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itizens' Commitment to Police Activities: Focusing on the Mediation Effect of Police Confidence

시민의 경찰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경찰신뢰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 홍승표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찰행정학과) ;
  • 박종승 (전주대학교 경찰학과)
  • Received : 2019.11.15
  • Accepted : 2019.12.10
  • Published : 2019.12.31

Abstract

The study aims to analyze the factors affecting citizens' willingness to cooperate in police activities and to verify the intermediation effects of citizens' trust in police in these relationship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such research, we selected factors that are expected to affect cooperation in police activities and police confidence by conducting a survey of 502 adult men and women living in Seoul and utilized them for analysi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cedural fairness was confirmed as an influence factor on the cooperative history of police activities.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have police activities conducted more fairly and citizens recognize them in order to induce cooperation from citizens, as the fairer police activities are shown to increase the willingness of citizens to cooperate.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level of citizen awareness of patrol activities and level of disorder in the community affected cooperation in police activities through the medium of police trust. It can be said that the more positively citizens evaluate police patrol activities, the more police confidence increases and this trust leads to citizens' cooperation in police activities. In addition, as the disorderly environment in the community improves, citizens' trust in the police increases, leading to civic cooperation in police activities. Based on this, the police trust was able to confirm that it had a fully operational effect. Third, if the procedural fairness of police activities increases, citizens trust the police, and this police trust leads to cooperation in police activities.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procedural fairness had a direct impact on citizens' cooperation in police activities, so it was able to confirm that there was a partial selling effect.

