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r lipid content

검색결과 532건 처리시간 0.036초

포도씨유, 들깨유 및 옥수수유의 급여가 흰쥐의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Grape Seed Oil, Perilla Oil, or Corn Oil-Containing Diet on Lipid Patterns in Rats and Fatty-Acid Composition in Their Liver Tissues)

  • 강명화;박원종;이지현;정혜경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호
    • /
    • pp.3-10
    • /
    • 2005
  • 포도씨유의 생체 내 지질대사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고자 식이급원이 상이한 들깨유 및 옥수수유를 흰쥐에게 급여하여 체내 지질패턴 및 간조직의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를 급여받은 쥐의 체중은 7주까지 꾸준히 증가하였다. 그러나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급여받은 쥐는 7주 후 체중이 감소하였고 다른 유지군을 급여받은 군들은 8주째부터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 은 고지방 식이군 보다 일반식이군이 높았고 식이효율은 일반식이에 들깨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지질패턴 분석결과, 총지질 농도는 들깨유을 혼합한 일반식이군과 고지방 식이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중성지방과 인지질 농도는 일반식이군에게 들깨유 급여시 유의적으로 낮았다. HDL-C은 일반식이군이 고지방 식이군보다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일반식이군에 포도씨, 들깨유 및 옥수수유을 혼합하여 급여한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던 반면 고지방 식이군와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HDL-C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LDL-C은고지방식이군과 일반식이군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났는데, 특히 고지방식이에 들깨유을 급여한 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았고 포도씨유 급여군도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HDL-ChDL-C 수치가 고지방식이 군에서 다른 식이지방에 비하여 PHF군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던 것은 혈중 지질패턴을유익하게 바꾸어준 결과이며, 이로 인하여 동맥경화인자인Al 지수가 CHF군에 비해 PHF군과 GSHF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간조직의 총지방, 총콜레스테를 및 중성지방 함량은 일반식이군은 들깨유군에서 가장 낮았고 그다음이 포도씨유군 및 옥수수유군 순으로 관찰되었다. 간조직의지방산 조성 분석결과 고지방식이군은 포화지방산은 감소하였고 단일불포화 지방산과 다가불포화 지방산은 일반식이군에 비해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유지 급원에 따라함유하는 지방산 조성의 비율도 달라져 식이 급원에 의해 생체내 지방산 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생각된다.

각종 회복식이가 무단백식이를 섭취한 흰쥐의 체구성 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Various Recovery Diets on the Body Composition of Protein-depleted Rat)

  • 최영란;서동희;김미경;김숙희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0권1호
    • /
    • pp.1-9
    • /
    • 1977
  • 본 연구는 무단백식이 섭취시의 영향과 그 후에 표준, 고단백, 고지방, 고탄수화물의 4가지 회복식이를 섭취함으로써 회복되는 정도를 비교한 것이다. A. 무단백식이 2주간 섭취로 체중이 20%정도 감소 되었으며 이에 비해 체내 전체 지방 감소율은 더욱 컸고 단백질의 감소율은 작았으며, 수분의 감소율은 비슷하였으나, 회분은 변화가 없었다. 장기중 특히 간과 비장의 무게 감소율이 체중에 비해 컸으며, 성분으로 볼 때 간에서는 질소량의 감소가 컸고, 지방량은 거의 감소가 없었다. 비장에서는 질소량, 지방량이 모두 비슷한 정도로 감소되었다. 심장과 신장의 무게는 체중과 비슷한 정도로 감소 되었으며 뇌는 거의 변화가 없었다. 근육의 무게는 장기에 비해 비교적 감소율이 적었으며, 성분으로 볼 때 지방량이 단백질량보다 감소율이 컸다. Epididymal fat pad의 무게와 지방함량, 뼈의 무게는 모두 유의적인 감소가 없었으며, serum의 단백질량은 21% 감소, 지방량은 33%의 감소를 보였다. B. 무단백식이 2주간 섭취 후 회복식이를 2주간 섭취함으로써 체중은 무단백식이 2주때에 비해 $30{\sim}67%$ 증가하여 고지방군이 가장 무거웠으며, 고탄수화물군이 가장 가벼웠다. 회복 2주때의 전체 체구성 성군은 표준군과 고단백군에서 무단백식이 섭취전과 비슷한 상태로 되었다. 이에 비해 고지방군에서는 체내 단백질의 %가 약간 낮았고, 지방의 %는 현저히 높았다. 고탄수화물군에서도 지방의 %는 높았으나 수분의 %가 약간 낮았다. 장기 및 근육의 무게와 구성성분은 표준군과 고단백군에서 비슷했으며, 고지방군에서는 표준군과 비교할 때 무게는 비슷했으나 질소량이 약간 떨어졌으며 반면 지방량이 높았다. 고탄수화물군에서는 무게와 질소량이 다른 회복군에 미하여 모두 현저히 낮았다. Epididymal fat Pad저 무게와 지방량은 고지방군에서 특히 높았으나 나머지 세군은 서로 비슷하였다. serum의 단백질과 지방량은 4군간에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앞의 결과로 미루어 볼 때 무단백식이 섭취후의 회복율은 식이의 3대 영양소가 균형을 이루었을 데 가장 좋은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갯기름나물이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흰쥐의 지질대사 및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Peucedanum japonicum Thunb.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in Rats Fed a High-Fat/High-Cholesterol Diet)

