 편차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가장 주목할 만한 것은 전체적으로 공공도서관 서비스에서 어린이 서비스가 차지하는 비중에 비해 투여되는 자원의 규모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놓여 있다는 사실이다.

이민자들에 대한 사회통합사례: 호주를 중심으로 (A Study on Social Integration for Migrants: Focused on Australia)

  • 이향수;이성훈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6권5호
    • /
    • pp.13-20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호주의 이주민에 대한 사회통합 정책을 분석하고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를 위해 우선 호주의 이민자들에 대한 사회통합에 대한 문헌연구 및 법무부 보고서 등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호주 정부의 사회통합정책에 대한 우리나라에 대한 정책적 함의를 밝혀 냈다. 우선, 호주정부의 사회통합프로그램은 다른 이주민에 비해 더욱 도움을 필요로 하는 인도주의적 이민자들에 대한 사회통합프로그램에의 참여를 강조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인도주의적 차원의 이주민 통합 프로그램이 매우 미흡한 편이다. 따라서 호주 정부처럼 인도주의적 이주민에 대한 관심 및 배려를 통해 이주민에 대한 적극적인 사회통합에의 관심을 제고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호주정부의 사회통합정책이나 프로그램은 주로 호주이민국경보호부와 사회복지부에서 수립하지만 프로그램의 수행은 주로 지방정부에서 시행하며 이들의 역할을 강조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에도 지방정부의 사회통합정책에의 권한은 좀 더 부여하고 이들로 하여금 지역마다의 특색에 맞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정부 간 항만배후단지 개발·관리 기능배분에 관한 연구: 부산항 신항 중심 (A Study on the Functional Distribution of Port Hinterland Construction and Management among Governments: Focused on the Busan New Port)

  • 강윤호;김보영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27-236
    • /
    • 2018
  • 부산항 신항의 배후단지는 복잡한 관련법 및 관련기관의 다원화로 항만설립 취지에 맞지 않는 사업이 시행되는 등 항만사업이 원활이 운영되지 못하고 있다. 예를 들어, 관련기관 간 협의 없이 공급된 대규모 아파트 단지는 항만배후부지의 물류기능 수행에 지장을 주고 있으며, 각종 교통편의시설의 설치 및 관리 기능은 여러 기관에 분산되거나 중복되어 있어 업무 수행 상의 혼란과 책임 떠넘기기 현상이 초래되고 있다. 부산항 신항과 배후단지가 항만으로서의 고유기능을 제대로 수행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이 반드시 필요한 실정이다. 이와 같은 문제의식 하에서 본 연구는 정부 간 기능배분의 원칙(이론)에 기초하여 부산항 신항 배후단지 개발 및 관리관련 기능의 정부 간 배분 상의 문제를 분석하고, 기능배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 특히 주거시설의 공급, 교통편의시설 설치 및 관리 등과 관련된 기능배분이 행정책임 명료화, 효율성, 보충성, 포괄성 등의 기능배분 원칙에 맞지 않아 많은 문제가 야기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관련 기관 간 행정협의회의 제도화, 광역행정 방식의 활용(사무위탁, 지방자치단체 간 조합 등), 특별지방자치단체의 설립(지방자치단체 간 조합, BPA 등) 등과 같은 기능배분과 관련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친환경농업정책 분야의 거버넌스 체계 구축방안 (Schemes for Constructing the System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 김호;허승욱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59-177
    • /
    • 2006
  • Governance systems are basically an autonomous cooperation type among the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market, also a new paradigm for efficient and democratic administration of policies. The governance mainly consists of the central operating body, institutions, operating principles and so on. The constituents are the nation(government), civil society(NGO) and market(firm). Institutional conditions are a legitimate base, financial stability and independency. And as a operating principle, governance systems have common goals and issues from a national and social point of view. This governance has been recently emerged due to financial risk of government, diffusion of new liberalism going with the globalization, localization-decentralization, and development of civil society an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We have to grope fur the framework of participatory agri- policy confronting globalization and localization as well as developing our agriculture and rural village. This agri-policy governance should be theoretically focused on policy network or self-organizing network or multi-lateral governance (MLG) based on NPM. Also, it is proper to have connection of nation-central type and civil society-central type. And it is necessary to have a MLG type with local governance corresponding to localization and decentralization. Governance should have the type whose participants have authority and responsibility as well. Basic directions of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are as follows : first, its purposes are constructing the democratic and efficient framework of participatory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based on consensus of all the related groups, embodying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adjusted to local field, raising farmer's real interest, and improving their position. Second, its form should have a council or an agreement system, not an advisory or a consultation organ. Thus, public sector(eg. government) and voluntary sector(eg. farmers' organization) jointly execute agricultural policy and are responsible together.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is mainly made up of farmers' organization, cooperative and civil society(NGO). And secondary bodies are agribusinesses and academic groups. Government interacts with the main bodies on administrative execution.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has MLG type with a central unit, province and county units.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policy governance has several main functions such as agri-policy partnership, speaking for farmer's rights and interests, investigation and research on domestic and foreign agricultural streams, and etc. Especially, local unit will play roles in activation for regional agriculture, consulting on technique and management, education and training services, services entrusted by government, and so on.

