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ve Video Streaming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3초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휴대용 Http 라이브 스트리밍 전송기 구현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the implementation of Portable Http Live Streaming Transmitter based the Embedded Linux)

  • 이재희;조태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11호
    • /
    • pp.141-148
    • /
    • 2015
  • 기존 비디오 라이브 스트리머에 비해서 매우 저렴하고 저전력으로 휴대용으로 쉽게 동작하는 HLS(Http Live Streaming) 전송기를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으로 개발 및 구현하였다. HLS 전송기를 저렴하게 구현하기 위해 Arm11 프로세서 위에 임베디드 리눅스를 운영체제로 포팅 하였고 오픈 소스인 FFmpeg와 Segmenter을 이용하여 HLS 프로토콜을 구현하였다. 노트북, iPhone, android phone, 노트북을 수신단말기로 이용하여 개발한 임베디드 리눅스 기반의 휴대용 HLS 전송기의 성능을 평가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HLS 전송기는 애플사가 제안한 HLS 권고 규격 이상의 성능을 구현하였음을 성능평가 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개발한 제품의 활용분야는 실시간으로 현장의 위급상황을 현지 지휘소나 원거리 사령부에 전달해야하는 경우 HLS를 개인이 착용하여 이동하면서 실시간으로 상황영상을 전달하는 분야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간 고화질 영상에 대한 웹기반의 HLS 멀티뷰 시스템 설계 (Web-based HLS(Http Live Streaming) Multi-view System for Real-time High Quality Video)

  • 김대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312-318
    • /
    • 2017
  • 최근 고화질 영상 입력장치가 일반화 되고 있으며, 실시간으로 입력된 영상을 한 곳에서 동시에 볼 수 있는 중앙관제시스템이 필수 요소가 되고 있다. 이때 프로그램을 따로 설치하지 않고, 웹을 통한 접근을 하려는 시도들이 있으나, 여러 개의 고화질 영상을 동시에 웹 브라우저를 통해 시청하려하면, 웹 브라우저가 강제 종료되는 현상이 발생된다. 본 논문에서는 실시간 고화질 영상에 대한 웹기반의 HLS 멀티뷰 시스템을 제안한다. 화면으로 보이는 멀티뷰 화면을 트랜스코딩을 통해서 재구성하였고, 보안의 취약점이 있는 ActiveX를 사용하지 않으면서도, 통시에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여러 영상 입력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 하였다.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을 지원하는 RTC 기반 홈 게이트웨이의 설계 및 구현 (A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Home Gateway based on the RTC Technology Supporting Live Video Streaming)

  • 김혜선;황기태
    • 정보처리학회논문지C
    • /
    • 제12C권4호
    • /
    • pp.589-596
    • /
    • 2005
  • 본 논문은 흠 내부의 Non-SIP 기반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홈 외부의 SIP 기반 단말기로 비디오 스트림을 전송할 수 있는 흠 게이트웨이의 설계 구현에 목적이 있다. 홈 게이트웨이는 OSGi 프레임워크를 기반으로 하였으며 흠 내부의 기기로부터 흠 외부의 이동 중인 모바일 사용자를 연결하기 위해 SIP 스택을 내포하는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RTC 기술을 이용하였다. 홈 게이트웨이 상에, SIP 세션의 연결 등을 관리하는 RTC 번들을 개발하였으며, 홈 내부의 Non-SIP 기반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비디오 스트림을 읽기 위해 가상 비디오 캡쳐 드라이버를 개발하였다. 최종적으로 설계 구현된 홈 게이트웨이를 테스트하기 위해 SIP 프로토콜을 탑재한 윈도우 메신저를 흠 외부의 단말기로 설정하고 AXIS 2100 UPnP 비디오 카메라를 홈 네트워크에 연결하여 비디오 카메라로부터 이동중인 윈도우 메신저로의 세션 연결과 라이브 비디오의 스트리밍을 실험하고 확인하였다.

