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tle millet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Development of EST-SSR markers for genetic diversity analysis in little millet (Panicum sumatrense) genetic resources

  • Lee, Myung-Chul;Choi, Yu-Mi;Lee, Sukyeung;Yoon, Hyemyeong;Oh, Sejong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18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74-74
    • /
    • 2018
  • Little millet (Panicum sumatrense) is well known for its salt and drought stress tolerance and high nutritional value, but very limited knowledge of genetic variation and genomic information is available. This study was to develop highly polymorphic EST-SSR markers based on cross-species transferability of derived SSRs from switchgrass EST databases and characterize newly developed EST - SSRs to better understand the genetic diversity of collected 37 germplasm accessions of little millet. A total of 779 primer pairs were designed from the 22,961 EST sequences of switchgrass (Pancium virgatum), of which 48 EST - SSR marke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rials of transferability of these primers in little millet. The EST - SSR amplicons showed reproducible single band polymorphism and produced a total of 160 alleles with an average of 3.3 alleles per locus in 37 accessions of little millet. T he average values of expected and observed heterozygosities were 0.266 and 0.123, respectively. T h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were observed in range of 0.026 to 0.549 with an average of 0.240. The genetic relatedness among the little millet accessions was evaluated by neighbor-joining dendrogram, which grouped all accessions into two distinct groups. The validation thus demonstrated the utility of the switchgrass EST - SSR markers in assessing genomic relationships in little millet. T he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designing strategies for the identification of diverse germplasm for conservation and future molecular breeding programs for little millet.

  • PDF

Development of EST-SSRs and Assessment of Genetic Diversity in Little Millet (Panicum sumatrense) Germplasm

  • Ali, Asjad;Choi, Yu-Mi;Hyun, Do-Yoon;Lee, Sukyeung;Kim, Jin-Hee;Oh, Sejong;Lee, Myung Chul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87-297
    • /
    • 2017
  • Little millet (Panicum sumatrense) is well known for its salt and drought stress tolerance and high nutritional value, but very limited knowledge of genetic variation and genomic information is available. In this study, a total of 779 primer pairs were designed from the 22,961 EST sequences of switchgrass (Pancium virgatum), of which 48 EST-SSR markers were developed based on the trials of transferability of these primers in little millet. The EST-SSR amplicons showed reproducible single band polymorphism and produced a total of 160 alleles with an average of 3.3 alleles per locus in 37 accessions of little millet. The average values of expected and observed heterozygosities were 0.266 and 0.123, respectively. The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 (PIC) values were observed in range of 0.026 to 0.549 with an average of 0.240. The genetic relatedness among the little millet accessions was evaluated by neighbor-joining dendrogram, which grouped all accessions into two distinct groups. The validation thus demonstrated the utility of the switchgrass EST-SSR markers in assessing genomic relationships in little mille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could be useful for designing strategies for the identification of diverse germplasm for conservation and future molecular breeding programs for little millet.

진주조의 파종기이동에 따른 유효적산온도 및 생산성 (Growing Degree Days and Productivity by Shifting Planting Dates in Pearl Millet)

  • 최병한;박근용;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122-125
    • /
    • 1990
  • 양질 다수성 신사료작물 진주조의 파종적기 및 파종기 이동에 따른 유효적산온도 및 생산성의 변이를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 I(Australia), II(Suwon 1)로 나누어 1986-88년에 수원, 춘천, 대전, 진주, 무안, 제주에서 4월 15일부터 7월 15일까지 15일 간격으로 시험하였던 바 그 결과의 개요는 다음과 같다. 1.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출아일수가 12일에서 3일까지 단축되었고 유효적산온도는 평균 32.1$^{\circ}C$였다. 2. 출수일수는 파종기가 늦어짐에 따라서 96일에서 54일까지 크게 단축되었으나 유효적산온도는 평균 697$^{\circ}C$였으며 변이계수도 6으로 매우 낮았다. 3. 종실용 진주조의 경제적 파종시기는 5월 상순부터 6월 하순까지였다. 수확지수도 6월 하순까지는 큰 변이가 없었으나 7월 15일 파종구는 급격히 낮아졌다. 4. 청예용 진주조의 경제적 파종시기는 5월 중순부터 6월 중순까지였으며 파종적기는 5월중순이었다. 특히 7월 상순 파종부터는 청예수량이 급격히 낮아졌다.

