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terary Text

검색결과 119건 처리시간 0.025초

영상매체에 형상화 된 시인 '이상' 표상 연구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을 중심으로 (A Study on Yi Sang Representation in Media -Focusing on the cinema and the drama )

  • 손미영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5권4호
    • /
    • pp.29-36
    • /
    • 2019
  • 이상의 시와 그의 표상은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활용되고 있다. 매체 및 장르의 특성에 따라 시인 이상의 표상과 그의 시는 각기 다른 방식으로 선택되며 변주된다. 문학이 다양한 매체들과 통섭하는 현대에서 한 시인의 초상이 어떻게 형상화되고 있는가를 검토하는 것은 텍스트가 한 인물을 통해 대중에게 전달하고자 하는 바를 읽어내는 과정이기도 하다. 본 연구는 시인 이상의 표상이 다양한 영상매체에서 활용된 양상을 검토하였으며, 각 텍스트들에서 시인 이상이 표상화되는 방식을 비교 분석하였다. 특히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과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을 중심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영화 <건축무한육면각체의 비밀>에서는 이상의 시를 사건의 단서가 숨겨진 퍼즐로 활용하고 있다. 이 영화는 대중적으로 널리 알려진 이상의 '천재' 표상을 활용하여 이상의 비밀을 추적하는 방식으로 서사를 전개하였다. 이로 인해 이 영화는 추리스릴러라는 장르의 관습에 충실한 방식으로 이상을 표상화하고 있다. 이에 비해 드라마 <이상 그 이상>은 시인 이상을 내면에 열정을 지닌 청년으로 새로이 표상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텍스트에서 드러나는 냉소적인 태도 또한 민족과 시대를 향한 애정의 이면으로 재조명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서로 다른 표상의 방식은 '이상'이라는 문학가의 대중적 인식과 새로운 표상화 시도의 전략이라는 측면에서 주목할 만한 가치가 있다.

초한고사를 소재로 한 국문시가 장르의 실현 양상 (Aspects of Realization of the Korean Poetry Genre Based on Chohan-gosa)

  • 육민수
    • 동양고전연구
    • /
    • 제54호
    • /
    • pp.183-211
    • /
    • 2014
  • 이 글은 초한고사를 소재로 한 국문시가 장르 중에서 가사, 시조, 잡가를 대상으로 하여 그 실현 양상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초한고사는 중세 지식인의 기초적 역사 문예 담론으로서, "서한연의" 등의 연의류, <초한전>, <항우전>과 같은 소설 및 수십 종의 목판본, <초한가>(잡가 단가) 및 <우미인가>(가사)와 수십 종의 이본들, 백여 편에 이르는 초한고사 소재 시조, 서거정의 <우미인사(虞美人辭)>, 신흠의 <홍문요(鴻門謠)>와 같은 한문학 작품 등 거의 모든 장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만큼 광범위한 범주에서 그 문예적 가치를 실현시켜 왔다. 그중 이 글에서는 가사, 시조, 잡가를 대상으로 고찰하였다. 우선 초한고사 소재 가사는 규방 문화권에서 주로 향유된 <우미인가>를 대상으로 삼아, 이 텍스트가 당대의 시대 담론인 여항-시정 문화권의 영향력과 실질적 향유 공간인 규방 문화권의 특성이 텍스트 안에 혼효됨으로써, 통속화된 역사와 규범적 이념의 교직(交織)이라는 특성을 지니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시조의 경우에는 초한고사 속 인물 중 항우가 가장 많이 시조화 하였기 때문에 항우가 등장하는 시조를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항우는 천하장사(영웅)나 우미인과 이별하는 인물로 이미지화 한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시조 향유 공간의 연희적 특성에 기인(起因)하는 것으로 보았다. 마지막으로 잡가는 낯익은 역사 담론의 자극적 재편이라는 특성을 중심으로 실현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초한가>가 선행 담론인 "서한연의"의 내용을 원천으로 삼았지만 그대로 변용하기만 한 것은 아니며 도시 대중의 흥미를 끌기 위해 비감(悲感)의 심화(深化)나 현실화, 유행하는 이미지의 활용과 같은, 정감을 자극할 수 있는 방향으로 텍스트가 짜였음을 논하였다.

