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quid Layer

검색결과 1,318건 처리시간 0.032초

은행종실(銀杏種實)의 지질성분(脂質成分)에 관한 연구(硏究) (Studies on the Lipid Components of Ginkgo Nut)

  • 정안석;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19-123
    • /
    • 1978
  • 은행의 종실 및 잎중에서 추출 정제한 유지에 대한 지방질의 구성 및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신선한 종실 및 잎중의 정제한 총지방질의 함량은 각각 1.32% 및 2.24%였다. 2) 종실중의 총지방질중에는 중성지질이 약 89%, 복합지질이 약 10% 함유되어 있는데 반하여 잎중에는 중성지질이 약 28%, 복합지질이 약 72% 함유되어 있었다. 3) 종실중의 중성지질의 구성분은 다른 식물성 유지와 같이 triglyceride가 주성분으로 약 86%함유되어 있었으며, esterified sterol이 약 9%로 그 다음으로 많았다. 그러나 잎중에는 esterified sterol이 약 53%로 가장 많았고 triglyceride는 약 18%에 불과하였다. 4) 종실중의 총지방질의 주요한 구성지방산은 oleic acid(37.5%) 및 linolenic aicd(44.5%)이고, 잎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45.2%) 및 palmitic acid(25.1%)였다. 또 종실과 잎중의 중성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 조성은 서로 비슷하고, oleic, linoleic 및 palmitic acid가 주요 지방산이었다. 그리고 당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조성은 종실에는 oleic 및 linoleic acid의 함량이 잎보다 많은데 비하여 linolenic acid의 함량은 잎이 종실보다 훨씬 많았다. 인지질을 구성하는 지방산조성은 종실과 잎이 모두 당지질과 비슷한 경향이었다.

  • PDF

Rhizopus sp.가 생산하는 효소에 의한 인삼 Saponin의 전환 (제1보) Ginsenoside-Rb$_1$에서 Ginsenoside-Rd로의 전환확인 (Conversion of Ginseng Saponin with the Enzyme Produced by Rhizopus sp. (Part 1) Confirmation of Conversion of Ginsenoside- Rb$_1$to Ginsenoside-Rd)

  • 김상달;서정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67-273
    • /
    • 1982
  • 미생물성 효소를 이용하여 인삼saponin중 조성비율이 가장 큰 ginsenoside-Rb$_1$을 약효면에서 보다 우수한 ginsenoside-Rd로 전환하고자 인삼부패균 중 Rhizopus 속의 한 균주를 선정하여 이 균주에서 얻은 효소를 ammonium sulfate 분별 침전법으로 조정제하여 사용하였다. 기질로 사용하기 위해 홍미삼 extract로부터 ginsenoside-Rb$_1$이 36.4%, ginsenoside-Rd 가 12.2%의 조성비율을 갖인 total saponin을 정제하였고 이어 ginsenoside-Rb$_1$의 함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더욱 정제한 결과 ginsenoside-Rb$_1$이 54. 5%, ginsenoside-Rd가 1.1%인 ginsenoside Rb group saponin을 얻었다. 이들 기질 saponin에 본 효소를 작용시켜 본 결과 두 기질 모두 다른 ginsenoside pattern에는 변화없이 ginsenoside-Rb$_1$만이 선택적으로 감소하고 반면에 ginsenoside-Rd의 함량이 비례적으로 증가됨을 TLC 및 HPLC의 방법으로 조사하였으며 이로써 효소에 의한 인삼saponin의 선택적전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 PDF

해수의 총수소이온농도(pH)와 총알칼리도 측정방법에 대한 선상 비교 연구 (On Board Comparison of Total Hydrogen Ion Concentration (pH) and Total Alkalinity Measurements in Seawater)