  • PDF

열풍건조에 따른 선식용 곡류원료의 미생물 및 이화학적 특성 (Microbi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n Raw Cereal for Sunsik by Hot-air Drying Methods)

  • 김진희;양지영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415-419
    • /
    • 2012
  • 선식용 원료로 사용되는 검정쌀, 검정콩, 차조를 원료로 사용하여 열풍건조에 따른 물리화학적 효과와 미생물학적 효과를 조사하였다. 일반성분의 경우 대조구에 비해 수분함량은 8%정도로 건조하였으며 이에 따라 단백질, 탄수함량, 지질, 회분의 성분이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나 건조온도에 따라서는 유의차가 없는 범위에서 차이가 없었다. 색차의 경우 L값, a값, b값이 증가하였으나 흑미의 경우 b값이 변화가 없었으며, 차조는 L값이 차이가 없었다. 건조조건에 선식원료의 물성을 측정한 결과, 대조구에 비해 건조 선식용 시료는 물성이 감소하였으며 건조온도가 높을수록 물성치는 증가하였다. 건조조건에 따른 선식용 원료의 미생물 변화를 살펴본 결과 총균수는 2 log 내지 3 log 감소하였으며 B. cereus를 제외하고는 다른 병원성 미생물은 검출되지 않았다.

식품에서 메밀 성분의 검출을 위한 PCR 방법 (A PCR Method for Rapid Detection of Buckwheat Ingredients in Food)

  • 전영준;강은실;홍광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76-280
    • /
    • 2007
  • 메밀은 과민한 사람에게 식품알레르기를 일으킬 수 있다. 메밀 보통종의 BW10KD 단백질은 알레르기 유발단백질중의 하나로 알려져 있다. 가공식품에 함유된 메밀성분을 검출하기 위하여 메밀의 알레르기 유발단백질인 BW10KD의 유전자에 특이적인 primer를 사용하는 Polymerase Chain Reaction(PCR) 방법을 개발하였다. BW10KD유전자의 cDNA 염기서열을 이용한 5종의 primer sets로 7종의 다른 곡류 및 두류(보리, 밀, 조, 수수, 대두, 팥, 검은콩)에 대해 PCR을 수행한 결과, 사용한 primer set 모두 메밀에만 특이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메밀 특이적 PCR방법을 이용하여 12종의 가공식품(메밀가루, 메밀국수, 메밀묵, 밀국수, 라면, 검은깨죽, 선식, 과자, 미숫가루 및 3종류의 시리얼)을 조사한 결과 메밀가루, 메밀묵 그리고 메밀국수가 메밀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메밀특이적 PCR 방법은 메밀 보통종의 DNA를 1 ng까지 검출할 수 있었다. 본 PCR 방법은 식품 중에 함유된 메밀 성분을 신속 정확하게 검출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선식용 곡류원료의 위해미생물 제거를 위한 세척방법에 따른 효과 (Analysis of Harmful Microorganisms in Raw Cereal Materials and Processing Environment for Sunsik)

  • 김진희;양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565-568
    • /
    • 2012
  • 선식에 사용되는 곡류의 종류도 다양하고 오염미생물의 종류도 다양하여 곡류는 크기 모양 등을 고려하여 검정콩, 찹쌀, 수수의 3종류를 대상으로 피검균은 대장균을 인위적으로 오염시켜 세척조건에 따른 효과를 조사하였다. 초기 원료에 비해 세척횟수를 증가하여도 세척에 의한 오염균 감소효과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척수량도 원료대비 200%의 경우가 오염균 감소에 약간 영향을 미치었으나 큰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세척 수 온도를 찬물이 아닌 $40^{\circ}C$의 물로 세척 시 1 log 이상의 오염균 감소효과를 보았다. 세척방법 시 염수를 첨가한 세척수의 사용 시 5% 정도가 적당하였으며 염수 처리 시 2 log 내지 3 log 정도의 감소효과를 관찰 하였다. 그러나 염류의 사용은 짠맛을 최종제품에 주게 되므로 염류를 제거하기 위한 세척공정이 추가로 필요하게 되며 완전한 염류의 제거를 위해서는 많은 양의 세척수량이 추가로 필요하게 된다.

Composition and Utilization of Urban Garden Space Using the Planting System Design Process

  • Hong, In-Kyoung;Yun, Hyung-Kwon;Lee, Sang-Mi;Jung, Young-Bin;Lee, Mi-Ra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615-624
    • /
    • 2020
  • Background and objective: Urbanization caused a reduction in urban green space and a lack of community spaces. An attempt to solve these problems, urban gardens, have become popular and are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various downtown areas. However, urban gardens have some inadequate aspects from a visual or landscape perspective.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ossibility of an aesthetic and productive garden space by introducing cultivation methods through the planting system design process. Methods: The design process using plants was classified and presented to suggest the importance of the landscape and aesthetic value. An urban garden space was designed according to the perspective of 'production scenery' and 'participation aesthetic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plant, urban gardens were divided into vertical type (corn, millet, sorghum), climbing type (kidney bean, cucumber, bitter gourd), and runner type (melon, watermelon, peanut). After classifying plants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root, the structure supporting climbing was installed and the crops were cultivated in an upright form with a tunnel. Results: In the designed cultivation, each crop cooperates, without invading each other's space.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cultivation,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production, and management was made more convenient since weed outbreaks were effectively suppressed while runner type crops cover over the land's surface. Since the positions of each crop are clearly distinguished, the aesthetic value is improved by offering a sense of rhythm with a balanced desig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cultivation methods through the plant system design process have aesthetic as well as productive value, and the design using plants, an infinite living resource, could lead to an expansion of the design field. Moreover, it would enable a sustainable symbiosis between industry and environment. There is potential for the design industry to make significant progress through collaboration with agriculture, horticulture, and landscape architecture.

