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th the discovery of WooJam JabJeo, Jang-Taegyung[1809~1887] was highlighted as a noted doctor who won fame in the neighborhood of Gwangju, but with 'WoodJam Mango' seeing the light of day, this study was able to confirm the appearance of a literary man enjoying a reputation enough to sway literary circles with his writing of poems. It's possible to confirm his past related to medical service only until age of 42, which is because description in "WooJam JabJeo" came to a halt there. The situation is that the contents of 'WooJam Mango' started from age of 46 and were carried on even until after his death by his followers. Therefore, there exists a very intense impression that he might have put a focus on the life as a literary man ever after his mid-40s. and considering that he breathed his last at the age of 79, it's not difficult for us to estimate that his life was predominantly a series of literary activities rather than a health care provider. The place names appearing in "WooJam JabJeo" and "WooJam Mango" are limited to today's Jeonlanam-do, and this researcher would say that the through-composed poems, which sang of the beauty of Gwangju area scenery are the works, deserve to get a spotlight in local history even today. Through the above discussion, this study could prove that WooJam is a flawless figure enough to represent Gwangju and Jeonlanam-do as a health care provider and a literary person as well.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processes and patterns to build or synthesize class numbers in the 800 class of the Dewey Decimal Classification, Edition 20(1989).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 800(Literature and rhetoric) class in the DDC system is the main class added analytico-synthetic principle positively to an enumerative scheme. 2. The facets to be a n.0, pplied in literature are language literary form literary period ; kind, scope, or medium ; notation 08(collection) or 09(criticism) literary feature, subject, author, etc. 3. In the 800 class, there are the five tables of precedence for literary forms aspects ; specific kinds of persons ; literary, period in relation to the aspects for works treating more than one literary form subforms, aspects and literary periods in the works treating a specific literary form. 4. The basic number synthesis of literary works proceeds through the various facets in the following sequence, as far as necessary for the item : base no. + literary form + literary time or period + kind, scope, or medium + notation 08 or 09 + subform + additional notation from T3C and other tables. 5. In view of the multiplicity of facets, their synthesis formulas take the following order : (1) Works about the literature : base no.(schedule) + language(T6) or form(T3B) (2) Works by or about individual author : base no.(schedule) + form (T3A) + period(schedule) + subform(T3A) (3) Works by or about more than one author, not restricted by language facet : base no.(schedule) + period(T1) ; base no.(schedule) + kind, scope, medium(T3B), or feature(T3C), or person(T5). (4) Works by or about more than one author, restricted by language facet : base no.(schedule) + form (T3B) + period(schedule) + subform(T3B) + notation 08 or 09(T3B) ; base no.(schedule) + notation 08 or 09(T3B) + 9(T3C) + area notation(T2) : base no.(schedule) + form (T3B) + notation 008 or 009(T3B) : base no.(schedule) + form (T3B) + kind, scope, medium(T3B) + notation 08 or 09(T3B) + period(schedule). (5) Affiliated literatures for which period numbers are not us base no.(schedule) + form (T3A or T3B), or notation 08 or 09(T3B) : base no.(schedule) + kind, scope, medium(T3B), feature(T3C), or person(T5) 6. The problems in the number building of the 800 class are the complexity and difficulty of number synthesis, the intrinsic weakness of from distinction and the inconvenience of retrieval inherent in the form class.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therefore, the citation orders and methods of DDC should be improved and synthesis patterns simplified from the point of view of its applicability and its usefulness in the "literature class".