  • 손희경;강수태;이재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5호
    • /
    • pp.641-649
    • /
    • 2014
  • 본 연구는 갯기름나물의 혈청, 간 및 지방조직의 체내 지질대사 개선 및 항산화 효능을 살펴보기 위하여 5주령 된 흰쥐수컷 32마리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군(N),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군(대조군, HFC),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5%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군(HFC-PBL) 및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10%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군(HFC-PBH)으로 나누어 4주간 실시하였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효율은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이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며,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군들(HFC-PBL, HFC-PBH)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식이섭취량은 대조군이 가장 낮았으나 실험군들 간의 유의차는 나타나지 않았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는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로 대조군에 비해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장간막지방조직 무게는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식이군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군들의 혈청 중 ALT 및 AST 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차는 없었으나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혈청 중 ALP 활성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혈청 중 LDH 활성은 갯기름나물 분말 고농도 첨가군(HFC-PBH)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혈청 중 중성지방 함량은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군들이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고, 혈청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차는 없었으나 다소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혈청 중 LDL-콜레스테롤 함량은 정상식이군에 비하여 대조군이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데친 갯기름나물 분말 고농도 첨가군에서 유의한 감소효과를 보였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증가되어진 간과 지방조직의 중성지방 및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부고환지방조직과 장간막지방조직의 중성지방 함량, 간조직과 지방조직 중 총콜레스테롤 함량은 데친 갯기름나물 분말 고농도 첨가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감소하여 정상식이군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로 감소되어진 간조직 중 GSH 함량은 갯기름나물 분말 첨가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증가된 과산화지질 함량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in vivo에서 고지방-고콜레스테롤 식이와 함께 섭취한 갯기름나물 분말은 체중, 간 및 지방조직의 무게 감소와 더불어 혈청 및 지방조직의 지질대사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갯기름나물에 함유된 항산화 비타민 및 무기질, polyphenol, flavonoid 등 생리활성 물질에 의해 지방조직의 체지방 형성을 억제하고 산화적 스트레스를 완화시킴으로써 체내 지질대사 개선과 심혈관계 질환 예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와송과 생약재 복합물이 Streptozotocin 유발 당뇨쥐의 간장 및 신장 조직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 Combined Extract of Orostachys japonicus with Medicinal Plants on the Lipid Composition of the Liver and Kidney from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신정혜;이수정;서종권;이현주;주종찬;성낙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510-518
    • /
    • 2012
  • 와송의 생리활성 및 생약재 혼합조성물과의 시너지 효과를 규명하고자 와송 추출물과 백복령, 창출, 사인 추출물의 동량으로 제조된 혼합물 및 이들의 1:1, 3:1 복합조성물을 시료로 하여 $in$ $vitro$ 상에서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고, streptozotocin으로 당뇨를 유발한 흰쥐의 간장과 신장 조직의 지질조성과 체내 항산화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1,000 ${\mu}g$/mL 농도에서 와송 추출물 및 와송과 생약재 혼합물 3:1 복합물의 nitric oxide 라디칼 소거활성은 50% 이상이었다. 금속이온에 대한 항산화 활성도 와송과 생약재 혼합물을 혼합하였을 때 각각의 추출물에 비해 활성이 더 높았으며, $Fe^{2+}$ 이온보다는 $Cu^{2+}$ 이온에 대한 항산화 활성이 더 높았다. ${\alpha}$-Glucosidase 저해활성은 생약재 혼합물에 비해 와송 추출물에서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와송 추출물과 생약재 혼합물을 3:1로 혼합함으로 써 상대적인 활성이 증가하였다. 와송 추출물과 생약재 혼합물의 3:1 복합물을 식이에 1% 첨가 급이하였을 때 간장과 신장 조직 내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질의 농도는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간장 조직 내 글리코겐의 축적량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는 간장과 신장 조직 중 지질과산화물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분석한 결과에서도 동일한 경향으로 와송의 혼합비율이 높을수록 TBARS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와송은 자체로도 항산화 및 항당뇨 활성을 가지지만 생약재 혼합물이 더해짐으로써 활성이 더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in the Coding Region of Bovine Chemerin Gene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arcass Traits in Japanese Black Cattle