적응 버퍼링 성능분석 기반의 스마트 OTT 플랫폼 설계☆ (Design of Smart OTT Platform based on the Analysis of Adaptive Buffering)

  • 김인기;강민구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19-26
    • /
    • 2016
  • 본 논문에서는 채널상태에 동적으로 최적화한 HLS(Http Live Streaming)의 비트 율에 따라 전송하기 위해 적응 버퍼링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스마트 OTT(Over The Top) 플랫폼은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의 통신망 대역폭 용량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다중 비트율과 대역폭 조절기(resolution) 사이의 비디오 스트림의 전송속도를 조정하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적응 버퍼링은 기본적인 HLS 버퍼 구조에 2개의 버퍼를 추가한다. 적응 버퍼링은 이전 채널과 다음 채널을 지속적으로 버퍼링을 한다. 제안한 스마트 OTT 플랫폼의 적응 버퍼링은 단일 버퍼링의 정적 HLS 방식 보다 우수하다. 이러한 방식은 HLS 사용자가 가용 통신망 속도를 분석함으로서 스마트 OTT 단말의 적을 버퍼링 속도를 조절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로서 스마트 OTT가 비트 율을 동적으로 최적화함으로서 라이브와 VOD 형태의 비디오를 전송하도록 구축하였다. 세그먼트 형식의 H.265 MPEG-2 TS 비디오정보인 m3u8 파일을 활용함으로서 HLS의 서버가 통신망 상황에 맞게 연동할 수 있으며, PLC(Power Line Control) 전송과도 연동할 수 있다.

An Adaptive Buffering Method for Practical HTTP Live Streaming on Smart OTT STBs

  • Kim, Hyun-Sik;Kim, Inki;Han, Kyungsik;Kim, Donghyun;Seo, Jong-Soo;Kang, Mingoo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0권3호
    • /
    • pp.1416-1428
    • /
    • 2016
  • In this paper, we address the channel zapping time problem of video streaming services based on HTTP Live Streaming (HLS) on smart Over-The-Top Set-Top Boxes (OTT STBs). Experimental analysis of the channel zapping time, show that smart OTT STBs inevitably suffer from the accumulated zapping time through channel change request, 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IGMP) leave/join, synchronization delay, video buffer delay, and STB processing delay when providing HLS services. As a practical solution for the zapping time reduction, an adaptive buffering method is proposed. The proposed method exploits two adaptive buffers added to the basic HLS player. These two adaptive buffers are responsible for constantly buffering previous and next channels relative to the current channel. Implementation and test results show that a stable zapping time less than one second can be achieved even under diverse video bitrate changes and varying network conditions by the proposed adaptive buffering method.

Information Behavior on Social Live Streaming Services

  • Scheibe, Katrin;Fietkiewicz, Kaja J.;Stock, Wolfgang G.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4권2호
    • /
    • pp.6-20
    • /
    • 2016
  • In the last few years, a new type of synchronous social networking services (SNSs) has emerged—social live streaming services (SLSSs). Studying SLSSs is a new and exciting research field in information science. What information behaviors do users of live streaming platforms exhibit? In our empirical study we analyzed information production behavior (i.e., broadcasting) as well as information reception behavior (watching streams and commenting on them). We conducted two quantitative investigations, namely an online survey with YouNow users (N = 123) and observations of live streams on YouNow (N = 434). YouNow is a service with video streams mostly made by adolescents for adolescents. YouNow users like to watch streams, to chat while watching, and to reward performers by using emoticons. While broadcasting, there is no anonymity (as in nearly all other WWW services). Synchronous SNSs remind us of the film The Truman Show, as anyone has the chance to consciously broadcast his or her own life real-time.