Among many literary isms, impressionism is often regarded as the most frank expression of personality. As a masterpiece of modernism, Ford Madox Ford's The Good Soldier is a celebration of the subjectivity which reflects the writer's experiential reality. For Madox Ford, art is not to achieve the true objectivity of human society, but to seize the momentary perception in personal life. As the beginning of modernism, Madox Ford's impressionaism was mostly devoted to give fictive life to subjective impressions. And his heroes are usually the egoless person who can absorb the intense rapidity of consciousness without any prejudice. However, the innocent mind's receptions of myriad impressions, like those of the protagonist John Dowell or his idealized version of Major Ashburnham in The Good Solidier, were described as the enjoyable yet deceptive ones in Madox Ford's works. To engrave more sold perceptive impressions into life, Madox Ford often contrasts or mixes truth with deception, life with death as he did in his real life. Speicially as the result of thick application of real-life subject matters to his writings, Madox Ford's literary works get more vivid colors and penetrating forms. Thus, his literary impressionism based upon his harsh and passionate realities overcomes the limitations of shifting moments of senses, demolishing the boundaries between what is objective and what is subjective, like post-impressionism or expressionism. Namely, as Walter Lowenfels said, Madox Ford did not follow the impossible objectivity passively, yet instead "knew how to invent the truth."
Symbol is one of the most profound ways to express the essence of human beings, as well as the most representative non-verbal communication medium. In this study, the descriptions of the clothing and ornaments of the main characters of the novel Little Women were excerpted from the Korean translation version. Based on the hidden symbols from the descriptions,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haracters of the novel through their clothing and ornaments, the connection between the clothing and the symbols reflecting the internal workings of the mind was analyzed based on the previous theories on symbols. As proven in this study, since the clothing and ornaments directly symbo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erson, without any explicit statements about his/her characteristics, the clothing itself speaks volumes about them. Clothing is the most accurate visual symbol that speaks of the person's social, economic, and psychological aspects. The use of special clothing and ornaments or the highlight on certain parts reveal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and his/her situations more effectively. In conclusion, literary, including novels well describes not only external factors, such as the social and cultural status of society and the character's economic situation, but also an individual's psychology such as his/her emotions and personalities. Therefore, the clothing that the character wears in a literary work symbolically reflects these factors.
18C 전반기는 다양한 시인들이 출현했던 시기이다. 소론과 남인 계열, 중인계층의 문인들 역시 활발한 문학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이 시기 남인문학을 주도했던 문인들은 소위 문외파로 불리던 사대부들이다. 이들 강박, 이인복, 이중환, 오광운, 강필신은 모두 근기 남인 계열의 사대부들이며, 백련시단의 구성원이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강박에게만 머물러 있었다. 강필신은 당대의 평가에 비해 그 실체를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강필신은 조선 후기 남인 계열의 대표적 문인이다. 강필신의 생애와 교유관계를 분석하면 그의 문학세계의 면모를 일정부분 확인할 수 있다. 강필신과 교유관계를 맺었던 인물들은 크게 셋으로 구분된다. 먼저 백련시단으로 대표되는 청남 계열 문인들로 주로 서울에서 활동하는 집단, 두 번째로 진주 강씨 가문, 세 번째로 강필신의 말년 세거지였던 경상도 지역의 문인들로 분류할 수 있다. 강필신의 교유관계는 시회(詩會)를 통해 이루어졌다. 시회는 기본적으로 강박을 비롯한 인척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다만 살고 있는 지역에 따라 시회의 구성원들이 달라졌다. 강필신은 서울과 경상도를 오가며 시회를 가졌다. 이는 강필신이 근기 남인으로서의 특징을 지니면서 동시에 영남 남인으로서의 정체성도 지니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강필신의 문학이 근기 남인과 영남 남인 사이에서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었는지 좀 더 면밀하게 고찰하면 조선 후기 서울과 지방의 문학 교류 양상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강필신의 문학에 대한 보다 면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tudy in depth about the life, activities, and achievements of the swimming gold medalist in Asian Game, Cho O-Ryun, to make systematic correction. This research mainly used literary data to try making theoretical contemplation, and to raise objectivity and substantiality of literary research, and to be devoted to limited literary contents, it used acquaintances who are related to this research, especially his wife, Lee Sung-Lan. Cho O-Ryun's thoughts in physical education can be described as nationalistic physical educational thoughts. He did not only have pride as Korean, and tried to show superiority of our nation to the world, but he also tried very hard to prove that Dok-do Island is a Korean territory and not Japan's. He lived with water all his life, showed his everything as a proud Korean, worked as the most patriotic person of 20thcentury in Korea, and became to be a hero, dream, and hope to people in Korea. Spent all his sweat and energy to our country Korea, Cho O-Ryun, he was this era's true hero.