  • PDF

정위치 기반 고속 실외 측위 DB 구축을 위한 MMS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 utilizing Mobile Mapping System for establishing the High Speed Outdoor Positioning DB based on Field Check Data)

  • 이하동;이윤;최윤수;정인훈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31-37
    • /
    • 2017
  • 최근 정부기관 및 지자체에서는 화재, 납치 등 긴급구조에 스마트폰의 위치정보를 활용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긴급상황에서 활용 가능한 정밀측위정보를 구축하기 위해 스마트폰 위치정보와 mobile mapping system을 활용하여 정위치 기반의 Wi-Fi AP 데이터를 신속하게 수집 구축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수집된 성과를 통해 GPS/INS/DMI에 대한 보정작업을 실시하여 정확한 수집차량의 위치를 취득하였다. 또한 Wi-Fi AP 수집기와 GPS 시각을 기준으로 커플링하여 Wi-Fi 정보와 수집위치를 통합한 원시데이터를 구축하고, 측위성능을 저하시키는 Wi-Fi AP 신호의 잡음 제거를 통해 Wi-Fi radiomap을 구축하였다. 각 자치구별로 10개의 테스트 지점을 선정하여 측위성능평가를 실시한 결과, 전체 자치구 평균은 25.46m, 표준편차는 27.76m의 결과 값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현재 사용하고 있는 이동통신사 기지국 측위(200m~2km)와 실내에서 불가능한 GPS 측위기술을 보완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기술로서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농촌문화마을 조성 및 활성화 방안연구(1) - 김제시 대산마을(현황분석 및 기본구상)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reation and Activation Program of Cultural Rural Village - Focused on the Case in Dae -San Village, Kimje-si, Chonbuk Province -)

