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ing Factor

검색결과 1,793건 처리시간 0.024초

일부 농촌 지역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을 가진 성인들의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 (Glycemic Index Recognition and Practice of Low-Glycemic-Index Diet by Adults with Chronic Diseases in Some Rural Areas)

  • 신새론;한아름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39권2호
    • /
    • pp.104-115
    • /
    • 2014
  • 저당지수 식사는 비만, 당뇨병의 발병 감소 및 심혈관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뿐만 아니라 당뇨병에서 혈당을 개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런 중요성에 비해 우리나라에서는 일반 성인의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를 조사한 연구 자료가 드물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정상인과 질환을 가진 환자군으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2011년 9월부터 2012년 2월까지 일개병원 건강증진 센터를 방문한 농촌 지역 사람들을 대상으로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와 교육 정도, 교육 참석 의향, 일반적인 지식정도, 저당지수식 실천정도에 관한 내용을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에서는 당뇨병군이 다른 군에 비해 비교적 잘 알고 있었고, 교육여부도 당뇨병군이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당지수와 비만, 당뇨병, 고혈압, 고지혈증과의 관련성에 대해 물었을 때도 당뇨병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 옳은 응답률의 비율이 높았으나 당지수에 관한 일반적인 지식을 물었을 때는 당뇨병군과 다른 군간의 차이가 없거나 낮은 응답률을 보이기도 하였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당뇨병군을 포함한 모든 군에서 높은 응답률을 보이지 않았다. 평소에 당지수를 고려해서 식사를 하는지와 저당지수식 실천정도를 물었을 때는 당뇨병군이 더 높은 비율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당뇨병군을 제외한 나머지 군에서는 당지수에 대한 인식도가 낮고, 당지수에 대한 올바른 지식이 부족하며 당지수를 고려한 식생활도 잘 이루어지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당뇨병군에서도 저당지수식의 효과 및 당지수 관련 자세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보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농촌 지역 당뇨병 환자 뿐 만 아니라 만성질환자나 정상 성인에서도 당지수에 대한 교육이 좀 더 체계적이고 구체적으로 이루어져야 함을 시사하는 바이다.

패션제품 중독구매성향이 구매 후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dictive Shopping Orientation on Post-purchase Emotions and Behaviors)

  • 이진화;이정오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30권4호
    • /
    • pp.195-227
    • /
    • 2011
  • 본 연구는 '과연 소비자의 중독구매성향은 일반적인 소비에서 예상되는 구매 이후 감정 및 행동패턴에 또다른 영향으로 작용할 것인가' 라는 질문에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고자 한다. 구체적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우리나라 패션제품 소비자의 쇼핑 중독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을 살펴보고, 둘째, 중독구매성향이 패션제품 구매 후 감정(긍정적 감정/부정적 감정)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며, 셋째, 구매후 감정이 구매 후 행동(재구매/반품 및 교환/부정적 구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넷째, 중독구매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 요인과 중독구매 성향이 구매 후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은 유통채널(온라인/오프라인) 별로 차이가 있는 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개인의 심리적 요인 중 자아 존중감이 낮고, 보상구매성향과 충동성이 높은 사람일수록 중독구매성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독구매성향은 구매후의 양면적(긍정적, 부정적) 감정에 모두 영향을 미치고, 특히 오프라인의 경우 긍정적 감정을 수반하는 것이 밝혀졌다. 구매 후 감정은 일반적인 소비상황과 같이 구매 후 행동에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부정적 감정의 영향이 긍정적 감정의 영향보다 크고, 또한 긍정적, 부정적 행동에 모두 명확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는 점을 찾을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중독구매성향에 초점을 맞추고, 중독구매성향이 구매 후 감정 및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최초로 연구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 PDF

춘천지역 중년과 노인의 고혈압 인지율, 치료율, 조절률 및 인지율 관련 요인: 한림노년연구(HAS)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Rates of Hypertension and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among Middle Aged Adult and Elderly in Chuncheon : Hallym Aging Study(HAS))