  • 강동진;티쉬첸코 파벨;강성현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05-211
    • /
    • 2011
  • 해수 중의 수소이온농도(pH)와 총알칼리도(TA) 측정 방법에 대한 선상 비교 연구가 동해 표층에서 저층에 이르는 약 550개의 실제 해수 시료에 대해 이루어졌다. 분광광도법과 전위차법에 대한 pH의 비교가 이루어졌으며, 두 방법에 의한 해수의 pH는 전반적으로 잘 일치하였으나, pH가 낮은 심층의 경우 피펫을 사용한 분광법에 의한 값이 전위차법 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그러나 피펫을 사용하지 않은 분광법과는 두 방법의 정밀도 내에서 동일한 값을 보였다. 이는 피펫에 의해 해수 내의 이산화탄소가 제거되면서 시료 내의 pH를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TA 측정법의 비교를 위해 폐쇄 용기를 이용한 전위차법과 개방 용기를 이용한 전위차법이 사용되었으며, 개방형 용기를 사용했을 때의 값이 폐쇄형 용기를 사용했을 때의 값에 비해 약 5~10 ${\mu}mol\;kg^{-1}$ 작은 값을 보인다. 이는 폐쇄형 용기를 사용했을 때, 적정 도중에 발생하는 이산화탄소가 용액 속에 남아 적정액인 염산 이외의 산을 용액 속에 추가하는 효과를 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pH혹은 TA의 분석에 있어서 본 연구에서 비교한 어느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각각의 방법에 대해 특별히 요구되는 주의를 기울일 때 만족할 만한 분석결과를 얻을 수 있다.

UPLC를 이용한 염모제품에 함유된 유효성분에 대한 품질검사 (Quality inspections of active components in oxidative hair coloring products by UPLC)

  • 김동규;김유경;윤은선;홍미선;신지영;정윤경;김정헌;채영주;박승국
    • 분석과학
    • /
    • 제26권1호
    • /
    • pp.99-105
    • /
    • 2013
  • 염모제품 중 유효성분의 품질검사는 식품의약품안전청의 "의약외품에 관한 기준 및 시험방법"에 따라 제품에 표기된 산화염료들을 박층크로마토그래프법(TLC방법)으로 확인시험을 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TLC방법은 원료분량이 미량이거나, $R_f$ 값이 비슷한 성분들이 존재하면 확인시험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미량성분 검출이 용이하며 분석시간이 짧다고 보고된 UPLC를 이용하기 위한 시료 전처리 및 분석조건을 탐색하였다. 유효성분들을 분석할 수 있는 검출한계는 6.7-77.9 ${\mu}g/L$, 정량한계는 22.3-259.7 ${\mu}g/L$ 이었으며, 회수율은 ${\alpha}$-naphthol를 제외하고는 96.2-101.5%로 양호하였다. 유효성분 추출하기 위한 시료 전처리에는 헥산-증류수를 사용하였다. 시료 전처리 시 복잡한 추출과정을 거치지 않고, UPLC방법은 빠르고 정확하게 염모제품에 함유되어 있는 유효성분들을 동시에 분석 할 수 있었다.

Fumonisin B1 Contamination of Cereals and Risk of Esophageal Cancer in a High Risk Area in Northeastern Iran

  • Alizadeh, Ali Mohammad;Roshandel, Gholamreza;Roudbarmohammadi, Shahla;Roudbary, Maryam;Sohanaki, Hamid;Ghiasian, Seyed Amir;Taherkhani, Amir;Semnani, Shahryar;Aghasi, Maryam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3권6호
    • /
    • pp.2625-2628
    • /
    • 2012
  • Introduction: Fumonisin B1 (FB1) is a toxic and carcinogenic mycotoxin produced in cereals due to fungal infe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FB1 contamination of rice and corn samples and its relationship with the rate of esophageal cancer (EC) in a high risk area in northeastern Iran. Methods: In total, 66 rice and 66 corn samples were collected from 22 geographical subdivisions of Golestan province of Iran. The levels of FB1 were measured for each subdivision by thin layer and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ies. The mean level of FB1 and the proportions of FB1 contaminated samples were compared between low and high EC-risk areas of the province. Results: The mean of FB1 levels in corn and rice samples were 223.64 and 21.59 ${\mu}g/g$, respectively. FB1 contamination was found in 50% and 40.9% of corn and rice samples, respectively. FB1 level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ice samples obtained from high EC-risk area (43.8 ${\mu}g/g$) than those obtained from low risk area (8.93 ${\mu}g/g$) (p-value=0.01). The proportion of FB1 contaminated rice samples was also significantly greater in high (75%) than low (21.4%) EC-risk areas (p-value=0.02). Conclusion: We found high levels of FB1 contamination in corn and rice samples from Golestan province of Iran, with a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FB1 contamination in rice and the risk of EC. Therefore, fumonisin contamination in commonly used staple foods, especially rice, may be considered as a potential risk factor for EC in this high risk region.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Poly(γ-glutamic acid)를 생산하는 균주 Bacillus subtilis GS-2의 분리 및 γ-PGA의 확인 (Isolation of Bacillus subtilis GS-2 Producing γ-PGA from Ghungkukjang Bean Paste and Identification of γ-PGA)

