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 load

검색결과 341건 처리시간 0.031초

활하중 분배계수식 개발을 위한 I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구조해석 모델 (Structural Analysis Models to Develop Live Load Distribution Factors of Simply Supported Prestressed Concrete I-Girder Bridge)

  • 이환우;김광양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91-101
    • /
    • 2008
  • I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활하중 분배계수식을 개발하기 위한 구조해석 모델은 해석결과의 적정성과 함께 모델링의 용이성도 동시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 그 이유는 활하중 분배계수식의 개발 과정에서 무수히 많은 횟수의 구조해석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와 설계실무에서 사용하고 있는 모델들을 비교하여 적정한 구조해석모델을 선정하였다. 또한 수치해석과 재하시험 결과와의 비교를 통하여 방호벽과 가로보의 휨 강성이 활하중분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서 I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구조해석에는 편심을 반영한 거더, 방호벽 및 가로보를 바닥판에 연결시킨 모델이 해석결과의 정확성과 모델링의 편이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측면에서 적합하였다. 그러나 방호벽은 강성변화에도 불구하고 활하중분배에 미치는 영향이 미소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편심을 고려한 가로보는 휨 강성 25% 이상에서는 강성변화에 따른 영향이 적었다. 따라서 거더는 바닥판과의 편심을 고려하여 강체요소로 연결하고, 방호벽은 무시하고, 가로보는 전 단면이 유효한 것으로 가정한 상태에서 편심을 주지 않는 모델을 I형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 교량의 활하중 분배계수식의 개발을 위한 최종 구조해석 모델로서 선정하였다.

Rapid assessment of suspension bridge deformation under concentrated live load considering main beam stiffness: An analytical method

  • Wen-ming Zhang;Jia-qi Chang;Xing-hang Shen;Xiao-fan Lu;Tian-cheng Liu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88권1호
    • /
    • pp.53-65
    • /
    • 2023
  • With the gradual implementation of long-span suspension bridges into high-speed railway operations, the main beam's bending stiffness contribution to the live load response permanently grows. Since another critical control parameter of railway suspension bridges is the beam-end rotation angle, it should not be ignored by treating the main beam deflection as the only deformation response. To this end, the current study refines the existing method of the main cable shape and simply supported beam bending moment analogy.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main beam is considered, and the main beam's analytical expressions of deflection and rotation angle in the whole span are obtained using the cable-beam deformation coordination relationship. Taking a railway suspension bridge as an example, the effectiveness and accuracy of the proposed analytical method are verified by the finite element method (FEM). Comparison of the results by FEM and the analytical method ignoring the main beam stiffness revealed that the bending stiffness of the main beam strongly contributed to the live load response. Under the same live load, as the main beam stiffness increases, the overall deformation of the structure decreases, and the reduction is particularly noticeable at locations with original larger deformations. When the main beam stiffness is increased to a certain extent, the stiffening effect is no longer pronounced.

공동주택 음원실 바닥의 하중 설치에 따른 중량충격음 특성에 관한 연구 (The Research of the Heavy-Weight Impact Sound Characteristic by Live load Installation on the Source Room)

  • 김경우;양관섭;손장열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235-242
    • /
    • 2007
  •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측정 및 평가는 주로 입주 전에 이루어지고 있으나 실제 충격음 발생은 입주 후 커튼과 가구와 같은 중량물이 설치되어 있는 조건이므로 입주 전 후 음원세대(음원실)와 수음세대(수음실)의 상황은 다르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음원실에 가구 등과 같은 하중 설치에 따른 중량충격음 변화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바닥충격음 시험동과 현장에서 활하중($200kg/m^2$) 설치 전 후의 음원실 바닥슬래브 하부 진동가속도레벨 및 수음실 충격음레벨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하중설치를 통하여 진동가속도레벨 및 충격음레벨이 다소 저감되었으나 큰 영향은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슬래브의 공진주파수도 변화하지 않았다.