DHT 오버레이 네트워크에서 클라우드 보조의 P2P 라이브 비디오 스트리밍 (Cloud Assisted P2P Live Video Streaming over DHT Overlay Network)

  • 림펑언;최창열;최황규
    • 전기학회논문지
    • /
    • 제66권1호
    • /
    • pp.89-99
    • /
    • 2017
  • Many works have attempted to solve the scalability, the availability, and the low-latency problems of peer-to-peer (P2P) live video streaming; yet, the problems still remain. While tree-based systems are vulnerable to churn, the mesh-based systems suffer from high delay and overhead. The DHT-aided chunk-driven overlay (DCO) [1] tried to tackle these problems by using the distributed hash table (DHT), which structures into a mesh-based overlay to efficiently share the video segment. However, DCO fully depends on the capacity of the users' device which is small and unstable, i.e., the users' device may leave and join the network anytime, and the video server's bandwidth can be insufficient when the number of users joining the network suddenly increases. Therefore, cloud assist is introduced to overcome those problems. Cloud assist can be used to enhance the availability, the low-latency, and the scalability of the system. In this paper, the DHT is used to maintain the location of the streaming segments in a distributed manner, and the cloud server is used to assist other peers when the bandwidth which required for sharing the video segment is insufficient. The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by using the threshold and cloud assist, the availability and the low-latency of the video segments, and the scalability of the network are greatly improved.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이 시청만족과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lassic Live Streaming Performance's Service Quality on Viewer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On-site Performance)

  • 김성경;임성준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1호
    • /
    • pp.60-72
    • /
    • 2020
  • 최근 라이브 스트리밍이 급부상함에 따라 클래식 공연예술의 시장범위 또한 변화하고 있다. 이제는 단순히 공연실황을 녹화하는 차원이 아닌 라이브 스트리밍 플랫폼에 특화된 콘텐츠가 제작되고 있으며, 라이브 스트리밍이 클래식 공연을 홍보하고 감상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 요인이 시청만족 및 나아가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시청자 198명을 대상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그 결과,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서비스 품질요인 중 실시간 상호작용성을 제외한 영상콘텐츠성과 편의성, 가격성이 시청만족에 영향을 미쳤고, 시청만족은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클래식 라이브 스트리밍 공연의 현장공연 홍보효과가 입증되었다. 본 연구는 실증분석을 통해 현장공연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 효과를 검증해 실질적인 전략수립의 단초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N-스크린 실시간 방송 서비스를 위한 광고 제공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dvertising System for N-Screen Live Streaming Service)

  • 최윤진;이상길;정병희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957-966
    • /
    • 2014
  • N-스크린 서비스는 소비자의 콘텐츠 소비 패턴이 다양화되고 방송사, 통신 사업자에서 단말기 제조사까지 참여하며 사업 영역이 확대되고 있다. N-스크린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수익원이 중요하다는 측면에서 광고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개발이 필요하게 된다. 특히 실시간성이 요구되는 TV 라이브 방송과 결합되는 경우, 기존 N-스크린 실시간 방송 시스템과 연계하여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N-스크린 서비스에서 활용도가 높은 동영상 광고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동영상 광고 제공을 위해 실시간 영상 대체 기능과 사용자별 광고 제공 기능을 구현하였으며, 광고 소재 관리와 통계 관리 기능을 광고 관리자에게 제공하였다. 개발된 시스템은 상용 N-스크린 서비스에 적용되어 동영상 광고를 제공하는 데 활용되고 있다.

Analysis and Improvement of MPEG-DASH-based Internet Live Broadcasting Services in Real-world Environments

  • Kim, Namgi;Lee, Byoung-Dai
    • KSII Transactions on Internet and Information Systems (TIIS)
    • /
    • 제13권5호
    • /
    • pp.2544-2557
    • /
    • 2019
  • Adaptive bitrate streaming is a crucial element in the implementation of high-quality streaming of media content over the Internet. Dynamic adaptive streaming over HTTP (MPEG-DASH) has lately emerged as the de facto solution for over-the-top (OTT) video streaming services. In this paper, we perform macro-level analysis on a real-world MPEG-DASH-based Internet live broadcasting service to gain insight into its behavior throughout the end-to-end service-provision chain, from broadcasters to viewers. Based on this analysis, we propose methods to improve the quality-of-experience (QoE) of MPEG-DASH-based services, particularly with regard to reducing broadcasting delays between recording and viewing of videos, as well as synchronizing client termina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