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ing Library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아파트 거주자의 주거 특성에 주거개선 행위와의 관계 연구 -45평 이상 아파트를 대상으로- (Housing Variables of Apartment Residents and Their Improvement Activities)

  • 윤복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135-152
    • /
    • 198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improvement activities for the apartment house ;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partment residents and their housing improvement activities in order to present some informations for the further studies and plans of apartment design and housing policy. Library and questionnaire survey methods were used in this research. the sample was taken from 102 housewives living in the apartments over 45 pyong (1602 sq. ft.), in Seoul,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PSS using frequency, percentage, chi-square test, F-test, Duncan's multiple range test, η2, and C2.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t was found that residents had experienced with 3.6 kinds of housing improvement activities. Living rooms, dining rooms, and kitchens in family living areas ; balconies and utility rooms in utility areas were improved for the physical convenience and quality of living. 2. This survey indicated that apartment residents evaluated thier housing condition as high, except storage spaces and outdoor noises. 3. About 80% of respondents were expected to live continuously in the current apartments because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size of thier residences, However, they wanted to improve the inside of the entire apartment, especially bathrooms. 4. Variables which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in housing improvement activities in the past were the length of residence, the expected length of reside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residence. 5. The expected length of reside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residence were found to be effective variable for evaluating the current residence. 6. Finally, the expected length of residence, and the characteristic of residence were significant variables of the housing plan in the future. Housing improvement activities were prevalent recently and expected to be continued in the future. It can be said, therefore, that apartment residents have a long -term plan to live in one place rather than moving out ever two-three years.

  • PDF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활용한 공공정보 내용분석 - 광역도시 대표 트위터 내용을 중심으로 - (A Content Analysis of Public Information using Language Network Analysis: Focused on Contents of Twitters of Metropolitans)

  • 김지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151-171
    • /
    • 2016
  • 본 연구는 언어네트워크 분석방법을 통해 광역도시 대표 트위터의 정보 내용을 연도별 도시별로 심층 분석하고 정보제공 매체로서 트위터 활용에 대해 조사하였다. 언어네트워크 분석을 위한 분석도구는 KrKwic, Ucinet6, Netdraw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연구 결과, 2014년도에는 시정 관련 정보(시민, 운영, 개최, 참여)와 시민생활 관련 정보(문화, 공원, 출근길)를 중심으로 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되었다. 반면 2015년에는 시정홍보에 관련 정보(시민, 문의, 개최, 시정, 행사)가 네트워크의 핵심적 역할을 차지하고 있었다. 도시별 네트워크 분석에서 연도별 도시별로 각기 다른 키워드들이 도출되었다.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Information Literacy of Immigrants in Korea)

  • 이용재;이수상;조용완;장임숙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113-137
    • /
    • 2009
  • 이 연구의 목적은 국내 거주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실태를 파악하고 그들의 정보리터러시를 증진하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부산과 경남지역의 이주노동자와 결혼이주여성 41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전체적으로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수준은 기초적인 단계에 머물러 있었고, 특히 정보이용, 정보생산, 정보윤리, 정보통신기술 등의 분야들이 상대적으로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주민의 정보리터러시 역량 강화를 위해 정보활용교육과 한국어 교육에서의 효과적인 방안이 개발될 필요가 있다.

  • PDF

국내 노인주거환경계획 분야 연구의 흐름 분석 연구 (An analysis of domestic research trends on elderly environment planing)

  • 이연숙;이소영;김미선;이정화;곽윤정
    • KIEAE Journal
    • /
    • 제7권2호
    • /
    • pp.77-85
    • /
    • 2007
  • Korean society expects to be changing into aged society more rapidly than any other countries due to low birthrate and increase in life expectancy. Increasing number of elderly and social problems of aging society have provoked increase in research on elderly environment. Elderly housing facilities and living conditions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quality of life for older pers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ystematically analyze empirical studies on elderly physical environments in Korea, find out research streaming and understand social backgrounds and to suggest future research problems. For this study, contents analysis was conducted. Articles of four academic peer reviewed journals published from 1986 to 2005 were units of analysis. Using a keyword through library database systems, the articles were systematically selected. As results, trends of research according to 4 periods were defined. Among them as major trends, expansion of the quantity, expansion to interior design features for older persons, more facility types for dependent elderly(assisted living facilities, facilities for elderly with dementia, long term care facilities) have appeared. This result showed some directions and implications on elderly facility planning and development.