활하중 분포에 따른 콘크리트 부유식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조성능 및 거동 (Structural Performance and Behavior of Concrete Floating Container Terminal by Live Load Distributions)

  • 이두호;정연주;유영준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호
    • /
    • pp.72-8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총 10가지 다양한 컨테이너 활하중 분포에 따른 콘크리트 부유식 컨테이너 터미널 하부슬래브의 휨응력분포와 변위분포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대상구조물의 구조성능과 거동을 수치해석적으로 검토하였다. 활하중 분포에 따른 구조성능 검토결과 3가지 하중분포 (A, B, D-type)는 인장거동을 보이며, 그 외의 7가지 하중분포 (C, E, F, G, H, I, J-type)에서는 압축거동을 나타내었다. 특히, D, F-type에서는 과도한 압축응력이 발생하였으며, 부력 프리플랙션 제어를 통하여 압축응력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활하중 분포에 따른 구조거동 검토결과 B, E, F, I-type에 대한 부유구조체의 기울기가 메가플로트 기준을 초과하였으며, 이와 같은 하중분포는 컨테이너 적하 시에 회피해야 될 것으로 판단된다. 종합적으로, 부유식 컨테이너 터미널에 관련된 기준 및 연구가 많지 않은 현실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컨테이너 터미널의 구조성능 및 거동을 검토를 위한 초석이 될 것이며, 사용 가이드라인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동하중이 작용하는 비노출 방수층의 윤하중 시험방법 및 평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Blind Type of Waterproofing Layer of Wheel Tracking of Test Method and Valuation on Working of Live Load)

  • 엄덕준;선윤숙;권시원;오상근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05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5
    • /
    • 2005
  • There are a lot of problem about waterproofing membrane coating for concrete deck of bridge and waterproofing sheets for concrete of deck of bridge because it couldn't confirm waterproofing's defeat after construction. These problems make a waterproofing material damage and concrete deck of bridge damage. So It needs a lot of money for repair work and reinforcement work. Therefor the structure slab of using waterproofing material protect invasion of water. Also, Concrete deck of bridge need a endurance permeability for the reduction repair payment. In this study,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quality standardization test method waterproofing layer on working of live load

  • PDF

머신러닝을 이용한 선제적 VNF Live Migration (Proactive Virtual Network Function Live Migration using Machine Learning)

  • 정세연;유재형;홍원기
    • KNOM Review
    • /
    • 제24권1호
    • /
    • pp.1-12
    • /
    • 2021
  • VM (Virtual Machine) live migration은 VM에서 동작하는 서비스의 downtime을 최소화하면서 해당 VM을 다른 서버 노드로 이전시키는 서버 가상화 기술이다.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서는 로드밸런싱, 특정 위치 서버로의 consolidation 통한 전력 소비 감소, 서버 유지보수(maintenance) 작업 중에도 사용자에게 무중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목적 등으로 VM live migration 기술이 활발히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고장 및 장애 상황이 예측되거나 그 징후가 탐지되는 경우, 예방 및 완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두 가지 선제적(proactive) VNF live migration 방법을 제안하며, 첫 번째 방법은 서버 로드밸런싱에 VNF live migration 기법을 사용하며 두 번째 방법은 고장 예측에 기반하여 고장 회피 목적으로 VNF live migration을 사용한다. 선제적 migration을 위한 예측에 머신러닝(기계학습)을 활용하며 실험을 통해 그 실효성을 검증한다. 특히 두 번째 방법에 대해 vEPC (Virtual Evolved Packet Core)의 고장 상황을 case study한 결과를 제시한다.

BWIM 시스템을 이용한 고속도로 교량 차량하중 모형 개발 (Development of Statistical Truck Load Model for Highway Bridge using BWIM System)