텍스트마이닝을 이용한 윤동주 연구의 개체계량학적 분석 (Entitymetrics Analysis of the Research Works of Dong-ju Yun using Textmining)

  • 박진균;김택윤;송민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191-207
    • /
    • 2017
  • 이 연구는 텍스트마이닝 기술을 이용한 개체계량학적 분석을 인문학 분야 인물 연구에 적용하기 위해 수행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한 인물은 작품뿐만 아니라 종교, 생애에 대해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윤동주를 선정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윤동주 관련 연구 1,076건을 수집하여 이중에서 초록 정보를 가지고 있었던 220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방식의 토픽모델링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참고문헌 정보를 추출할 수 있었던 121건의 논문을 대상으로 저자동시인용 분석을 통해 연구의 동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초록에서 인명, 작품명의 개체를 추출하여 이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 연구를 통해 윤동주에 관련한 연구 동향은 생애, 시, 실존의식, 비교문학, 번역문학, 종교적 신념에 대한 연구로 다양한 분야에 걸쳐 이루어졌다는 것을 데이터를 기반으로 보다 객관적으로 분석해 볼 수 있었으며, 윤동주와 함께 연구되는 다른 인물이 어떤 작품을 매개로 하여 연구되어 왔는지에 대해서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인문학 분야의 지적구조를 밝히는데 개체계량학적 방법이 유용함을 증명하는 한편 인문학연구의 새로운 시각적 접근을 제안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서사학적 관점에서 본 영화의 초점화 양상 연구 (Comparative study on Focalization in Film from a Narratological Perspective)

  • 김종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2-83
    • /
    • 2014
  • 영화의 소통 방식은 '말하기'가 아니라 '보여주기'이다. 이 과정에서 대상 재현의 주체를 대행할 카메라가 개입한다. 즉, 시점의 개념이 발생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영화의 시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주체, 카메라, 초점대상에 대한 분석적 접근이 필요하다. 소설에서와는 달리 영화는 감독을 대행하여 카메라가 대상을 서술하기 때문에 이 카메라의 매개로 인하여 초점화의 개념 도입이 필요하다. 초점화 이론을 통해 영화를 바라보는 시선의 방향과 주체, 그리고 그 대상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은 단지 화면에 나타나는 모습만으로 시점을 분류하는 방식에 비해 더 명확한 기준을 제시할 수 있다. 또, 초점화 이론을 이용하면 영화를 조망하는 주체의 층위를 입체적으로 볼 수 있으며 초점화의 변화에 따른 효과 역시 기존 시점 이론에 비해 객관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영화에서의 초점화 이론은 기존 시점 이론에 대한 비판적인 접근으로서 유형화를 위한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본고는 이 문제를 주로 상정하여 영화분석을 위한 틀을 제시하고 그 유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유침(留鍼)시간에 대한 문헌적 고찰: 중국 문헌을 중심으로 (A Literary Review on Needle Retaining Time: Centered on the Chinese Medical Journal)

  • 왕개하;이은솔;조현석;김경호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8권5호
    • /
    • pp.65-76
    • /
    • 2011
  • Objectives : Study about needle retaining time. Methods : We reviewed the ancient and the present text of China with using the China academic journal(CAJ) of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CNKI) Results & Conclusions : 1. Needle retaining time is important in acupuncture, because the therapy effect is influenced by it. 2. The time of needle retaining is up to those conditions like different disease, viscera and bowels(臟腑), meridian and collateral(經絡), obtaining Qi(得氣), seasons, constitution of the patients and acupuncture tools. In ${\ll}$Hwangdineijing(黃帝內經) ${\gg}$, needle retaining time is called by 'Zhiruzhichu(直入直出)', 'Jichu(疾出)', 'Liu(留)', 'Buliu(不留)', 'Jiuliu(久留)' and 'Liu ${\bigcirc}$ hu(留${\bigcirc}$呼)', and the time was shorter than nowadays. 3. The respiration number was counted to check needle retaining time but we can't find out any evidence. Recently in China, 'obtaining Qi(得氣)' and 'Qi arrival(氣至)' is used to check it. 4. Looking into clinical researches, different diseases need different needle retaining time. For example, 20~30min is appropriate time for musculoskeletal system. 60min is for circulatory system, 10~20min is for peripheral facial nerve paralysis. Insomnia and some stubborn diseases need longer time. Cold and heat(寒熱), deficiency and excess(虛實) are always influences the needle retaining as well. 5. It is important to figure out the most effective needle retaining time for different disease with the base of connection between needle retaining time and effect.