흑마늘 추출물에 의한 고콜레스테롤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대사의 개선효과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 on Lipid Improvement in Rats Fed with High Fat-Cholesterol Diet)

  • 이현숙;양승택;류병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84-892
    • /
    • 2011
  • 본 연구는 흑마늘 숙성기간 중의 흑마늘의 지표물질이라 할 수 있는 S-allylcysteine (SAC)의 함량을 측정한 다음 흑마늘 추출물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흰쥐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흑마늘을 10일, 15일 및 20일 숙성 중 S-allylcysteine의 함량은 15일 일 때가 가장 높았으며, 관능검사 결과도 숙성 15일째가 좋았다. 고지방 식이만 공급된 동물군을 정상군, 위약군 그리고 고지방식이에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따라 저농도군, 중농도군 및 고농도군으로 5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사육하였다. 정상군, 실험군 모두 체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였으나 그룹 간의 유의적 차이는 없었고 흑마늘 추출물 첨가 급이군이 정상군에 비하여 체중 및 식이 효율에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혈중 총지질은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 농도에 관계없이 감소하였으며,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도 흑마늘 추출물의 첨가 농도가 높을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흑마늘 추출물 급이에서도 정상군에 비하여 HDL-콜레스테롤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고 LDL-콜레스테롤은 감소하였다. 간의 총지방, 총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의 함량은 정상군에 비하여 흑마늘 추출물을 급이한 저농도, 중농도, 고농도 군에서 모두 감소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보면, 6주 동안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고 콜레스테롤혈증은 동물 실험에서 흑마늘 추출물 첨가가 저농도, 중농도 및 고농도에서 혈액과 간의 중성 지방과 총콜레스테롤을 감소하는 효과가 있었으므로 체내지질 개선효과를 갖는 식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택사탕의 항산화와 혈중지질에 대한 효과 (The Effects of Taeksa-tang on Blood Lipid Profile and Anti Oxidation)

  • 이윤진;이은별;김현지;양두화;김영준;안희덕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14
    • /
    • 2021
  • Objectives We evaluated the improving effects of Taeksa-tang (TST) using 3T3-L1 cells and C57BL/6 mice were fed on a high-fat diet. Methods The anti-radical activities of TST were studied using 2,2-diphenyl-1-picrylhydrazyl and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phonic acid). The content of total polyphenol was measured using Folin-Ciocalteu reagent, whereas aluminum chloride colorimetric method was used for the content of total flavonoid. Moreover, the factors related to lipid profile and the protein expressions such as 𝛽-oxidation and anti-oxidant enzyme were analyzed using serum and western blotting of 3T3-L1 cells. Additionally, we examined lipolysis through glycerol appearance in mouse adipose tissue. Results TST treatment showed strong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ith half max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and the presence of a amount of total polyphenol and total flavonoid. TST treatment significantly increased factors related to 𝛽-oxidation such as carnitine palmitoyl transferase-1 and uncoupling protein 2 via the phosphorlyation of liver kinase B1 (LKB1) and AMP-activated protein kinase (AMPK). Moreover, the protein expressions of anti-oxidant enzyme and lipolysis were significantly elevated by TST administration. In addition, TST supplementation lowered serum malondialdehyde,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aken together, these data suggest that TST treatment regulated lipid parameters via the increase of 𝛽-oxidation by LKB1-AMPK signaling pathway. Conclusions TST may have a potential remedy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obesity. Therefore, this study may provide the scientific basis for TST use.

Gramoxone이 단백질 level에 따라 흰쥐 간에 미치는 독성에 관한 연구 (Effect of Dietary Protein Levels on the Manifestation of Gramoxone Toxicity in Rat Liver)