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이 '생애설계와 진로탐색'에 관한 학습자의 의식 및 태도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ibrary Assisted Practical Problem-Based Home Economics Instruction on Student's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Life and Career Planning')

  • 김영신;이연숙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61-79
    • /
    • 2010
  • 본 연구는 현장에서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의 효과적인 수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 중심 학습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설계되었다. 제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10학년 12종 교과서의 '생활설계' 단원과, 2007 개정 교육과정 해설서의 9학년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에 대한 내용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실천적 문제를 정의하고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의 내용을 재구성하여 10차시의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중심 가정과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경기도 S고등학교의 재학생 139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는 개발된 학교도서관을 활용한 문제중심 수업을 도서관에서, 비교집단에는 동일주제를 가지고 교실에서 수업을 진행한 후 '생애설계와 진로탐색' 단원에 대한 의식 및 태도와 가정과에 대한 인식의 향상정도를 공변량 분석(ANCOVA)으로 알아보고, 학생의 수업방법에 대한 만족도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개발된 도서관을 활용한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은 교실에서의 실천적 문제중심 수업보다 '생애설계와 진로탐색'과 관련된 바람직한 의식과 태도를 형성하고 발전시키는데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가정교과를, 과학지식을 가정생활에 응용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가정과 연결된 사회문제 분석 능력을 기르는 교과, 주변사람들을 돌보고 존중하는 능력을 기르는 교과, 현대사회에서 중요한 교과라고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수업방법과 수업 전반에 대한 학생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공공도서관 운영의 기본지표와 이용실적과의 상관관계 분석 -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거주지별 학력별 소득별 이용을 중심으로 - (An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Basic Indicators of Public Library Operation and Usage Performance: Focusing on the use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by Resid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 조금주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79-102
    • /
    • 2021
  • 본 연구는 국가도서관통계시스템에서 제공하는 개방형데이터와 서울특별시 2020 서울서베이의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서울시민의 공공도서관 이용 현황 분석을 목적으로 삼았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공공도서관의 예산, 도서관 운영인력, 소장 장서수, 연면적 등 도서관 운영의 중심 지표들을 중심으로 서울시 25개 자치구별 공공도서관의 서비스 제공 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이러한 공공도서관 운영의 기본지표들과 서울시민의 거주지별 학력별 가구월평균소득별 공공도서관의 이용 실적을 비교하여 상관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예산, 인력, 장서수와 같은 도서관 운영의 중심 투입지표와 서울시민의 거주지별 학력별 소득별 공공도서관의 대출자수와 대출권수, 상호대차서비스 건수라는 산출지표와의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서울시민의 공공도서관 이용행태와 독서경향을 파악하여 지역간의 격차를 극복하고 서비스 수준을 공평하게 하여 서울시 공공도서관의 균형적인 발전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미국 내에 거주하는 한인 어머니들의 건강정보 필요성과 탐색 행동연구 (Health Information Needs and Seeking Behaviors among Korean Mothers of Young Children in the United States)

  • 이한슬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209-228
    • /
    • 2017
  • 선행연구들은 어머니들의 적극적인 건강정보 탐색자로서의 역할, 가족들의 건강을 돌보는 매니저로서의 역할에 주목해왔다. 그러나 미국 내에 거주하는 한인 이민자 어머니들의 건강정보 필요성이나 탐색 행동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를 기반으로 한 설문 연구로서, 한인 이민자 어머니들의 건강정보 필요성과 탐색에 대한 행동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만0세부터 10세의 한인 어머니들 사이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여겨지는 건강 주제들은 예방접종, 치아건강, 육아, 영양/식단, 그리고 운동 등으로 밝혀졌다. 또한 특정 주제들에 한하여 아이들의 성별과 나이에 따라 어머니들의 건강 정보 필요성이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미국뿐만 아니라 한국의 정보 전문가들이 건강 정보 서비스를 개발하는데 있어서 염두에 둬야 할 점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림 동화책 읽기 프로그램을 통한 다문화 여성의 자신감 분석 (The Analysis on Confidence of Multi-cultural Women Through a Picture Story Reading Program)