영화 <데드풀>에 나타난 풍자유머 번역양상 (The Trend of English-Korean Translational Strategy in Satire - Focusing on the movie, )

  • 오정민;김순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6호
    • /
    • pp.217-22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2016년 개봉된 영화 <데드풀>의 유머 중 풍자유머의 번역특성을 분석, 고찰하는 것이다. 풍자유머는 말하고자 하는 무엇을 다른 것에 빗대어 재치 있는 웃음을 유발하는 문학적 기교이므로 이를 번역한다는 것은 번역가에게 큰 난관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본고는 영화 속 유머번역을 확인, 검토하고 각각의 유머범주에서 풍자유머를 분리하여 분석방법에서 제시한 4가지 기본전략을 바탕으로 풍자유머의 빈도수와 그에 따른 양상을 배경으로 현대 풍자유머의 번역트렌드를 고찰해 보았다. 연구 결과 대부분의 풍자유머는 대부분 글자그대로 (Literal Translation) 번역되었으며, 이와 다른 전략을 사용했다하더라도 출발텍스트(ST)를 보존하고자 하는 경향이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사회, 문화, 정치 등의 융합적 관점에서 효과적인 풍자번역 전략을 도출해내는데 있어 기본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황순원 「소나기」의 문화융합 콘텐츠 사례를 통해 본 인문학적 상상력 (Humanistic Imagination through the Case of Cultural Convergence Contents of Hwang Soon-won 「Sonagi」)

  • 이내관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99-208
    • /
    • 2018
  • 본 논문은 1953년 5월 "신문학"지에 발표된 황순원의 "소나기"가 텔레비전 단막극, 애니메이션, 영화, 뮤지컬, CF, 문학콘서트 등과 같은 다양한 문화융합 콘텐츠로 재생산 되면서 원작과 달라진 부분을 인문학적 상상력 측면에서 고찰한 것이다. TV문학관 <소나기>에서는 원작에 존재하지 않은 인물인 소녀의 '엄마'와 소년의 동생인 '석이'라는 인물을 새롭게 창조하여 스토리를 보다 치밀하게 전개하였고, 애니메이션에서는 주인공의 대화가 말소리로 제시되어 작품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영화에서 여주인공은 "소나기"의 결말 부분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서 "죽거든 저를 업어준 사내애를 산 채로 같이 묻어 달라"는 독특한 상상력으로 소설을 차용한다. 어린이의 손목시계 겸 휴대폰 기능이 있는 키즈워치 CF에서도 "소나기"가 변용되었다. 또한 뮤지컬 <소나기>에서는 약 2톤 정도의 물을 사용하여 관객들에게 보다 생생함과 현장감을 주었다. 이처럼 소설을 원작으로 한 다양한 문화융합 콘텐츠에서는 원작의 내용이 매체의 특성에 따라 변용되면서 연출가의 독특한 상상력의 세계가 관객과 시청자에게 전달되었다.

복어 독(Tetrodotoxin)에 관한 문헌적 고찰 (Bibliographic Studies on the Tetrodotoxin(TTX))

  • 황태준;권기록;최익선
    • 대한약침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25
    • /
    • 2000
  • We were trying to study the validity of Puffer fish's poison(Tetrodotoxin- TTX) to make a traditional Korean Medical treatment.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made after literary studies. 1. The first record of the puffer fish dates back 2000 years ago in the Chinese text Book of Mountain and Sea and other texts from the similar period. 2. Puffer fish's poison IS known as tetrodotoxin which is an amino perhydroquinazoline compound. It has a chemical formula of $C_{11}H_{17}N_3O_8$ in the hemiacetal structure and has the molecular weight of 319. 3. Tetrodotoxin (TTX) plays a role as potent neurotransmitter blocker by blocking the $Na^+$ -gate channel which hinders the influx of $Na^+$ ion into the cell. 4. Symptoms of the puffer fish poisoning ranges from blunted sense in the lips and tongue, occasional vomiting in the first degree to sudden descending of the blood pressure, apnea, and other critical conditions in the fourth degree. Intoxication of the puffer fish poison progresses at a rapid pace as death may occur after an hour and half up to eight hours in maximum. Typical death occurs after four to six hours. 5. Ways to treat the puffer fish poisoning include gastric irrigation, induce vomiting, purgation, intravenous fluid injection, and correcting electrolytic imbalance and acidosis. In cases of dyspnea, apply oxygen inhalation and conduct artificial respiration. 6. Tetrodotoxin (TTX) may be applied in treating brain disorders, ocular pain, excess pain in the large intestine and ileum, and relieving tension of the skeletal museles, neuralgia, rheumatism, arthritis, and etc. 7. In terms of Oriental medicine, the puffer fish poison has characteristics of sweet, warm, and poisonous. It's known efficacies are to tonify weakness, dispel damp, benefit the lower back, relieve hemorrhoid, kills parasites, remove edema, and so forth. And the puffer fish eggs processed with ginger are said to be effective against tuberculosis and lung cancer, thus, it's validity must be investigated and further research should be followed.

