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r Transplantation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8초

간 이식편의 체적 예측을 위한 2점 이용 간 분리 (Liver Splitting Using 2 Points for Liver Graft Volumetry)

  • 서정주;박종원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9B권2호
    • /
    • pp.123-126
    • /
    • 2012
  • 본 논문은 생체간이식 전에 복부 MDCT(Multi-Detector Computed Tomography) 영상에서 간 이식편의 체적을 간단하고 정확하게 계산하기 위하여 좌간과 우간을 나누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알고리즘은 기증자와 수혜자의 안전을 보장하기 위하여 시스템과 의료진의 상호작업을 최소화 하여 의료진이 수술 전 이식편의 판단을 정확하게 처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간이 추출된 영상에 좌간과 우간을 나눌 수 있는 2점(중간 정맥(MHV: Middle Hepatic Vein) 내부의 한 점과 좌우문맥(PV: Portal Vein) 분지부에서 한 점)을 선택한다. 선택된 중간정맥 내부의 점을 이용하여 중간정맥을 자동 인식한 후 중간정맥을 기준으로 절개선을 결정하여 문맥 분지부의 한 점을 연결하는 절개면을 형성한다. 좌간과 우간의 체적과 간 전체에 대한 좌우간의 비율을 계산한다. 계산된 체적의 정확성을 입증하기 위해 진단 방사선과 의사가 수동으로 처리하여 계산한 체적과 함께 수술 중 획득한 실측무게와 비교하였다. 실측무게와 수동으로 예측된 체적 사이의 오차에 대한 평균${\pm}$표준편차는 $162.38cm^3{\pm}124.39$이고, 실측무게와 2점을 이용하여 예측된 체적과의 오차에 대한 평균${\pm}$표준편차는 $107.69cm^3{\pm}97.24$이다. 실측무게와 수동으로 예측된 체적의 상관관계는 0.79이고, 실측무게와 2점을 이용하여 예측된 체적의 상관관계는 0.87이다. 그리고 2점을 선택한 후 좌우간을 분할하여 체적을 계산하는 시간을 측정하여 수술실에서 실시간으로 처리 가능한지의 여부를 확인하였다. 한 데이터세트($149.17pages{\pm}55.92$) 당 처리 시간의 평균${\pm}$표준편차는 $57.28sec{\pm}32.81$이다.

Protective effect of ultrasonication-processed ginseng berry extract on the D-galactosamine/lipopolysaccharide-induced liver injury model in rats

  • Nam, Yoonjin;Bae, Jinhyung;Jeong, Ji Hoon;Ko, Sung Kwon;Sohn, Uy Do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4호
    • /
    • pp.540-548
    • /
    • 2018
  • Background: Acute hepatic failure is a life-threatening critical condition associated with rapid deterioration of liver function and liver transplantation. Several studies have shown that Panax ginseng Mayer has antidiabet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However, the hepatoprotective effect of ginseng berry is still unveiled.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hepatoprotective effects of ultrasonication-processed ginseng berry extract (UGBE) on acute hepatic failure model in rats. Methods: Ginseng berry extract (GBE) was ultrasonically processed. The GBE, silymarin, and UGBE were orally administered to male Sprague-Dawley rats for 4 wk. Twenty-four h after the last administration, rats were challenged with D-galactosamine (D-GalN)/lipopolysaccharide (LPS). Results: After ultrasonication, the component ratio of ginsenosides Rg2, Rg3, Rh1, Rh4, Rk1, Rk3, and F4 in GBE had been elevated. Administration of UGBE significantly increased the survival rate of D-GalN/LPS-challenged rats. Pretreatment with UGBE significantly decreased serum alanine aminotransferase, aspartate aminotransferase, and total bilirubin levels in D-GalN/LPS-challenged rats in a dose-dependent manner. The levels of enzymatic markers for oxidative stress (superoxide dismutase, glutathione peroxidase, catalase, and glutathione) were increased by UGBE treatment in a dose-dependent manner. Tumor necrosis factor alphalevel,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activities, and nitric oxide productions were reduced by UGBE treatment. In addition, hemeoxygenase-1 levels in liver were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UGBE-treated group. The protein expression of toll-like receptor 4 was decreased by UGBE administration. Hematoxylin and eosin staining results also suppor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ing normal appearance of liver histopathology in the UGBE-treated group. Conclusion: UGBE showed a great hepatoprotective effect on D-GalN/LPS-challenged rats via the toll-like receptor 4 signaling pathway.

