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ing lab

검색결과 166건 처리시간 0.019초

도시 수자원 리빙랩 적용사례 분석: 김해시 삼방워터 리빙랩을 중심으로 (Analysis of Application Cases of Living Lab for Urban Water Resources: Focusing on Sam-bang Water Living Lab)

  • 이남정;이정훈;금아로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41-150
    • /
    • 2021
  • With the recent spread of the concept of Smart Cities which is to solve urban problems with ICT technology, Living Lab, which identifies the demands of citizens who dwell in the city and verifies the acceptability of the services being introduced, has become an important topic. Living Lab is an open innovation platform introduced in consideration of the user's perspective in real life and is a new approach in that service developers use collective intelligence in the process of Co-creation with users. Living Lab is operated on topics which is close to citizens' daily lives such as energy, housing, transportation, and education. In particular, as energy and environmental-focused Living Lab emerges in accordance with the 'Korean New Deal Policy', interest and importance in the field are increasing. The paper derives the characteristics of water resource Living Lab through case analysis of several Living Lab practices. Water resource Living Lab in Daejeon and Chuncheon, which are located in Korea, and water resource Living Lab in Romania and Indonesia are covered in this paper as the reference. The paper finally analyzes the case of Sambang Water Living Lab in Gimhae, which is the city located in southern part of Korea. As a result of case analysis, the urban water resource Living Lab focuses on the raw water of urban water resource and should respond sensitively to the safety of citizens. And for the success of this urban water resource Living Lab, it is essential to ensure that citizens participating in the Living Lab clearly understand the concept of water resources, and citizens' opinions to be implemented as services.

대학의 혁신모델로서 리빙랩: 현황과 과제 (Living Labs as a Model for University Innovation)

  • 성지은;김민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21권6호
    • /
    • pp.118-127
    • /
    • 2018
  • Recently, universities have applied a living lab as a user-led innovation model. This study analyzed two cases, British Columbia University, and D University. They are trying to change current provider-centered and expert-centered education model which encounters the limitations. To deriving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living lab, we analyzed the background, goals, methods, and implications of each case. The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operated a living lab centered on university buit-in environment. Students and faculty members participated in the living lab as proconsumers. D University operated a living lab as part of industry - academia cooperation and regional cooperation. The local community was set up as a living lab and knowledge providers, students, and users, local citizens, solved the problem jointly. Although the methods of living lab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they are introducing new research and education methods and utilizing participatory governance.

중간지원조직의 리빙랩 현황과 플랫폼으로서의 발전 가능성 탐색 (Exploring Possibilities of Intermediary Living Lab as a Platform)

  • 성지은;한규영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915-938
    • /
    • 2017
  • 본 연구는 중간지원조직 주도의 리빙랩 사례를 살펴보고 리빙랩 플랫폼으로의 발전가능성을 탐색한다. 분석 사례는 국내에서 중간지원조직 주도로 리빙랩 플랫폼을 구축한 대표 사례인 '서울혁신파크리빙랩', 성남 고령친화종합체험관의 '한국시니어리빙랩', '재난대응분야 리빙랩'을 대상으로 한다. 분석결과 세 가지 사례 모두 사용자 패널을 구축하여 리빙랩 플랫폼을 형성하고 내 외부 조직에 리빙랩 운영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었다. 또한 기술플랫폼에 4Ps 기반의 거버넌스 플랫폼이 결합된 공통적인 특징을 도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각 사례가 내포하고 있는 의의와 성격, 추진체계는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현재 국내의 리빙랩 플랫폼은 확산되어 가는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향후 리빙랩 플랫폼은 개별적으로 진행되고 있는 리빙랩 경험을 공유하여 공동학습이 진행될 필요가 있다. 이를 통해 관련 유사 사업과의 연계 및 협력 방안을 모색하고, 리빙랩 관련 제도적 기반 및 인프라 정비를 공동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

리빙랩을 활용한 공공연구개발의 사업화 모델 도출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Model of Public R&D Based on Living Labs)

  • 송위진;정서화;한규영;성지은;김종선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458-486
    • /
    • 2017
  • 이 글에서는 공공연구개발사업의 기술사업화 모델로 리빙랩 방식을 제안한다. 리빙랩은 최종 사용자가 살고 있는 공간을 실험실로 설정해서 최종 사용자와 기업, 연구기관, 공공기관이 공동으로 기술을 개발하고 실험 실증하는 모델이다. 기업에 초점을 맞추는 기존 사업화 모델과 달리 리빙랩 모델은 최종 사용자를 중심으로 사업화를 논의한다. 리빙랩 일반 모델을 바탕으로 3가지 유형의 기술사업화 모델을 제시한다. 프로젝트형 리빙랩인 수요 탐색형 리빙랩 및 문제해결형 리빙랩, 그리고 리빙랩 플랫폼을 다루었는데 프로젝트형 리빙랩은 연구 개발과제를 추진할 때 모듈 방식으로 활용할 수 있다. 리빙랩 플랫폼은 수요지향적 연구를 수행하는 연구기관, 기업, 지자체에게 리빙랩 서비스를 제공하는 하부구조이다.