  • Kim, Sung-Ro;Lee, Hyun-Ki;Jo, Un-Bock;Park, Byung-Tae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31-240
    • /
    • 1992
  • 식이속의 단백질농도가 피리딘계 제초제인 gramoxone의 독성발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기 위해 Wistar계 흰쥐 수놈 36마리 (6~7주령)를 6개의 실험사료군으로 나누어 2주간 사육하며 그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체중증가 상황은 각단백-gramoxone군들의 경우 각 정상단백군에 비해 저조하였으며 저단백-gramoxone군에서 제일 심하였고 고단백-gramoxone군에서는 유의한 차가 없었다. 간의 지질함량변화는 각단백-gramoxone군들의 경우, 고단백-gramoxone군을 제외하고 각 단백군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저단백-gramoxone군에서 가장 심하였다. 간장내 TBA가는 정상단백군, 저단백군, 고단백군 및 고단백-gramoxone군 사이에는 유의차가 없었으나 정상단백-gramoxone군과 저단백-gramoxone군의 경우 전자의 실험군들에 비해 매우 높았다. 정상단백군 및 고단백군의 간에서는 유의한 형태적인 변화가 없었으나 저단백군과 각단백-gramoxone군들에서는 정도의 차이는 이었으나 간조직의 변화가 나타났으며 간세포 지방변화 및 Kupffer 세포의 숫적인 증가가 관찰되었다. 특히 간세포 지방변화는 저단백-gramoxone군에서 심하였고 고단백-gramoxone군에서는 현저하지않았다. 간세포의 glycogen함량은 각단백-gramoxone군들에서 타군들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단백-gramoxone군에서 제일 심하였다. 제일심하였다.

  • PDF

Orotic acid 유발 흰쥐 지방간 개선에 미치는 발효당귀의 효과 (The Improvement Effect of Fermented Angelica gigas Nakai Powder Against Orotic Acid-induced Fatty Liver in Rats)

  • 안희영;박규림;조영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1-418
    • /
    • 2014
  • Monascus purpureus 균주에 의해 발효된 당귀분말을 Orotic acid-유발 지방간의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식이에 5% 수준으로 첨가하여 10일간 급여한 후 혈중 및 조직 내 산화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체중 증가량과, 식이 섭취량은 각 OA실험군 모두 감소 하였으나, 음료섭취량은 증가하였다. 간 기능 지표로 활용되는 혈중 AST, ALT, LDH, ALP 및 Cholinesterase 활성 변화 역시 정상 수치와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되었다. 각 조직과 혈청의 과산화지질(TBARS)을 측정한 결과 OA대조군에 비해 각 실험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그 중 발효당귀분말을 투여한 FAG군에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또한 미네랄 측정 결과 비헴철과 아연을 정상수치로 되돌려주는 기능이 있었으며, Orotic acid 지방간 유발로 인해 저하된 글루타치온 함량을 높여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의 실험결과 발효당귀는 간 조직 내 항산화 물질 증가에 의한 산화스트레스를 경감시킴으로써 향후 간 독성 개선 효능을 가지는 건강식품 개발 가능성이 높은 소재로 판단되어진다.

고지방 식이내 식이섬유질이 흰쥐의 레티놀 결합 단백질 (RBP, cRBP I, cRBP II)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Fibers on Retinol Binding Protein (RBP, cRBP I, cRBP II) Gene Expression in Rats Fed High Fat Diet)

  • 조민화;신동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38권10호
    • /
    • pp.817-826
    • /
    • 2005
  • Recently it has been reported that vitamin A and retinol binding proteins (RBPs) in blood and urine were changed in the condition of diabetes mellitus or hyperlipidemia. Fruits and vegetables are recommended to consume for the people suffered from these chronic degenerative diseases. The main components of fruits and vegetables are dietary fibers, for example cellulose and pectin, of which function to affect the absorption and excretion of dietary fat and fat-soluble substanc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dietary fibers on RBPs mRNA expression in liver, small intestine and serum of rat fed high fat diet during 4 weeks. Sprague-Dawley rats, weighing 121g on average,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17\%$ fat & cellulose supplement diet, HF0: $25\%$ fat & fiber free diet, B:.Uc: $25\%$ fat & cellulose supplement diet and HF0: $25\%$ fat & pectin supplement diet) . The rats fed high fat diet groups (HF0, HFC, HFP) tended to consume the food less than the control group, but FER of HF0 group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p < 0.05) . The weight of adrenal gland in high fat diet groups (HF0, HFC, HF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control. Total lipid in feces daily excreted and in liv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Total cholesterol in HFP group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at of HFC group. Serum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other group tended to lower than other groups and HDL cholesterol higher. Consequently, AI (atherogenic index) was the lowest in HFP group. Vit A contents in feces daily excreted tended to lower in high fat diet groups (HF0, HF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content in adrenal gland was the lowest in HF0 group, but not in liver. In HFP group were down-regulated cRBPI mRNA in liver and cRBPII mRNA in small intestine and up-regulated RBP and transthyretin expression in serum compared to the other groups. In conclusion, dietary fibers, especially pectin, in high fat diet might down-regulate the expression of CRBP I, CRBP II mRNA in liver and small intestine, but increase the secretion of RBP into serum and therefore inhance the bioavailability of Vit A through the body. (Korean J Nutrition 38(10): 817$\sim$826,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