가자미 식해(食醯)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ik-hae Fermentation Made by Flat-fish)

  • 이철호;조태숙;임무현;강주회;양한철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53-58
    • /
    • 1983
  • 본 연구는 전통적인 함경도식 가자미 식혜를 제조하여 실온(20$\pm$3$^{\circ}C$)에서 1개월 동안 저장하면서 그 숙성기간 동안의 여러가지 화학적, 물리적변화를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숙성기간동안 일반성분의 변화는 거의 없었으며. 수분은 66.0%, 조단백 15.6%, 조지방 1.15%, 조회분 7.62% 수준이었다. pH는 열성 7일경부터 4.5~4.6으로 숙성 종말까지 거의 일정하였으며, 산도는 숙성의 진행과 함께 증가하나 냉장고(5$^{\circ}C$)에 저장했을 때 다시 1.9%까지 감소하였다. Amino-N은 숙성 14일에 673.63mg%로 최고에 달하였으며 이 때가 식혜 맛이 가장 좋았다. VBN은 숙성 종말까지 계속 증가하였다. 또한 TMA는 숙성 초기에는 약 7mg%였으나 숙성 14일 이후 16mg%까지 증가하였다. 유기산중에는 lactic acid가 가장 우세하여 숙성 28일에는 2.7%에 달하였고 그 외에 pyruvic acid, succinic acid, fumaric acid등이 들어 있었다. 지방분해균은 숙성 8일 이후 거의 검출되지 않았고, 단백분해균은 숙성 14일에 $10^4$~$10^{5}$g으로 최대가 되었으며 Acid forming bacteria는 18일에 $10^{7}$ /g까지 증가하다가 다시 감소하였다. 효소활성은 숙성 11일경이 가장 높았는데 이때의 lipase acitivity는 11.76u/$m\ell$였고, protease-activity는 53.5$\mu\textrm{g}$ tyrosine/$m\ell$였다. 식혜는 숙성중 점차 연화되어 숙성 3일에는 압출력이 160kg이었으나, 28일에는 42kg까지 감소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식혜의 최적 발효조건은 2$0^{\circ}C$에서 14일정도 발효되었을 때라고 생각된다.다.

  • PDF

압출성형기법에 의해 제조한 재성형 혼합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Reconstituted Multi-Grain by Extrusion Process)

  • 이영택;석호문;김성수;김경탁;홍희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963-968
    • /
    • 1997
  • 쌀밥에 곡류나 두류를 적당히 혼합하면 쌀에 부족된 영양적인면을 보완할 수 있으나 혼합취반에 따른 번거로움 때문에 쉽게 일상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을 감안하여 현미, 보리, 밀, 조, 수수, 콩, 팥 등의 원료를 일차 분쇄하고 혼합한 후 쌍축압출성형기를 사용하여 쌀알 형태로 성형하였다. 원료의 기본배합비를 현미 30%, 보리 30%, 밀 20%, 조 5%, 수수 5%, 콩 7%, 팥 3%로 결정하였으며 원료의 배합비율에 따른 압출성형조건으로 스크류 속도는 250 rpm, 가수율은 $24{\sim}30%$, 배럴온도는 $50{\sim}60^{\circ}C$로 설정하여 성형물의 팽화를 억제함과 동시에 $5{\times}0.8mm$ 직사각형의 토출구를 사용하고 절단칼의 회전속도 등을 조절하여 재성형 혼합곡을 성공적으로 제조하였다. 재성형 혼합곡립의 크기와 형태는 단립종 백미와 유사하였고 체적은 백미에 비해 약간 높았으며 침지에 의한 수화속도가 빨라 수분흡수율이 높게 나타났다. 취반 후 혼합곡립의 경도는 백미에 비해 약간 낮았고 부착성은 높았다. 압출성형기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재성형 혼합곡은 쌀밥에 영양성, 간편성, 기호성을 보충시킬 수 있는 주식개념의 혼합곡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큰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