SARS-CoV-2 Antibodies in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 from a Pediatric Gastroenterology Outpatient Clinic

  • Kaya, Gulay;Issi, Fatma;Guven, Burcu;Ozkaya, Esra;Buruk, Celal Kurtulus;Cakir, Murat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25권5호
    • /
    • pp.422-431
    • /
    • 2022
  • Purpose: At the beginning of the Coronavirus disease (COVID-19) epidemic, physicians paid close attention to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to prevent transmission or a severe course of infection. We aimed to measure the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SARS-CoV-2) antibody levels in children with chronic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s to analyze the risk factors for infection and its interaction with their primary disease. Methods: This cross-sectional study analyzed SARS-CoV-2 antibody levels in patients with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s (n=141) and in healthy children (n=48) between January and February 2021. Results: During the pandemic, 10 patients (7%) and 1 child (2%) had confirmed COVID-19 infection (p=0.2). The SARS-CoV-2 antibody test was positive in 36 patients (25.5%) and 11 children (22.9%) (p=0.7). SARS-CoV-2 antibody positivity was found in 20.4%, 26.6%, 33.3%, and 33.3% of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s, chronic gastrointestinal tract diseases, cystic fibrosis, and liver transplantation recipients, respectively (p>0.05, patients vs. healthy children). Risk factors for SARS-CoV-2 antibody positivity were COVID-19-related symptoms (47.2% vs. 14.2%, p=0.00004) and close contact with SARS-CoV-2 polymerase chain reaction-positive patients (69.4% vs. 9%, p<0.00001). The use, number, and type of immunosuppressants and primary diagnosis were not associated with SARS-CoV-2 antibody positivity. The frequency of disease activation/flare was not significant in patients with (8.3%) or without (14.2%) antibody positivity (p=0.35). Conclusion: SARS-CoV-2 antibodies in children with chronic gastrointestinal and liver diseases are similar to that in healthy children. Close follow-up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long-term effects of past COVID-19 infection in these children.

A Pharmacological Advantage of Ursodeoxycholic Acid in Cytoprotection in Primary Rat Microglia

  • Joo, Seong-Soo;Hwang, Kwang-Woo;Lee, Do-Ik
    •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 /
    • 제1권1호
    • /
    • pp.40-45
    • /
    • 2005
  • Ursodeoxycholic acid (UDCA) has long been used as an adjuvant or first choice of therapy for liver disease. Commonly, UDCA has been reported to play a role in improving hyperbilirubinemia and disorder of bromsulphalein. More commonly, UDCA has been used in reducing the rate of cholesterol level in bile juice that can cause cholesterol stone. The effects on the promotion of bile acid release that leads an excretion of toxic materials and wastes produced in liver cells as well as various arrays of liver disease such as hepatitis. Other than already reported in clinical use, immunosuppressive effect has been studied, especially in transplantation. In the study, we hypothesized that UDCA might have a certain role in anti-inflammation through a preventive effect of pro-inflammatory potentials in the brain macrophages, microglia. We found that the treatment of $200\;{\mu}g/ml$ UDCA effectively suppressed the pro-inflammatory mediators (i.e. nitric oxide and interleukin-$1{\beta}$) in rat microglia compared to comparators. Interestingly, RT-PCR analysis suggested that UDCA strongly attenuated the expression of $IL-1{\beta}$ that was comparable with cyclosporine A at 48 h incubation. Conclusively, we found that UDCA may playa cytoprotective role in microglial cells through direct or indirect pathways by scavenging a toxic compound or an anti-inflammatory effect, which are known as major causes of neurodegenerative diseases.