  • 이현실;최세민;이형선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251-273
    • /
    • 2011
  • 본 연구는 다문화 결혼 이주여성에게 14주 동안 동화읽기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그 효과를 자신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독서 프로그램은 (1) 다문화 여성들에게 독서능력 자신감의 향상은 가져왔으나 (2) 자기 개념적 자신감에 유의미한 변화는 없었다. (3) 동화읽기 프로그램은 이들이 한국생활에서 자신감을 가질 수 있는 많은 요인들을 제공하고 있었다. (4) 이들은 꿈은 있었지만 자신의 가능성을 펼 수 있는 자신감과 정보는 부족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결혼이주 여성들이 한국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살아갈 수 있도록 도서관에서 동화를 활용한 독서치료 프로그램, 다문화 커뮤니티 그룹, 다문화 주부교실을 운영하고, 그림 활용 정보이용 교육 실시가 필요하다는 근거를 제공하였다.

중풍 환자의 경직에 있어서 전침 치료 효과에 대한 체계적 고찰 (Systematic Review of Efficacy of Electroacupuncture for Spasticity because of Stroke)

  • 고호연;공경환;신미란;장명웅;박선주;박정수;장보형;이주아;고성규;전찬용
    • 대한중풍순환신경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61-67
    • /
    • 2011
  • Background : Prevalence of spasticity because of stroke are 40% patients after 12 month. Spasticity caused decrease of range of motor, motor function, and active daily living. Electroacupuncture widely used stroke. But it is been studied by systematic review between spasticity and electroacupuncture. This study is aimed to efficacy of electroacupuncture for spasticity because of stroke. Methods : We had used pubmed(www.pubmed.com) and cochrane library(www.thecochranelibrary.com) database. Limits are'human','randomized controlled trial'and'all adult 19+ years'in pubmed. The period was until 15, september, 2011. We used MeSH(Medical Subject Headings terms. The search words were'stroke'[mesh],'muscle spasticity'[mesh and 'electroacupuncture'[mesh]. In cochrane library, we used spasticity and electroacupuncture in cochrane library. We found 19 studies. But only 3 studies were included for inclusion criteria. Results : The appropriate 3 studies were different from subject, acupoint, duration of treatment, endpoint and etc. But these studies were effective for spasticity because of stroke. Conclusion : These studies were not meta analysis because of heterogeneity. But the above results might explain the electroacupuncture were effective for spasticity and further study needed to verify and standard electroacupuncture study for spasticity.

  • PDF

충남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공간혁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pace Innovation of Public Libraries Belonging to Chungcheongnam-do Office of Education)

  • 임정훈;오형석;이병기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103-126
    • /
    • 2021
  • 본 연구는 충청남도교육청 소속 19개 공공도서관을 대상으로 교육·문화복합공간으로서의 도서관 재구조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 공공기관 복합화 시설의 사례 조사, 이용자 설문조사 등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미래 공공도서관이 갖추어야 할 공간으로 배우는 공간(종합자료실, 테마 자료 탐구실, 미래교실, 블렌디드 러닝센터, STEAM 교육실, 원격강의학습실), 표현하는 공간(포이어, 메이커 룸, 디지털 매체 창작실, 원격강의제작실), 나누는 공간(동아리·모둠학습실, 웰빙 복합문화공간, 생활·편의공간, 휴게실·브라우징), 즐기는 공간(퍼포먼스·생각 놀이터, 유아·어린이 자료실, 디지털 가상체험실, 특화 알코브실, 야외독서실) 등으로 구분하여 공간 재구조화 전략을 제시하였다. 또한, 건축 규모, 장서 규모, 서비스 및 공간 수준 등을 고려하여 선도모형, 기본모형, 이음터 모형, 최소모형 등 도서관별로 특화된 교육청 소속 공공도서관의 재구조화 모형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