이 연구는 시민의 경찰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고, 이러한 관계에 있어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가 갖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선행연구 분석을 실시하여 경찰활동 협력 및 경찰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 예상되는 요인을 선정한 뒤, 이를 바탕으로 서울에 거주하는 성인남녀 50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에 따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찰협력 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절차적 공정성이 확인되었다. 즉, 경찰활동이 절차에 따라 공정하게 이루어질수록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의사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시민의 협력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경찰활동이 보다 공정하게 집행되고 이를 시민이 인식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순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인식정도와 지역사회 무질서 정도는 경찰신뢰를 매개로 하여 경찰 협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민이 경찰의 순찰활동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할수록 경찰신뢰가 증가하고 이러한 신뢰는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지역사회의 무질서한 환경이 개선될수록 경찰에 대한 시민의 신뢰는 증가하고, 이는 경찰활동에 대한 시민의 협력으로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경찰신뢰가 완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경찰활동의 절차적 공정성이 증가하게 되면 시민은 경찰을 신뢰하고, 이러한 경찰신뢰를 바탕으로 시민은 경찰에 협력하게 된다. 또한 절차적 공정성은 시민의 경찰 협력의 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경찰청 (2017). 경찰백서.
  2. 김균태 (2017). 지역주민의 범죄신고 의사 영향요인. 동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김렬, 성도경, 이환범, 이수창. (2008). 사회과학 연구 및 논문작성을 위한 통계분석의 이해와 활용. 서울: 대명.
  4. 김명수 (2004). 협력치안활동의 실태 및 문제점에 관한 연구. 한국경찰연구, 3, 3-30.
  5. 김정준, 이상열 (2019). 협력치안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시민 인식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6, 93-114.
  6. 류준혁 (2012). 시민의 경찰에 대한 인식 분석. 사회과학연구, 38, 171-200.
  7. 박철현, 구본희 (2018). 범죄피해의 신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D. Black VS. Feminist, 한국범죄학, 12, 121-137.
  8. 신소라 (2016). 폭력물 시청과 폭력 목격이 청소년의 사이버불링과 학교폭력에 미치는 영향:자기통제력의 매개효과. 교정복지연구, 44, 143-162.
  9. 이정훈 (2014). PEQ를 활용한 노인범죄에 대한 협력치안네트워크의 구축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치안행정논집, 11, 79-101.
  10. 임창호, 김영수 (2018). 외국인 밀집지역 내 거주 주민의 경찰에 대한 신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찰학논총, 13, 151-183.
  11. 장현석 (2014a). 경찰에 대한 신뢰도 결정요인: 도구적 시각과 표현적 시각의 비교. 한국공안행정학회보, 23, 239-262.
  12. 장현석 (2104b). 경찰 신뢰도에 대한 한국과 일본 비교 연구. 한국경찰연구, 13, 311-340.
  13. 정우열 (2015). 협력치안에 대한 경찰과 민간경비의 인식 연구. 경찰학논총, 10, 405-432.
  14. 채서일. (2003). 사회과학조사방법론(3rd ed). 서울: 학현사.
  15. 최선우 (2001). 치안서비스의 공동생산론적 접근. 한국공안행정학회보, 11, 375-411.
  16. 최수형, 김지영, 황지태, 박희정 (2015). 전국범죄피해조사 2014. 한국형사정책연구원.
  17. 탁종연 (2010). 범죄피해자의 신고 결정요인 분석: 절도와 사기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1, 53-75.
  18. 허용훈, 문유석 (2006). 성공적 지역경찰활동을 위한 경찰과 지역사회 간의 협력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대회자료집, 277-301.
  19. 황의갑 (2013). 경찰에 대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시민들과 미시간주 디트로이트 대도시권 한인들 간의 비교연구. 한국경찰연구, 12, 411-434.
  20. Bradford, B., Jackson, J., & Stanko, E. A. (2009). Contact and confidence: Revisiting the impact of public encounters with the police. Policing & society, 19(1), 20-46. https://doi.org/10.1080/10439460802457594
  21. Chou, C. P. (1995). Estimates and tests i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37-55.
  22. Hough, M., Jackson, J., Bradford, B., Myhill, A., & Quinton, P. (2010). Procedural justice, trust, and institutional legitimacy. Policing: A Journal of Policy and Practice, 4(3), 203-210. https://doi.org/10.1093/police/paq027
  23. Jackson, J., & Bradford, B. (2010). What is trust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Policing: A Journal of Policy and Practice, 4(3), 241-248. https://doi.org/10.1093/police/paq020
  24. Jang, H., Joo, H. J., & Zhao, J. S. (2010). Determinants of public confidence in police: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Journal of Criminal Justice, 38(1), 57-68. https://doi.org/10.1016/j.jcrimjus.2009.11.008
  25. Kline, R. B. (2011). Convergen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d multilevel modeling. na.
  26. Mastrofski, S. D., Parks, R. B., Reiss, A. J., & Worden, R. E. (1998). Policing neighborhoods:A report from Indianapolis. National Institute of Justice Research Preview. Washington, DC: US Department of Justice.
  27. Skogan, W. G. (2009). Concern about crime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Reassurance or accountability?. Police quarterly, 12(3), 301-318. https://doi.org/10.1177/1098611109339893
  28. Sprott, J. B., & Doob, A. N. (2009). The effect of urban neighborhood disorder on evaluations of the police and courts. Crime & Delinquency, 55(3), 339-362. https://doi.org/10.1177/0011128707306689
  29. Sun, I. Y., Hu, R., Wong, D. F., He, X., & Li, J. C. (2013). One country, three populations:Trust in police among migrants, villagers, and urbanites in China. Social Science Research, 42(6), 1737-1749. https://doi.org/10.1016/j.ssresearch.2013.08.002
  30. Sunshine, J., & Tyler, T. R. (2003). The role of procedural justice and legitimacy in shaping public support for policing. Law & Society Review, 37(3), 513-548. https://doi.org/10.1111/1540-5893.3703002
  31. Tyler, T. R. (2003). Procedural justice, legitimacy, and the effective rule of law. Crime and Justice, 30, 283-357. https://doi.org/10.1086/652233
  32. Tyler, T. R. (2005). Policing in black and white: Ethnic group differences in trust and confidence in the police. Police Quarterly, 8(3), 322-342. https://doi.org/10.1177/1098611104271105
  33. Tyler, T. R., & Huo, Y. (2002). Trust in the law: Encouraging public cooperation with the police and courts. Russell Sage Foundation.
  34. Wolfe, D. A., Jaffe, P. G., Jette, J. L., & Poisson, S. E. (2003). The impact of child abuse in community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Advancing professional and scientific understanding.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2), 179-191. https://doi.org/10.1093/clipsy.bpg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