Advances in Management of Hepatocellular Carcinoma

  • Intaraprasong, Pongphob;Siramolpiwat, Sith;Vilaichone, Ratha-kor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7권8호
    • /
    • pp.3697-3703
    • /
    • 2016
  •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the most frequent type of malignant liver tumor and a high impact health problem worldwide. The prevalence of HCC is particularly high in many Asian and African countries. Some HCC patients have no symptoms prior to diagnosis and many of them therefore present at late stage and have a grave prognosis. The well-established causes of HCC are chronic hepatitis B virus (HBV) or chronic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or alcoholic cirrhosis and nonalcoholic steatohepatitis. The Barcelona Clinic Liver Cancer (BCLC) Staging System remains the most widely used for HCC management guidelines. To date, the treatments for HCC are still very challenging for physicians due to limited resources in many parts of the world, but many options of management have been proposed, including hepatic resection, liver transplantation, ablative therapy, chemoembolization, sorafnib and best supportive care. This review article describes the current evidence-based management of HCC with focus on early to advance stages that impact on patient overall survival.

총담관 결석 환자에서 내시경적, 경피적 담관 시술 후 발생한 담관 원주 증후군 (A Case of Biliary Cast Syndrome After Endoscopic and Percutaneous Management of Common Bile Duct Stone)

  • 박재춘;박정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1호
    • /
    • pp.224-229
    • /
    • 2022
  • 담관 원주 증후군은 간이식을 받은 환자들에게서 발생하는 흔치 않은 합병증이다. 간이식을 받은 환자의 약 5%-18%에서 발생한다. 간이식을 받지 않은 환자에게서 드물게 담관 원주 증후군이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이식 후 담관 손상, 허혈, 담도 감염, 수술 후 거치된 담도 배액관 등이 병리요인으로 제안되었으나 담도 원주의 병리현상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다. 이에 저자들은 간이식을 받지 않은 49세 남성에게서 총담관 결석에 대해 내시경과 경피적 담관 조영 시술 후에 발생된 담관 원주 증후군의 사례를 소개한다.

16년간 단일기관에서 시행된 소아 간이식 후 세균 감염 합병증의 특징 (Bacterial Infection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in Children: Single Center Study for 16 Years)

  • 김재춘;김수지;윤기욱;최은화;이남준;서경석;이광웅;이환종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25권2호
    • /
    • pp.82-90
    • /
    • 2018
  • 목적: 16년간단일기관에서시행된간이식후소아에서발생한세균감염합병증의빈도와특징을분석하기위해시행되었다. 방법: 2000년 1월부터 2015년 6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간이식을 시행 받은 207명 소아 중 다장기 이식이나 2번 이상의 간이식을 시행 받은 18명을 제외한 189명이 연구에 포함되었다. 감염 증상과 더불어 병원체가 증명된 세균 감염 만을 대상으로 하여 감염성 질환의 종류 및 발생 시기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189명의 간이식 소아의 중간연령은 24개월(2개월-16세)이었으며, 수술 후 1년 간 추적 관찰 하였다. 총 87명(46.0%)에서 132건(0.7건/명)의 세균 감염이 발생하였다. 균혈증(n=39, 29.5%), 복막염(n=28, 21.2%), 요로감염(n=25, 18.9%), 폐렴(n=20,15.2%)의 순이었다. 그람양성균이 66건(50%), 그람음성균이 66건(50%)에서 확인되었다. 세균 감염은 이식 후 1개월 이내에 84건(63.6%), 1-6개월에 32건(24.2%), 6개월 이후에 16건(12.1%)으로 이식 초기에 유의하게 많았다(P<0.05). 가장 흔한 그람양성균은 Staphylococcus aureus (n=20, 15.2%) 와 Enterococcus species (n=20, 15.2%) 였으며, 그람음성균은 Klebsiella species (n=18, 13.6%), Enterobacter species (n=13, 9.8%), Escherichia coli (n=11, 8.3%) 순으로 많았다. 이 중 7명(41%)이 감염성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균혈증 4명, 복막염 1명, 폐렴 2명). 결론: 지난 16년 간 본 기관에서 소아에게 시행한 간이식 후 발생한 감염성 합병증의 빈도와 종류는 기존의 연구들과 비슷하였다. 간이식 후 소아에서 세균 감염 합병증은 이식 후 1개월 이내에 가장 많이 발생하며, 1개월이 지난 후에도 중증의 세균 감염으로 인한 사망률이 높아 6개월 전까지는 면밀한 세균 감염 합병증의 진단 및 치료가 필수적이다. 본 연구를 통해 향후 간이식의 예후 향상을 위한 연구의 토대가 될 것을 기대한다.