이 글은 단국대학교 소장 한문본 "창선감의록" 소재 삽입 한시의 문학적 가치 해명을 목적으로 한 글이다. "창선감의록"의 저자가 한문에 대해 상당한 정도의 식견을 가진 인물이라고 유추된다는 점에서 "창선감의록"에 삽입되어 있는 한시는 저자의 문학적 역량을 살필 수 있는 단서가 될 것이다. "창선감의록"소재 한시에 대한 평가는 나아가 "창선감의록"의 문학적 가치와 저자의 소설 창작 능력, 작품 구성 능력을 확인할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창선감의록" 속의 삽입 한시는 작품의 구성이나 전개를 위한 필수요소가 아니라 인물의 성격과 상황에 대해 부연 설명하거나 증명하는 부가적 요소이다. 따라서 작품 전체에서 삽입 한시의 기능과 역할은 극히 제한적이지만, 이러한 삽입 한시를 소설의 저자가 작품 속에 수용한 것은 삽입 한시가 부가적 요소로써 수행하는 제한적 기능을 넘어 작품 전체의 문학성 강화에 기여하는 상당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즉, "창선감의록" 속 삽입 한시는 내용 전개나 작품 구성을 위한 필수요소는 아니었을지 모르지만, 작품의 소설적 흥미를 강화하는 이면적(裏面的) 요소로 상당한 기능을 했다고 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추론을 확정하기 위해서는 앞으로 더 많은 다양한 검증의 과정을 거쳐야 할 것이지만, "창선감의록" 소재 삽입 한시의 분석과 같은 고소설 소재 삽입 한시의 분석은 고소설의 문학적 성취를 추론하는 새로운 한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앞으로 조선조 소설 속 삽입 한시에 관한 연구와 관심의 폭이 보다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In the world history in the rein of totalitarianism cultural project of government had been activated, and consequently of it official culture had been organized. But at the same time on the other side of it people('narod'), who didn't have cultural means for active expression of own opinion on the reality, had expressed world-view and judgement informally in everyday language. In the literature of autocracy, subjected to censorship, had been expressed and fixed mythically idealized image of sovereign and his works. But in the folklore the image of ruler had been created by liberal fantasy of people. This article examined russian literature and folklore texts of 18 century, when russian people suffered from rapid and dramatic changes, caused by Peter I. Although russian literature of 18 century had gone over to the new literary regime, it still accepted political mechanism as dominant of age, and consequently in the literary texts of this century Peter I was represented as ideal person and great monarch. But various images in folklore texts show that people's opinion on ruler and his activities couldn't be controlled. In other worlds, diverse images of Peter I in folklore texts reflect clear and plain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eople. This analysis reveals not only difference between mechanism of idealization of government and historical consciousness of people, but also meaning of cultural memory as indicator of historical reality.
이 연구는 조선시대 독서왕 김득신의 독서기록인 "독수기"에 대한 조사 및 내용 분석을 진행하였으며, 다음과 같다. 첫째, "백곡집(柏谷集)" 현전본 중 김상형 소장본과 성대 존경각 소장본에 독수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둘째, "독수기(讀數記)"와 "고문삼십육수독수기(古文三十六首讀數記)"의 1) 기록순서, 2) 고문 수 기록의 차이, 3) 고문 제목의 차이, 4) 독수 횟수 기록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고문삼십육수독수기" 기록 이후 "독수기"로 추가 및 재편성하였다. 셋째, "독수기"에 기록되어 있는 36편의 고문에 대하여 조사 분석한 결과 1) 내용의 경우 주로 시문류를 읽었다. 2) 시문류 형식의 경우 주로 산문, 증서, 서간문, 잡설, 제문 등을 읽었다. 3) 저자의 경우 당나라 문인 한유의 고문을 가장 많이 읽었다. 4) 김득신은 한권의 책을 읽기보다는 문장 성격의 고문을 주로 읽었다.
