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Mohun(慕軒) Gang, pil-shin(姜必愼)'s life and Literature

모헌(慕軒) 강필신(姜必愼)의 생애와 문학연구

  • Received : 2017.11.28
  • Accepted : 2017.12.22
  • Published : 2017.12.30

Abstract

In the former half of the 18th century, For this period the literary people who led the literature of Nam'in were Sadaebu named the so-called Munoepa. There were Gang Pak(姜樸), Lee In-bok(李仁復), Lee Jung-hwan, Oh Gwang-un(吳光運), and Gang Pil-shin(姜必愼) in Munoepa(門外派). All these people as Sadaebu of Nam'in kept company with families of each other, had close relations from early childhood, and shared with same opinions in various ways like politics, culture, etc. They had intimate relationships not only in politics but also in literature, and primarily acted their part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literary circles in the first half of the 18th century. Many individual poets who achieved the outstanding literary accomplishment appeared in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especially in the eighteenth and nineteenth centuries. They actively made progress in their literary works with Sisa. The poets in similar positions had the Sisa to show their literary ability and check on their view about the literature. They briskly tried to express their own literary intention in activities of Sisa. Gang Pil-shin is a literary representative of the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Nam'in. Through the exchange relationship of Gang Pil-shin, we can confirm certain aspects of his literary world. People who have tied up with Gang Pil-shin a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First, it is a literary person in Geungi Nam'in literati, typified by Backryeonsidan, Jinju Gang family, Gyeongsang Provinces area that was a place of residence. The exchanges of Gang Pil-shin were done via a poetry club. a poetry club was basically conducted mainly on relatives such as Gang Pak. However, the members of a poetry club changed according to the area where you live. Gang Pil-shin made a poetry club while coming back and forth between Seoul and Gyeongsang Provinces. This means that Gang Pil-shin also had special attention as Geungi Nam'in (近畿 南人), but also had a positive nature as Yeongnam south person. A closer look at what linguistics of Gang Pil-shin Geungi Nam'in and Yeongnam Nam'in had special characteristics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special characteristics of Seoul and the local literary exchange. For this reason, it seems that more detailed examination of the literature of Gang Pil-shin is necessary.

18C 전반기는 다양한 시인들이 출현했던 시기이다. 소론과 남인 계열, 중인계층의 문인들 역시 활발한 문학 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이 시기 남인문학을 주도했던 문인들은 소위 문외파로 불리던 사대부들이다. 이들 강박, 이인복, 이중환, 오광운, 강필신은 모두 근기 남인 계열의 사대부들이며, 백련시단의 구성원이다. 그러나 이들에 대한 기존의 연구는 강박에게만 머물러 있었다. 강필신은 당대의 평가에 비해 그 실체를 밝히는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강필신은 조선 후기 남인 계열의 대표적 문인이다. 강필신의 생애와 교유관계를 분석하면 그의 문학세계의 면모를 일정부분 확인할 수 있다. 강필신과 교유관계를 맺었던 인물들은 크게 셋으로 구분된다. 먼저 백련시단으로 대표되는 청남 계열 문인들로 주로 서울에서 활동하는 집단, 두 번째로 진주 강씨 가문, 세 번째로 강필신의 말년 세거지였던 경상도 지역의 문인들로 분류할 수 있다. 강필신의 교유관계는 시회(詩會)를 통해 이루어졌다. 시회는 기본적으로 강박을 비롯한 인척들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다만 살고 있는 지역에 따라 시회의 구성원들이 달라졌다. 강필신은 서울과 경상도를 오가며 시회를 가졌다. 이는 강필신이 근기 남인으로서의 특징을 지니면서 동시에 영남 남인으로서의 정체성도 지니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강필신의 문학이 근기 남인과 영남 남인 사이에서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었는지 좀 더 면밀하게 고찰하면 조선 후기 서울과 지방의 문학 교류 양상의 특징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강필신의 문학에 대한 보다 면밀한 고찰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연구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