Alagille 증후군 환아의 임상 양상과 장기 예후에 대한 연구 (Clinical manifestation and outcome of alagille syndrome in Korea: a study of 30 patients)

  • 신지연;김유정;서정기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9권10호
    • /
    • pp.1067-1072
    • /
    • 2006
  • 목 적 : Alagille 증후군에 대하여 국내 증례 보고가 된 바 있으나 국내 Alagille 증후군 환자의 임상 양상에 대한 종합적인 분석은 없는 실정이다. 이에 국내 Alagille 증후군 환자의 임상양상과 장기 예후, 예후에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방 법 : 1984년 7월부터 2006년 5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 소아과를 방문하여 Alagille 증후군으로 진단받은 3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만성 쓸개즙정체, 심혈관계 질환, 척추 이상, 눈의 이상, 특징적 얼굴형, 검사 결과, 예후를 기록지를 통하여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결 과 : 만성 쓸개즙정체를 보인 환자가 100%, 심혈관계 이상이 있는 환자가 84.4%, 골격계 이상이 있는 경우가 30.0%, 안구의 이상이 있는 경우가 43.3%, 특징적 얼굴형을 보이는 경우가 100%였다. 30례의 환자 가운데 17례는 2세 경에 만성 쓸개즙정체가 호전되었고, 13례는 2세 이후에도 만성 쓸개즙정체가 지속되었다. 2세 경에도 만성 쓸개즙정체가 지속되는 환자는 합병증의 빈도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30례의 환자 가운데 Alagille 증후군으로 인한 사망이 6례였고 이중 5례가 간질환의 합병증으로 사망하였다. 결 론 : Alagille 증후군 환자에서 간질환의 합병증이 사망의 중요한 원인이 되므로 이에 대한 주의 깊은 추적 관찰이 필요하며, 2세경에도 만성 쓸개즙정체가 호전되지 않는 경우 간이식을 요하거나 사망하는 빈도가 높으므로, 2세경에도 만성 쓸개즙정체가 지속되면 간이식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담도폐쇄증의 수술 후 영상 소견 (Postoperative Imaging Findings of Biliary Atresia)

  • 황지선;윤희망;김평화;남궁정만;오석희;정아영;이진성;조영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5호
    • /
    • pp.1014-1031
    • /
    • 2022
  • 신생아 황달의 주요 원인인 담도폐쇄증은 Kasai portoenterostomy가 기본적인 치료 술식이다. 수술 이후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는데 portoenterostomy를 통해 발생하는 상행성 담도염이 가장 흔하다. 성공적인 Kasai portoenterostomy 후에도 간 섬유화가 진행할 수 있어 이로 인한 간경화, 문맥 고혈압으로 인한 합병증이 많은 경우에서 발생하게 된다. 합병증이 조절되지 않거나 진행성 고빌리루빈혈증이 있는 경우 간이식을 시행하게 된다. Kasai portoenterostomy 이후 합병증 확인 및 장기 생존 환자의 추적 검사로 다양한 영상 진단이 주요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간이식이 필요한 경우 이식 전후로 공여자 및 수혜자 모두에서 수술 금기 확인 및 합병증 조기 발견을 위해 영상 검사들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초음파 검사가 추적 관찰에 가장 먼저 사용되는 유용한 검사이며 추가적으로 CT 및 MRI를 통해 진단에 도움을 받을 수 있다.

장기이식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Organ Transplant Recipients)

  • 김금순;강지연;정인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65-375
    • /
    • 2003
  •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nd related factors of organ transplant recipients.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88 people who had liver(86), kidney(81), or heart(24) transplanted. Data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transplantation-related characteristics, symptom frequency or discomfort measured by Transplant Symptom Frequency and Symptom Distress Scale by Lough et al(l987),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measured by SF-36(version 2) were collected. Result: Overall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score was 492.1 for 100scoring and, 344.9 for norm based. Physical functioning showed the highest quality of life score (77.5) and vitality showed the lowest(51.l). The kidney transplanted showed the highest quality of life (504.4) and the heart transplanted showed the lowest(426.7) Quality of life was related with occupation(p=.016) and symtom discomfort(p < .0001). Conclusion: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of transplated patients was lower than the norm of American. Further studies need to be done to identify the norm of Korean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releving symptom discomfort on the increasing the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