이 논문은 현대소설사 연구에서 잊힌 작가 곽하신의 소설세계의 전체 면모를 복원, 분석함으로써 문학사의 외연을 확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곽하신 작품세계의 단절 내지 비연속성에 주목하여 식민지기와 전후로 시기를 크게 분절하고, 각 시기 작품세계의 특징을 로컬(식민 시기), 룸펜(전후), 경제적 인간(전후 일부 단편, 장편대중소설)이라는 세 좌표를 중심으로 분석하고자 한다. 2장 '로컬-『문장』지의 세계관'에서는 30년대 후반 『문장』지에 집중 발표된 곽하신의 소설이 사라져가는 것들에 대한 비애, 전근대적인 시간의식, 로컬-향토에 대한 지향성을 뚜렷하게 드러냈다는 점에서 일제 말기 문학의 한 흐름인 반(反)근대의 미의식을 구현하였다고 평가하였다. 3장 '룸펜-전후 남성(성)의 형성(1)'과 4장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 경제적 인물의 등장-전후 남성(성)의 형성(2)'에서는 50년대 말 전쟁이라는 비상시국을 경유해 전후 저개발 자본주의 국가에 진입한 한국사회의 현실이 한편으로는 룸펜, 루저 남성으로, 다른 한편으로는 공리주의나 승자독식의 세계관을 체현한 남성이라는 대조적인 남성-젠더의 출현으로 형상화 된다고 파악했다. 50년대 말 '룸펜' 소설들은 한국 경제의 문제점을 허약한 남성(성)을 통해 보여주었다. 남성-젠더/지식인은 삶의 토대가 마련되지 못 한 전후 현실에서 자신의 무능력과 불안을 여성/아내에게 투사하거나 도덕이나 친밀성보다 생존을 도모하는 길을 취한다. 특히 4장에서 분석한 대중소설 <여인의 노래>, <무화과(無花果) 그늘>에는 입신출세를 위해 동료를 배신하거나, 음모를 꾸미거나, 연애관계를 이용하여 여성의 성을 착취하는 성취지향적인 남성인물, 만인에 대한 만인의 투쟁 상태를 체현한 경제적 인간들이 등장한다. 자신이 살아남기 위해서 남을 밟고 일어서야 하는 약육강식의 경제적 인간이 전후 남성 젠더로 구축되는 과정을 선악의 대립이라는 대중소설의 형식을 빌려 보여주는 것이다. 지금까지 살펴본 바와 같이 곽하신은 식민 시기 한국어로 글쓰기, 문학 하기의 마지막 세대에 해당한다는 점, 저널리즘적 세태묘사, 대중소설의 양식을 빌려 전후문학의 범례를 제공했다는 점에서 문학사의 주변에서 외연을 확장한 작가로 재평가될 필요가 있다.
본 웹사이트에 게시된 이메일 주소가 전자우편 수집 프로그램이나
그 밖의 기술적 장치를 이용하여 무단으로 수집되는 것을 거부하며,
이를 위반시 정보통신망법에 의해 형사 처벌됨을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게시일 2004년 10월 1일]
이용약관
제 1 장 총칙
제 1 조 (목적)
이 이용약관은 KoreaScience 홈페이지(이하 “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인터넷 서비스(이하 '서비스')의 가입조건 및 이용에 관한 제반 사항과 기타 필요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규정함을 목적으로 합니다.
제 2 조 (용어의 정의)
① "이용자"라 함은 당 사이트에 접속하여 이 약관에 따라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받는 회원 및 비회원을
말합니다.