  • 정진영;최용준;장숙랑;홍경순;최영호;최문기;김동현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0권4호
    • /
    • pp.305-312
    • /
    • 2007
  • Objectives : To estimate th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rate, as well as to identify the awareness-related factors for hypertension. Methods : The study participants were 482 adults (men 206, women 276), aged 45 or over, diagnosed with hypertension and living in Chuncheon. The awareness rate wa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persons among those with hypertension who had previously been diagnosed by a physician. The treatment rate wa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persons who had used anti-hypertensive medication, among those who were aware of their hypertension. The control rate was defined as the proportion of persons who kept blood pressure normal, among those who had been treated for their hypertension.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arried out for the awareness-related factors using SAS VER 8.1. Results : The awareness, treatment, and control rate were 55,8% (53.4% for men; 57.6% for women), 89.6% (87,2% for men; 91.2% for women), and 34.4% (28.1 % for men; 38.6% for women), respectively. The awareness-related factors included a family history of hypertension (odds ratio[OR], 5.63; 95% confidence interval[95% CI]=1.53-20.72), smoking([Ex; OR 0.38, 95% CI= 0.15-0.96)], [Current; OR 0.28, 95% CI=0.10-0.80]), and alcohol intake ([Ex; OR 3.22, 95% CI 1.03-10.09],[Current; OR 3.36, 95% CI=1.30-8.71]) for men, and education(OR 2.23, 95% CI=1.10-4.53), body mass index(OR 2.72, 95% CI=1.13-6.53), and self-rated health(OR 2.38, 95% CI=1.07-5.30) for women. Conclusions : The awareness rate of hypertension among the middle aged and elderly in Chuncheon was 55.8%. The related factors of awareness were gender specific.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lucidate the putative reasons for these gender differences.

일 농촌노인의 건강상태 및 건강증진행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Older Adults in a Rural Area)

  • 김정순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87-201
    • /
    • 200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ealth status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of older adults in rural area. The design of research was descriptive study. 883 older adults over sixty years living in the rural area of Pusan city were surveyed from July 9. 1999 to July 20. 1999 through direct interview using a questionnaire and physical examin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percentage. mean. Chi square-test. ANOVA using the SPSS computerized program.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1. 43.4% of subjects lived alone or with only partner. 2. 37.13% of subjects had perceived own health condition as bad. 3. Major 'chronic diseases that the subjects were suffered were diabetes(25.94%) and hypertension(9.11%). 4. The mean score of perceived depression was 17.71 of 44. 5. 87.98% of subjects replied that they had good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y and friends. 6. 8.57% of subjects were identified as over weight. while 10.85% were low weight. 7. 29.93% of subjects replied that they were smoking. By the group. the rate of smoking of ma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women. and lower age group than higher age group, and higher education group than lower education group. 8. 70.38% of subjects didn't practice exercise. By the group, the rate of exercise of woman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man, and higher age group than lower age group, and lower education group than higher education group. 9. 12.33% of subjects replied for the frequency of drinking as more three -times a week. By the groups. man showed significantly more frequency than woman. the lower age group than higher age group, the lower education group than the higher education group. 11. The mean score of nutrition state was 3.73 which means moderate risk state. 12. The 57.53% of subjects replied, their sleeping time as below 7 hours. 13. The 15.75% of subjects had experience a periodical inspection. In conclusion, older adults in rural area were identified having various health risk factor, Looking at the results. It is necessary to develope health promotion program which enhances older adults to practice health promoting behavior and to manage their chronic disease.