  • 최만봉
    • 농촌계획
    • /
    • 제6권1호
    • /
    • pp.19-28
    • /
    • 2000
  • Now in order to overcome the weakest points of the rural areas of the city of Kimje and, transform them into rural cultural villages which have local governing systems suitable to new localization age and activate this plan, we selected Daesan Village as a model village which had shown a lot of potentials in the basic research and studied it dividing it into the former part and the latter part. We studied Daesan village in the former part focusing on state analysis and basic ideas and in the latter part focusing on master plan and detail planning. We can summarize the conclusion like the followings. 1. Daesan Village located 8 kilometer away from the downtown Kimje and the city of Iksan respectably has comparatively good environment of good sunny place as an open field whose surrounding configuration of the ground consists of farming lands and low hills in front and rear. It has 38 farming households in all. 2. Human environment(인문환경); the village road whose width is about 4 meters is forming a flow system forking off into three. There is a route bus which operates three times a day even into the inside of the village. The main sources of revenue are vegetables in facilities, fruits and floriculture. Their average revenue is about 10.5 million won. 3. Here in DaeSan Village a legend dealing with Teasan literally meaning a big mountain consist of th village's tradition and you can see the tombs of a very faithful son and Anwi an army general in the age of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of 1592 to 1598 inside the village. 4. 85 out of the eitire population 141 whose age are over 20 showed very positive attitudes in a questionnaire about, making the village a cultural one and its development. 5. The basic of planned ideas is to increase the revenue of the farming household by making the village a professional farming one which has a state-of the-art production facility and agricultural technique. It is to make the village the one where people can enjoy the sense of the rural life and the farmer can enjoy their lives through consumptive and consistant leisure and resting activities. 6. We are planning to make entrance space, life space, rest and sport space, and cultural spa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and the demand of the resident. We are also planning to make tile entire city of Kimje an information transmitting base in short and long term perspectives. 7. DaeSan Village was planned as a place where tradition and the future exist together. On the basis of this concept we planned future programs for Daesan Village and in the latter part of the study master plans and detail plans will be continued.the regional agricultural condition. The development permissions were only during the period of restricted to use ($1979.12{\sim}1993.11$). We propose that the authority of development permission should be given to the local autonomy government, because the local government has the knowledge of its individual agricultural conditions.

  • PDF

농민단체 주도의 신내생적 농촌개발에 관한 연구 -아산시 지역농업 클러스터 정책 사례- (The Turning towards Neo-Endogenous Rural Development of the Farmers Network : The Case of the Regional Agricultural Cluster Scheme in Asan City)

  • 김태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902-913
    • /
    • 2014
  • 이 논문은 2005년부터 2009년까지 농식품부에서 지원하는 지역농업클러스터 사업을 수행한 농업생산자 단체인 푸른들 영농조합법인의 신내생적 발전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신내생적 발전론은 기존의 외생적/내생적 발전론처럼 발전을 지리적인 내부와 외부로 구분하는 것은 실제 농촌발전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을 제대로 설명하지 못한다고 비판하고, 발전의 초기에는 내부와 외부의 자원을 동시에 활용하는 신내생적 발전이 나타나며 실질적으로 발전에 도움이 되는 자원들을 조절할 수 있는 능력이 가장 핵심적인 요소라고 주장한다. 유럽에서 시작된 이 개념을 우리나라 지역농업 클러스터 사업에 적용해서 살펴봄으로써 지역농업클러스터 사업을 지역에서 실행하면서 나타나는 사업주체와 행정기관 간의 갈등은 단순히 내생적/외생적인 논란으로는 그 실체를 파악하기 어렵고 신내생적 발전의 개념을 적용해야 그 장기적인 변화방향을 파악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아산의 사례를 통해서 농민단체가 발전을 주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면 이들이 시행하는 것은 내생적 발전으로 진화하는 과도기 단계의 신내생적 발전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정책의 확대와 적용 - 런던플랜과 런던 그린그리드를 중심으로 - (The Consolidation and Implementation of Green Infrastructure Policy in Urban Spatial Planning - Focused on the London Plan & the All London Green Grid -)