② "회원"이라 함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하여 당 사이트에 개인정보를 제공하여 아이디(ID)와 비밀번호를 부여
받은 자를 말합니다.
③ "회원 아이디(ID)"라 함은 회원의 식별 및 서비스 이용을 위하여 자신이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④ "비밀번호(패스워드)"라 함은 회원이 자신의 비밀보호를 위하여 선정한 문자 및 숫자의 조합을 말합니다.
제 3 조 (이용약관의 효력 및 변경)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에 게시하거나 기타의 방법으로 회원에게 공지함으로써 효력이 발생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이 약관을 개정할 경우에 적용일자 및 개정사유를 명시하여 현행 약관과 함께 당 사이트의
초기화면에 그 적용일자 7일 이전부터 적용일자 전일까지 공지합니다. 다만, 회원에게 불리하게 약관내용을
변경하는 경우에는 최소한 30일 이상의 사전 유예기간을 두고 공지합니다. 이 경우 당 사이트는 개정 전
내용과 개정 후 내용을 명확하게 비교하여 이용자가 알기 쉽도록 표시합니다.
제 4 조(약관 외 준칙)
① 이 약관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관한 이용안내와 함께 적용됩니다.
② 이 약관에 명시되지 아니한 사항은 관계법령의 규정이 적용됩니다.
제 2 장 이용계약의 체결
제 5 조 (이용계약의 성립 등)
① 이용계약은 이용고객이 당 사이트가 정한 약관에 「동의합니다」를 선택하고, 당 사이트가 정한
온라인신청양식을 작성하여 서비스 이용을 신청한 후, 당 사이트가 이를 승낙함으로써 성립합니다.
② 제1항의 승낙은 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과학기술정보검색, 맞춤정보, 서지정보 등 다른 서비스의 이용승낙을
포함합니다.
제 6 조 (회원가입)
서비스를 이용하고자 하는 고객은 당 사이트에서 정한 회원가입양식에 개인정보를 기재하여 가입을 하여야 합니다.
제 7 조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
당 사이트는 관계법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회원 등록정보를 포함한 회원의 개인정보를 보호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회원 개인정보의 보호 및 사용에 대해서는 관련법령 및 당 사이트의 개인정보 보호정책이 적용됩니다.
제 8 조 (이용 신청의 승낙과 제한)
① 당 사이트는 제6조의 규정에 의한 이용신청고객에 대하여 서비스 이용을 승낙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아래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 대해서 승낙하지 아니 합니다.
- 이용계약 신청서의 내용을 허위로 기재한 경우
- 기타 규정한 제반사항을 위반하며 신청하는 경우
제 9 조 (회원 ID 부여 및 변경 등)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에 대하여 약관에 정하는 바에 따라 자신이 선정한 회원 ID를 부여합니다.
② 회원 ID는 원칙적으로 변경이 불가하며 부득이한 사유로 인하여 변경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해당 ID를
해지하고 재가입해야 합니다.
③ 기타 회원 개인정보 관리 및 변경 등에 관한 사항은 서비스별 안내에 정하는 바에 의합니다.
제 3 장 계약 당사자의 의무
제 10 조 (KISTI의 의무)
① 당 사이트는 이용고객이 희망한 서비스 제공 개시일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보안시스템을 구축하며 개인정보 보호정책을 공시하고 준수합니다.
③ 당 사이트는 회원으로부터 제기되는 의견이나 불만이 정당하다고 객관적으로 인정될 경우에는 적절한 절차를
거쳐 즉시 처리하여야 합니다. 다만, 즉시 처리가 곤란한 경우는 회원에게 그 사유와 처리일정을 통보하여야
합니다.
제 11 조 (회원의 의무)
① 이용자는 회원가입 신청 또는 회원정보 변경 시 실명으로 모든 사항을 사실에 근거하여 작성하여야 하며,
허위 또는 타인의 정보를 등록할 경우 일체의 권리를 주장할 수 없습니다.