  • PDF

일 농촌지역 노인의 사회적 지지와 삶의 질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Rural Areas)

  • 강경숙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75-384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amount of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perceived by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in an effort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effective nursing intervention to enhance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people. Data were collected from a sample of 220 elderly people aged over 60 from a stratified probability method from one rural area in South Jeolla province from Aug. 15 to Sep. 15, 2002. For data collection, pre-educated researchers visited the participants' homes and surveyed them face-to-face.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AS program along with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1. The most socially supportive people they answered were Spouses (57.28%), followed by children, friends/neighbors, in descending order. In terms of satisfaction about social support, the subjects felt the most satisfaction from spouses, followed by friends/neighbors, children, in descending order. 2. The participants' perceived social support was 26.0 and the highest score was 108.0 out of 125. Also, the average score and average grade point was 81.7 and 3.35, respectively. A comparison of the average grade points per items within sub-areas of social support revealed financial aid(3.56), informative support(3.34), emotional support (3.27), and evaluation support(3.22). 3. Their perceived social support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how much they earned (F=18.56, p= .00001) and whether they had family members living together (F=2.68, p= .0512), quality of lif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rms of how much they earned (F=35.34, p= 0.00001). 4. The quality of life they perceived was the lowest score 47.0, the highest score 196.0, average score 145.7, and average grade points 3.28. A comparison of the average grade points per items within sub-areas of quality of life revealed neighbor relationships(3.97), self-esteem(3.49), family relationships(3.35), economic conditions 3.12), physical health (2.98), and psychological health(2.74). 5.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the subjects'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r=.696, p< .001). The findings revealed that social support for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was a greatly effective factor on their quality, of life. Also, it was shown that the larger the social support for the elderly, the greater the quality of life for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oster geriatric nurse specialists and develop nursing intervention programs connected with health care and social wellbeing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life of elderly people in rural areas. Also, 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models for community and its applications, which will playa leading role for elderly people.

  • PDF

초등학교 중학년용 불안 검사 개발을 위한 예비 연구 (A Preliminary Study on Anxiety Inventory for Middle Graders at Elementary School)

  • 김세영;은혁기
    • 초등상담연구
    • /
    • 제9권2호
    • /
    • pp.195-215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중학년의 불안을 포괄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를 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첫째, 초등학교 중학년 불안의 구성내용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이를 측정하기 위한 적절한 문항을 구성하여 검사를 개발하고 둘째, 초등학교 중학년용 불안검사 문항이 학생들에게 명확하게 이해가 되는지, 셋째 그 신뢰도와 타당도가 적절한지를 살펴보았다. 이 결과 초등학교 중학년용 불안검사는 초등학생의 일반불안, 대인불안, 학업불안, 시험불안, 발표불안과 관련된 내용을 모두 포함하고 있었으나 하위요인별, 세부영역별로는 차이가 있었으며 신뢰도와 타당도는 적합하여 불안검사를 제작하는데 유용한 자료로 쓰일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때 본 연구에서 개발한 검사는 기존의 검사도구의 단점을 보완하여 초등학교 중학년 아동이 겪는 불안의 특성을 밝히고 다양한 요인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적용대상을 불안 형성시기이자 가장 큰 불안을 겪는 중학년 아동들로 하향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중학년 아동 개개인의 불안에 관한 기초선을 측정하여 불안을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하는 생활지도와 상담에 유용하게 쓰일 것이다.

  • PDF

유병기간에 따른 한국인 파킨슨병 환자의 영양소 섭취 상태 및 식사의 질에 관한 연구 (Nutrients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Korean Parkinson's Disease Patien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sease)

  • 이주연;안태범;전범석;김윤영;조여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82-591
    • /
    • 2008
  • Both genetic and environmental factor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Parkinson Disease(PD). The contribution of many environmental factors including dietary factor remains unproven. The purpose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etary habits,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Korean PD patients according to the duration of disease. PD patients were recruited from K and S university hospitals from May 2005 to January 2006. This study was carried out after approval by the Institute Review Board(IRB). British Brain Bank criteria was used to diagnose PD. The subjects were classified into 2 groups based on the duration of PD: <25 months and $\geq$25 months groups. General characteristics, anthropometric measurements, food habits and dietary intak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age of <25 months group($66.9{\pm}8.0$ yr)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geq$25 months group($62.2{\pm}8.8$ yr)(p<0.05).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for academic background, occupation, living status and social activity, however, numbers of diseases, exercise and family history of PD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2) Anthropometric measurement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3) The frequency of taking snack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25 months group and the amounts of alcohol consump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eq$25 months group. 4) Daily intakes of most nutrients were very low compared with DRI. 5) The MAR score was significantly lower in <25 months group(p<0.05;) however, the scores of DVS, DDS and DQI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s a conclusion an overall nutrient intake and dietary quality of the Parkinson's Disease patients need to be improved regardless of duration of the disease and a well-balanced diet should be emphasized.