  • 박민석;조병완;배두병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6권1A호
    • /
    • pp.143-153
    • /
    • 2006
  • 교량의 설계에 있어서 정확한 하중의 산정은 교량의 안전성 확보에 가장 핵심적인 사항이며 향후 유지 관리 측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교량에서 차량에 의한 하중효과는 주로 활하중(충격하중 포함) 및 피로하중으로 나타나는데 이들 하중의 정형화를 위해서는 실제 교량 상을 주행하는 중 차량의 중량 및 통행특성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 주행 중인 차량을 정지시키지 않고 중량을 계측할 수 있는 시스템(Bridge Weigh-In-Motion, BWIM)의 개발이 선행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기능을 갖는 BWIM시스템을 개발하고 이를 고속도로 교량에 적용하여 차량정보를 수집한 후 교량 설계를 위한 활하중 및 피로하중의 정형화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주행 중인 차량의 중량을 산정하는 BWIM시스템을 개발하여 시험 교량에 설치 한 후 교량거동의 계측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고속도로 교통량 특성을 반영하는 활하중의 정형화 및 합리적인 피로하중산정 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교량 구조의 하중분배 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Load distribution Effect for Bridge Structures)

  • 정철헌;오병환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2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34-239
    • /
    • 1992
  • Design live load and girder distribution factor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current design procedures. The fraction of vehicle load effect transferred to a single member may be selected in accordance with current KBDC. However, the specified values, both design load and distribution factors involve considerable inaccuracies, These inaccuracies relate to the uncertainties of the structural analysis, especially any bias and scatter which drives from the use of simplified load distribution factors. In this study , based on several field measurement and finite element analysis, live load distribution effects of current KBDC are evaluated. The final values of the bias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of "g"according to bridge type are determined. The bridge types are reinforced concrete slab, prestressed concrete girder and steel l-beam.el l-beam.

  • PDF

Effects of dead loads on the static analysis of plates

  • Takabatake, Hideo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42권6호
    • /
    • pp.761-781
    • /
    • 2012
  • The collapse of structures due to snow loads on roofs occurs frequently for steel structures and rarely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 Since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se structures is related to their ability to handle dead loads, dead loads are believed to play an important part in the collapse of structures by snow loads. As such, the effect of dead loads on displacements and stress couples produced by live loads is presented for plates with different edge conditions. The governing equation of plates that takes into account the effect of dead loads is formulated by means of Hamilton's principle. The existence and effect of dead loads are proven by numerical calculations based on the Galerkin method. In addition, a closed-form solution for simply supported plates is proposed by solving, in approximate terms, the governing equation that includes the effect of dead loads, and this solution is then examined. The effect of dead loads on static live loads can be explained explicitly by means of this closed-form solution. A method that reflects the effects of dead loads on live loads is presented as an example.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s an additional factor in lightweight roof structural elements, which should be considered due to their recent development.

제한 중량을 초과하는 기중기 차량 통행에 대한 콘크리트 교량의 안전성 평가 (Safety Evaluation of Concrete Bridges for Passage of Crane Vehicle Exceeding Weight Limit)

  • 이성재;유상선;박영환;백인열
    • 한국구조물진단유지관리공학회 논문집
    • /
    • 제24권6호
    • /
    • pp.92-101
    • /
    • 2020
  • 제한 중량을 초과하는 분리 불가능한 기중기 차량의 통행에 대한 교량 안전성 평가를 위한 합리적인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최근 도입된 신뢰도기반 도로교설계기준 한계상태설계법 개발에 적용된 동일한 방법을 기중기 차량 활하중계수 보정에 적용한다. 콘크리트 교량을 대상으로 구조해석을 수행하여 기존 설계기준에 의한 소요강도와 현행 설계기준 및 AASHTO LRFD에 의한 소요강도를 비교하고 실교량 단면의 설계강도를 비교하였다. 비계수 활하중 효과를 비교하면, 기중기 활하중이 현행 설계기준의 활하중과 기존 설계기준의 활하중보다 더 컸다. 보정된 활하중계수를 적용한 소요강도를 비교하면, 기존 설계기준의 소요강도가 가장 크고 기중기 활하중 효과는 현행 설계기준의 소요강도와 비슷하다. 기중기 통행 후보 노선 상의 실교량에 대한 안전성 평가 결과는 모든 교량에 대하여 설계기준에서 요구하는 목표신뢰도지수와 동일한 신뢰도를 확보하고 있으며, 실교량 강도는 기중기 통행에 필요한 소요강도보다 커서 대상 기중기 통행에 대한 안전성이 확인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