② 당 사이트가 관계법령 및 개인정보 보호정책에 의거하여 그 책임을 지는 경우를 제외하고 회원에게 부여된
ID의 비밀번호 관리소홀, 부정사용에 의하여 발생하는 모든 결과에 대한 책임은 회원에게 있습니다.
③ 회원은 당 사이트 및 제 3자의 지적 재산권을 침해해서는 안 됩니다.
제 4 장 서비스의 이용
제 12 조 (서비스 이용 시간)
① 서비스 이용은 당 사이트의 업무상 또는 기술상 특별한 지장이 없는 한 연중무휴, 1일 24시간 운영을
원칙으로 합니다. 단, 당 사이트는 시스템 정기점검, 증설 및 교체를 위해 당 사이트가 정한 날이나 시간에
서비스를 일시 중단할 수 있으며, 예정되어 있는 작업으로 인한 서비스 일시중단은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해 사전에 공지합니다.
② 당 사이트는 서비스를 특정범위로 분할하여 각 범위별로 이용가능시간을 별도로 지정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경우 그 내용을 공지합니다.
제 13 조 (홈페이지 저작권)
① NDSL에서 제공하는 모든 저작물의 저작권은 원저작자에게 있으며, KISTI는 복제/배포/전송권을 확보하고
있습니다.
②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상업적 및 기타 영리목적으로 복제/배포/전송할 경우 사전에 KISTI의 허락을
받아야 합니다.
③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보도, 비평, 교육, 연구 등을 위하여 정당한 범위 안에서 공정한 관행에
합치되게 인용할 수 있습니다.
④ NDSL에서 제공하는 콘텐츠를 무단 복제, 전송, 배포 기타 저작권법에 위반되는 방법으로 이용할 경우
저작권법 제136조에 따라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5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제 14 조 (유료서비스)
① 당 사이트 및 협력기관이 정한 유료서비스(원문복사 등)는 별도로 정해진 바에 따르며, 변경사항은 시행 전에
당 사이트 홈페이지를 통하여 회원에게 공지합니다.
② 유료서비스를 이용하려는 회원은 정해진 요금체계에 따라 요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제 5 장 계약 해지 및 이용 제한
제 15 조 (계약 해지)
회원이 이용계약을 해지하고자 하는 때에는 [가입해지] 메뉴를 이용해 직접 해지해야 합니다.
제 16 조 (서비스 이용제한)
① 당 사이트는 회원이 서비스 이용내용에 있어서 본 약관 제 11조 내용을 위반하거나, 다음 각 호에 해당하는
경우 서비스 이용을 제한할 수 있습니다.
- 2년 이상 서비스를 이용한 적이 없는 경우
- 기타 정상적인 서비스 운영에 방해가 될 경우
② 상기 이용제한 규정에 따라 서비스를 이용하는 회원에게 서비스 이용에 대하여 별도 공지 없이 서비스 이용의
일시정지, 이용계약 해지 할 수 있습니다.
제 17 조 (전자우편주소 수집 금지)
회원은 전자우편주소 추출기 등을 이용하여 전자우편주소를 수집 또는 제3자에게 제공할 수 없습니다.
제 6 장 손해배상 및 기타사항
제 18 조 (손해배상)
당 사이트는 무료로 제공되는 서비스와 관련하여 회원에게 어떠한 손해가 발생하더라도 당 사이트가 고의 또는 과실로 인한 손해발생을 제외하고는 이에 대하여 책임을 부담하지 아니합니다.
제 19 조 (관할 법원)
서비스 이용으로 발생한 분쟁에 대해 소송이 제기되는 경우 민사 소송법상의 관할 법원에 제기합니다.
[부 칙]
1. (시행일) 이 약관은 2016년 9월 5일부터 적용되며, 종전 약관은 본 약관으로 대체되며, 개정된 약관의 적용일 이전 가입자도 개정된 약관의 적용을 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