시민의 경찰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찰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itizens' Commitment to Police Activitie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Police Confidence)

  • 홍승표;박종승
    • 시큐리티연구
    • /
    • 제61호
    • /
    • pp.353-376
    • /
    • 2019
  • 이 연구는 시민의 경찰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가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여 경찰활동 협력 및 경찰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요인을 선정한 뒤, 이를 바탕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절차적 공정성이 확인되었다. 즉, 경찰활동이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이루어질수록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의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민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경찰활동이 보다 공정하게 집행되고 이를 시민이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순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인식정도와 지역사회 무질서 정도는 경찰신뢰를 매개로 하여 경찰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민이 경찰의 순찰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경찰신뢰가 증가하고 이러한 신뢰는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무질서한 환경이 개선될수록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는 증가하고, 이는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경찰신뢰가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경찰활동의 절차적 공정성이 증가하게 되면 시민은 경찰을 신뢰하고, 이러한 경찰신뢰를 바탕으로 시민은 경찰에 협력하게 된다. 또한 절차적 공정성은 시민의 경찰 협력의 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복지관 방문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에 관한 연구 (A Study of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for the Elderly in Senior Welfare Center)

  • 안미향;김경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8호
    • /
    • pp.3544-3551
    • /
    • 2012
  • 한국사회의 급속한 노령화와 평균수명의 연장으로 노인의 삶의 질에 대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서적 측면의 우울 또한 노년기의 중요한 변수로 지적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 정도를 파악함으로써 지역사회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일개의 복지관 방문노인 127명을 대상으로 2011년 11월부터 2012년 1월까지 일대일 면접방식을 통하여 한국판 WHOQOL-BREF과 Beck Depression Inventory을 사용하여 노인의 삶의 질과 우울을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남자 62명, 여자 65명이었고, 삶의 질은 평균 85.82(${\pm}16.35$)점이었으며 우울 정도는 평균 9.45(${\pm}8.02$)점으로 나타났다. 삶의 질은 교육, 건강수준, 건강보험형태, 직업, 생활경제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우울 정도는 성별, 교육, 건강수준, 건강보험형태, 직업, 생활비마련, 생활경제력, 여가활동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삶의 질과 우울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노인의 삶의 질 향상을 지원할 수 있는 지역사회 중심의 건강증진 프로그램 개발, 사회적 참여 프로그램의 활성화, 노인 일자리 창출 등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 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elf-rated Health Status for the Elderlies in Urban Areas)

  • 이후연;백종태;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569-581
    • /
    • 2016
  • 본 연구는 일부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알아보고 그의 관련 요인을 명확하게 밝히려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D광역시에서 5년 이상 거주하고 있는 65세 이상 노인 390명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16년 6월부터 8월에 구조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각 독립변수에 따른 주관적인 건강상태의 분포를 알아보고, unconditional logistic model을 이용하여 각 독립변수마다 건강군에 대한 비건강군의 교차비(Odds Ratio)와 95% 신뢰구간을 구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의 분포는 건강군이 67.2%, 비건강군이 32.8%이었다.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신체적인 부자유스러움과 IADL의 저하가 주관적 건강상태의 악화와 가장 큰 관련성이 있었다. 또한, 직업이 없고, 생활비를 정부로부터 보조받으며, 친척과의 접촉빈도가 낮고, 불안감이 있고, 주관적인 수면의 질이 낮고, 일상생활에 만족하지 못하는 군에서 주관적 건강감이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도시지역 노인들의 주관적인 건강상태에는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나 신체적인 건강상태뿐만 아니라 주변의 사회적 지지나 사회 심리적 요인이 관여하고 있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