  • 방병호;정은자;이문수;김용민;이동희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4권1호
    • /
    • pp.1-6
    • /
    • 2011
  • Poly-${\gamma}$-glutamic acid (${\gamma}$-PGA)는 청국장이 발효할 때 생성되는 점질성 물질의 하나로, monomer glutamic acid의 ${\alpha}$-아미노기와 ${\gamma}$-카르복실기 사이의 amide linkage에 의해 결합된 D(-)와 L(-) glutamic acid repeat units로 이루어진 homopolymer이다. 주로 Bacillus sp.에 의해 생산된다. ${\gamma}$-PGA는 수용성, 음이온성, 무독성, 생분해성, 생체적 합성, 식용 등의 다양한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 ${\gamma}$-PGA를 생산하는 균주를 우리나라의 전통발효식품인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분리균주의 형태 및 배양학적, 생리학적 특성, API kit 및 16S rRNA 서열을 사용하여 동정한 결과, 분리균주 GS-2는 B. subtilis와 가장 유사하여 B. subtilis GS-2로 명명하였다. 분리 정제된 ${\gamma}$-PGA의 동정은 TLC, HPLC, FTIR 그리고 $^1H$-NMR spectroscopy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중국으로부터 수입된 삼채복(Fugu flavidus)의 독성 (Toxicity of the Imported Pufferfish, Fugu flavidus ('Samchaebog'), from China)

  • 김동수;김상록;이명자;설명훈;정동윤;김현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533-538
    • /
    • 1995
  • 본 연구에서는 중국에서 수입되어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삼채복을 시료로 하여 각 개체의 조직 부위별 독성을 조사하였고 Bio-Gel P-2 칼럼 크로마토크래피로 복어독을 부분정제하여 TLC, 전기영동 및 HPLC에 의하여 독성분을 검출하고 확인하였다. 삼채복 10개체의 경우 그 독력은 내장, 난소 및 답즙은 ND-10MU/g 및 ND-23MU/g이었으나, 간장, 껍질, 근육 및 정소는 무독하였으며, 유독개체 출현율은 난소$(100\%)$, 담즙$(20\%)$ 및 내장$(10\%)$순으로 나타났다. 간장부위는 성별에 따른 독력의 차이를 볼 수 없었으나, 생식소의 경우 성별에 따른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편, 삼채복의 난소로부터 분리한 독소는 TLC와 전기영동상에서 각각 표준품 TTX와 anh-TTX의 상대이동도와 유사한 두 지점인 Rf 0.64, 0.86와 5.5, 7.2cm에서 나타내어 TTX 관련물질임이 확인되었다. 또한, HPLC분석 결과 TDA, TTX와 anh-TTX의 peak가 뚜렷하게 나타난 반면 4-epi TTX의 peak도 약간 나타났다.

  • PDF

$V_2O_5$ 도핑한 페라이트 페이스트 후막 특성 (Properties of Thick Films Prepared with $V_2O_5$-doped Ferrite Pastes)

  • 제해준;김병국;박재환;박재관
    • 한국결정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70-75
    • /
    • 2001
  • NiCuZn 페라이트에 V₂O/sub 5/가 0∼0.5 wt% 첨가된 페이스트를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법으로 페라이트 후막을 제조한 후, 870∼900℃에서 소결하여 V₂O/sub 5/ 첨가량에 따른 소결밀도, 미세구조 등의 물리적 특성 및 자기적 특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소결온도 870℃의 경우 V₂O/sub 5/를 0.5 wt% 첨가한 시편의 소결밀도가 0.58 g/cm³로 가장 hsvrp 나타낫고, 소결온도가 올라갈수록 소결밀도 차이가 줄어들어 900℃의 경우 모든 시편이 5.15g/cm³이상으로 높은 밀도를 나타내었다. V₂O/sub 5/가 0.5 wt% 첨가된 경우에 액상소결이 발달하였으며, V₂O/sub 5/가 0.1, 0.3 wt% 첨가된 시편은 입자성장이 억제되어 입자크기가 V₂O/sub 5/를 첨가하지 않은 시편보다 작았다. 전체의 소결온도 범위에서 V₂O/sub 5/가 첨가되지 않은 시편의 입자크기가 크고 균일하기 때문에 투자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소결온도 880℃ 이상에서 V₂O/sub 5/ 0.3 wt% 첨가 시편의 Q값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칩 인덕터용 NiCuZn 페라이트 소재 제조 시, 투자율값을 중시할 경우에는 V₂O/sub 5/를 첨가하지 않아야 하며, 품질계수를 중시할 경우에는 V₂O/sub 5/의 첨가량이 0.3wt%를 넘지 않아야 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습식 공정법에 의한 바이오칩 용 패터닝 기판 제조 (Fabrication of patterned substrate by wet process for biochip)