지역문제 해결을 위한 국내 리빙랩 사례 분석 (A Case Study on Korean Living Labs for Local Problem-Solving)

  • 성지은;한규영;정서화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16권2호
    • /
    • pp.65-98
    • /
    • 2016
  • 최근 국내에서도 사회 주체(주민, 사용자 등) 주도형 혁신모델이자 지역 현장 기반형 혁신의 장으로서 리빙랩이 도입 적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실험으로 '리빙랩'을 명시하고 추진된 북촌 리빙랩, 성대골 리빙랩, 건너유 프로젝트 3개 사례를 분석하였다. 각 사례의 지역문제, 문제해결 목표, 참여주체 및 주체별 역할, 리빙랩 추진체계, 의의를 분석하고 리빙랩의 유형 특성을 도출했으며,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하였다. 분석 결과 각 사례는 기술 활용 방식과 사용되는 기술의 특성은 차이가 있으나 과학기술 ICT와 지역문제 해결을 연계하고자 했으며 지역주민이 문제 발굴부터 기술 실험 및 확산 적용까지 리빙랩 전반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였다. 또한 공통적으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이 리빙랩 운영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각 사례는 서로 다른 리빙랩 유형을 보이고 있는데, 북촌 IoT 리빙랩은 정부/지자체가 리빙랩 활동기반 조성 또는 행위자 활동을 지원하고 프로젝트 형태로 운영된 반면, 성대골 에너지전환 리빙랩과 건너유 프로젝트는 시민사회 스스로 지역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문제를 정의하고 기술을 탐색하는 형태로 진행되었다.

연구기술 개발을 위한 Living Lab 운영사례 및 추진방안

  • 김영두;조민철;이아란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9-131
    • /
    • 2021
  • Living Lab은 기존의 전문가 위주의 R&D 방법론을 탈피하여 각종 사용자가 연구 주체로 포함시키며 사회가 직면한 도면과제의 직접적 해결은 물론 R&D 성과물의 용이한 사업화가 가능하도록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Living Lab의 정의를 파악하고 각종 운영사례와 환경 분석을 통해 R&D에서의 Living Lab의 적용 방법과 보완점을 도출하여 Living Lab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향후 R&D 과제에서 어떻게 적용할 것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스마트안전 리빙랩 환경에서의 사용자경험 평가를 위한 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a User Experience Evaluation Methodology for Smart Safety Living Lab)

  • 최재림;류도현;김광재;윤정민;김민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27-143
    • /
    • 2021
  • Purpose: Smart Safety Living Lab is a Living Lab facility, constructed and operated by KITECH in Korea, to support the user experience(UX) evaluation, planning and certification of smart safety products and servi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UX evaluation methodology that accommodat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Lab and smart safety products and services for a systematic and efficient UX evaluation in the Smart Safety Living Lab. Methods: A generic model of UX evaluation was first derived based on a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Then, the generic model is revised to accommod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mart Safety Living Lab and smart safety products and services, resulting in the UX Evaluation Methodology for Smart Safety Living Lab (SSLL-UXEM). Results: The developed SSLL-UXEM consists of a structured process for UX evaluation, a guideline for conducting each step of the process, and a set of forms for recording the major evaluation results in each step. Conclusion: SSLL-UXEM can help to enhance the efficiency of the UX evaluation process and the consistency of the UX evaluation results. SSLL-UXEM is also expected to serve as a basis for UX evaluation in various living lab environments in the future.

디지털 사회 혁신에서 리빙랩 프로젝트의 성과지표에 대한 연구 (A Performance Indicators of Living Lab Project in the Digital Social Innovation)

  • 이재혁;이정훈;조경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8권5호
    • /
    • pp.193-207
    • /
    • 2019
  • In recent years, Digital Social Innovation has been emerging at home and abroad and new solutions are being proposed by the perspective of User using digital technology in order to solve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of the city. In addition, Living Labs which is an innovative tools and space enable to solve problems doing activities with various participants led by user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systematically manage the activities of Living Lab in Digital Social Innovation and improves the Living Lab sustainability using the performance indicators which are going to be developed. Furthermore, construct the appropriate indicator of each project process and take test at real Living Labs. As a result, performance indicator was derived from each procedure in the Living Lab project, and proved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indicators through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methods by interviews and the questionnaire from the participants of Living Labs.

지역사회 문제 해결을 위한 도서관 리빙랩에 관한 지역기반 방향성 도출 연구 - 충주시의 지역사회 문제를 중심으로 - (A Study on Deriving a Regional-based Direction for a Library Living Lab to Solve Local Community Problems)

  • 노영희;백민경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5-24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도서관과 연계한 지역사회의 문제 해결을 위한 도서관 리빙랩에 대해 살펴보고, 지역사회에 도서관 리빙랩을 적용할 수 있는 문제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사례를 조사하였으며, 리빙랩이 지역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용되고 있는 다양한 양상들을 조사하였다. 또한, 충주지역의 주민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도서관이 지역사회의 문제를 해결하는데 기여할 수 있는 분야를 도출하고 그 필요성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도서관은 재난안전, 환경, 교통, 교육, 지역발전, 문화예술생활, 주거, 에너지, 건강, 관광 분야 등에서 도서관이 리빙랩 활동에 참여하는 '도서관 리빙랩'이 지역사회의 문제해결에 필요하다는 지역주민들의 응답이 전체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는 도서관이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활동범위가 지역사회로 넓어지고 도서관 리빙랩을 통해 지역사회의 거의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도서관 서비스의 혁신적 방안이 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영구 자석 매립형 BLDC Motor의 Sensorless 제어기 설계 (Design of Sensorless Controller for Interior Permanent-Magnet BLDC Motor)

  • 김학원;염관호;조관열;안준호;신현정;변일수;김정철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1996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학회본부
    • /
    • pp.299-301
    • /
    • 1996
  • Recently, as a result of the progress in power electronics and magnet technology, the applications of inverter fed BLDC Motor have increased for industry and home appliance. Also because of the high efficiency, good acoustic noise characteristic, BLDC Motor applications are growing. However, BLDC Motor requires position sensor, which has many problems such as high cost, more space and difficult to install. Therefore, sensorless control algorithm is being studied. In this paper, sensorless algorithm for interior permanent magnet BLOC motor adaptable for home appliance is proposed. The maximum torque per amp operation with advance angle considering load torque and speed was simulated and verified through the experi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