러시아어와 폴란드어 문학텍스트 내 생략의 화용적 분석 - 므로제크의 "남쪽으로의 도주"를 중심으로 - (A Pragmatic Approach to Ellipsis in Russian and Polish Colloquial and Informal Texts of the Novel "Exit to the South")

  • 정정원
    • 비교문화연구
    • /
    • 제33권
    • /
    • pp.407-459
    • /
    • 2013
  • The paper pragmatically analyzes ellipsis in Russian and Polish colloquial and informal texts. The famous Polish writer Sławomir $Mro{\dot{z}}ek^{\prime}s$ "Exit to the South", written in Polish and Russian is used as a material for the analysis. Russian and Polish ellipsis in colloquial and informal texts have in common that the givenness and subjecthood of the elliptical co-referent play a crucial role. However, the ellipsis in two languages also has differences in many ways. Above all, in the Polish texts of colloquial and informal style, a theme is likely to be elliptical and the coreferential relation reaches to an extra-sentential antecedent, while the ellipsis in analysed Russian texts in most cases requires coordinate, subordinate or relative clauses, and the elliptical co-referent tends to have an intra-sentential antecedent. The ellipsis of the theme-subject is unmarked in Polish, where every verbal form has an ending denoting person. Unlike formal style which often allows explicit noun subject, Polish text of colloquial and informal style prefer null form of the subject in most cases. If Polish sentences have explicit theme-subjects, they disambiguate intervening and main themes, and indicate the contrast, the focus, the introduction of new narratives or the change of speaker's point of view. Sometimes direct speeches and deictic pronouns also need explicit theme-subjects in Polish sentences. On the other hand, the ellipsis of the theme-subject is marked in Russian even in colloquial and informal texts. The theme-subject can be deleted in Russian colloquial and informal texts, if the subject is a form of the first or the second person, or if the aspect and the tense of the antecedent sentence's verb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given sentence's verb and both the antecedent and the coreferential word have the nominative case.

미국의 로맨스 소설과 프래그머티즘 철학과의 연속성에 관한 고찰-허먼 멜빌의 『모비딕』을 중심으로 (A Study of the Continuity Between the American Romance Novel and American Pragmatism: A Reading of Herman Melville's Moby-Dick)

  • 황재광
    • 영어영문학
    • /
    • 제58권2호
    • /
    • pp.217-247
    • /
    • 2012
  • This essay attempts to read Melville's Moby-Dick as a prefiguration of American pragmatism, especially Jamesian version of it. Underlying this project is the assumption that the American Romance and James's pragmatism partake in the enduring tradition of American thoughts and imagination. Despite the commonality in their roots, the continuity between these two products of American culture has received few critical assessments. The American Romance has rarely been discussed in terms of American pragmatism in part because critics have tended to narrowly define the latter as a kind of relativistic philosophy equivalent to practical instrumentalism, political realism and romantic utilitarianism. Consequently, they have favored literary works in the realistic tradition for their textual analyses, while eschewing a more imaginative genre like the American Romance. My contention is that James's version of pragmatism is a future oriented pluralism which is unable to dispense with the power of imagination and the talent for seeing unforeseen possibilities inherent in nature and culture. James's pragmatism is in tune with the American Romance in that it savours the attractions of alternative possibilities created by the genre in which the imaginary world is imbued with the actual one. The pragmatic impulse in Moby-Dick finds its finest expression in the words and acts of Ishmael. Through this protean narrator, Melville renders the text of Moby-Dick symbolic, fragmentary and thereby pluralistic in its meaning. With his rhetoric of incompletion and by refraining from totalizing what he experiences, Ishmael shuns finality in truth and entices the reader to join his intellectual journey with a non-foundational notion of truth and meaning in view. Ishmael also envisages pragmatists' beliefs that experience is fluid in nature and the universe is in a constant state of becoming. Yet Ishmael as the narrator of Moby-Dick is more functional than foundation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