  • 김진호;이민;황종희;임태영;김세훈
    • 한국결정성장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288-292
    • /
    • 2009
  • LPD법을 이용하여 유리 기판 위에 발수/친수 패터닝 기판을 제조하였다. 발수 표면은 거친 표면을 갖는 ZnO 박막을 FAS를 이용한 표면 개질에 의하여 만들어졌고, 친수 표면은 자외선을 조사하여 FAS를 제거함으로써 만들어졌다. Hexagonal ZnO rod는 LPD법에 의하여 ZnO seed 층이 코팅된 유리 기판 위에 수직으로 성장되었다. 침적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ZnO rod의 직경과 두께는 증가하였다. 제조된 ZnO 박막의 표면구조, 두께, 결정구조, 투과율과 접촉각은 FE-SEM, XRD, UV-vis와 contact angle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0^{\circ}{\sim}30^{\circ}$의 접촉각을 갖는 친수 ZnO 박막은 FAS 표면 처리에 의해 $145^{\circ}{\sim}161^{\circ}$의 접촉각을 갖는 표면으로 바뀌었다. 제조된 발수 표면은 $300\;{\mu}m$, 3 mm의 dot size를 갖는 shadow mask를 이용하여 자외선을 조사하여 패터닝 되었다. 최종적으로 자외선이 조사된 발수 표면은 친수 표면으로 바뀌었다.

Enhanced Light Harvesting by Fast Charge Collection Using the ITO Nanowire Arrays in Solid State Dye-sensitized Solar Cells

  • Han, Gill Sang;Yu, Jin Sun;Jung, Hyun Suk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4년도 제46회 동계 정기학술대회 초록집
    • /
    • pp.463-463
    • /
    • 2014
  • Dye-sensitized solar cells (DSSCs) have generated a strong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solid-state devices owing to their low cost and simple preparation procedures. Effort has been devoted to the study of electrolytes that allow light-to-electrical power conversion for DSSC applications. Several attempts have been made to substitute the liquid electrolyte in the original solar cells by using (2,2',7,7'-tetrakis (N,N-di-p-methoxyphenylamine)-9-9'-spirobi-fluorene (spiro-OMeTAD) that act as hole conductor [1]. Although efficiencies above 3% have been reached by several groups, here the major challenging is limited photoelectrode thickness ($2{\mu}m$), which is very low due to electron diffusion length (Ln) for spiro-OMeTAD ($4.4{\mu}m$) [2]. In principle, the $TiO_2$ layer can be thicker than had been thought previously. This has important implications for the design of high-efficiency solid-state DSSCs. In the present study, we have fabricated 3-D Transparent Conducting Oxide (TCO) by growing tin-doped indium oxide (ITO) nanowire (NWs) arrays via a vapor transport method [3] and mesoporous $TiO_2$ nanoparticle (NP)-based photoelectrodes were prepared using doctor blade method. Finally optimized light-harvesting solid-state DSSCs is made using 3-D TCO where electron life time is controlled the recombination rate through fast charge collection and also ITO NWs length can be controlled in the range of over $2{\mu}m$ and has been characterized using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FE-SEM). Structural analyses by high-resolution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HRTEM) and X-Ray diffraction (XRD) results reveal that the ITO NWs formed single crystal oriented [100] direction. Also to compare the charge collection properties of conventional NPs based solid-state DSSCs with ITO NWs based solid-state DSSCs, we have studied intensity modulated photovoltage spectroscopy (IMVS), intensity modulated photocurrent spectroscopy (IMPS) and transient open circuit voltages. As a result, above $4{\mu}m$ thick ITO NWs based photoelectrodes with Z907 dye shown the best performing device, exhibiting a short-circuit current density of 7.21 mA cm-2 under simulated solar emission of 100 mW cm-2 associated with an overall power conversion efficiency of 2.80 %. Finally, we achieved the efficiency of 7.5% by applying a CH3NH3PbI3 perovskite sensitizer.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