  • 윤상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83-95
    • /
    • 2016
  • 21세기 들어 공원 및 오픈스페이스 계획은 기존의 양적인 성장, 생태적 측면 그리고 여가적 측면 등 단편적 기능에 집중해오던 것에서 다양한 혜택을 가져오는 다기능과 함께 오픈스페이스와 녹지 등의 연결성을 강조하는 그린 인프라스트럭처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런던의 경우, 그린 인프라스트럭처는 기존의 물리적 그리고 사회 기반시설과 함께 핵심 기반시설 중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론적 접근을 통해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계획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법적 도시계획 속에 반영되어 지방 차원에서 실질적인 공간계획으로 구현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영국의 법정도시계획인 런던플랜 속에서 그린 인프라스트럭처 정책의 변화 발전과 세분화된 전략적 실행 계획인 그린그리드 계획 그리고 지역계획에 반영된 정책의 동향과 특징과 시사점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앙 정부, 광역지방정부 그리고 지방정부가 명확한 역할 분담을 하고 있다. 국가계획정책체계인 NPPF, 그리고 광역런던기구의 런던플랜에 준하여 로컬플랜을 수립하고 있어 중앙정부의 정책목표가 지방정부의 개발계획에 일관성 있게 반영되는 시행 체계를 구축하고 있다. 그린 인프라스트럭처가 정책적으로 높은 비율로 지방정부의 로컬플랜에 반영되고 있어 이를 뒷받침하고 있다. 둘째, 광역계획인 런던플랜을 통하여 그린 인프라스트럭처와 관련된 정책 그리고 실천전략으로서 그린그리드 계획을 일관되게 확대 발전시키고 있다. 또한 정권과 관계없이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추진되고 있으며 시대의 흐름에 맞게 보다 발전되고 강화되면서 장기적 실행계획으로 실현되고 있다. 셋째, 광역런던기구는 선언적 정책에 머무르지 않고 런던 시장이 직접 운영하는 지원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방정부에서의 실행을 지원하고 있으며 파트너쉽으로 유도하고 지원하는 방식을 통해 정책을 실현하고 있다. 근래 서울시도 공원과 녹지정책에 있어 발전을 가져왔지만 선언적 정책에 머무르지 않고 영국 런던과 같이 정권과 관계없이 지속적이고 일관되게 추진되는 정책과 장기적으로 실천되고 있는 계획 사례의 검토는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이 크다.

제주자치경찰 시스템의 실태와 발전모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Reality and Improvement of Autonomous Police System in Jeju Special Self-Government Province)

  • 조철옥
    • 시큐리티연구
    • /
    • 제14호
    • /
    • pp.485-516
    • /
    • 2007
  • 자치경찰 제도의 도입 목적은 지역여건에 적합한 치안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창설 1년을 바로 눈앞에 둔 제주자치경찰은 형식상으로는 지방분권이나 정부개혁의 업적이라고 주장되기도 하나 실제로는 독자적인 자치경찰인지 국가경찰의 보조기관인지 구분이 어렵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따라서 제주자치경찰은 국가경찰과의 업무협약을 통해서 업무와 관할의 범위를 약정할 수밖에 없고, 약정의 결과 그 관할은 제주국제공항과 관광지 등 극히 제한적이다. 또한 제주자치경찰은 산림, 환경 등을 수사하는 특별사법경찰관리로 규정되어 일반범죄에 관한 수사권이 없다. 특별사법경찰관리의 관할범죄에 대해서는 긴급체포권이 인정되지만, 일반형사범에 대해서는 긴급체포권이 인정되지 않는다. 특별사법경찰의 관할범죄에 관한 수사권이 인정되고 "경범죄처벌법"과 "도로교통법"에 의한 통고처분은 할 수 있으나 유치장 운영조차 할 수 없고 즉결심판청구권이 없다. 국가는 자치경찰 사무가 지방사무라는 이유로 자치경찰에 대한 국가예산지원에 소극적이어서 정원으로 책정된 인력을 신규채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첫째, 제주 자치경찰 제도가 지역여건에 적합한 치안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구조적으로 독자적이고 자율적인 자치경찰 제도인가를 자치경찰 이념형을 도출하고 이를 배경으로 하여 제주자치경찰의 실태를 분석해 보고자 한다. 둘째, 2006년 7월 1일 창립된 후 약 1년 동안의 제주자치경찰의 직무수행과 관련된 다양한 실태분석을 통해 미래의 발전모델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제주자치경찰 발전 모델은 자치경찰 시스템의 이념형을 기준으로 한 구조개혁, 합리적인 수사권 배분, 자치경찰 예산분담의 합리화, 그리고 특별사법경찰 관할 범죄수사기법의 개발과 전문화의 측면에서 접근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