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pid components

검색결과 937건 처리시간 0.027초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과 감마 리놀렌산의 보충 섭취가 혈중 지질 농도 및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soflavone and Gamma-linolenic Acid Supplementation on Serum Lipids and Menopausal Symptoms in Postmenopausal Women)

  • 곽정현;김지영;김혜진;신동혁;이종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23-131
    • /
    • 2010
  •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화 LDL 농도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 (p = 0.006), 플라시보군에서 유의적인 변화 없었음. 두 군간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1). 2) 혈청에서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1, B 등의 농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3) LDL particle size와 Paraoxonase 활성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지질과산화지표인 혈장 MDA 농도는 두 군간 변화량 비교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0). 4) 갱년기 증상 지표인 Modified kupperman index (KI)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과 플라시보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 (p < 0.001). KI 수치의 군간 비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복합제재를 12주간 섭취하였을 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산화 LDL 농도가 유의적인 감소하였고, 두 군간의 비교시 MDA 농도 변화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소플라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제재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체내 LDL-콜레스테롤의 산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에서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이소플라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 제재 섭취와 관련 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임으로 복합제재의 용량 설정을 세분화 하고 복용기간을 연장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유색미 품종별 유기용매 추출물의 항산화성 및 항변이원성 검정 (Antioxidant and Antimutagenic Activity of Solvent-Fractionated Layers of Colored Rice Bran)

  • 강미영;신수영;남석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951-958
    • /
    • 2003
  • 국내 외에서 수집 재배한 24품종 유색미를 순차적인 유기용매 처리에 의해서 지용성 분획과 색소를 함유하는 분획, 색소성분 만의 분획을 얻었고 각 분획이 가지는 항산화성 및 항변이원성을 검정하였다. 유기용매 추출이 진행되어 분획성분의 조성이 간단해질수록 품종마다 차이는 없지만 항산화성은 오히려 약화되는 경향이 있었는데. 특히 LK 1-3-6-12-1-1과 길림흑미의 항산화 활성이 상당히 낮았다. 70%에탄올 추출물에서는 항변이원성을 나타내던 유색미 품종들도 색소분획을 포함하는 분획들에서는 모든 품종에서 오히려 변이원생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특히 wx 124-153-45-7-1-1-1 및 LK 1B-2-1-1 등에서 강한 변이원성이 관찰되었다. 유색미 품종별 색소의 함량은 IR 17491-5-4-3-3>LK 1-3-6-12-1-1>LK ID-2-12-1>RGS No336. Elwee 등의 순서로 나타난다. 유기용매에 의해서 분획되는 성분들의 조성 및 함량이 유색미 품종들과 일반미 품종간에는 상당히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일반미 품종에 비교하면 유색미 품종들의 유기용매에 의해서 용출되는 수된 성분 분사들은 긴 탄화수소를 가진 성분들이었다.

채취시기별 엄나무, 참죽, 오가피 햇순의 화학적 특성 및 항산화 활성 (Chemical propertie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e sprouts of Kalopanax pictus, Cedrela sinensis, Acanthopanax cortex at different plucking times)

  • 임희진;장혜림;정용진;윤경영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56-364
    • /
    • 2013
  • 햇순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 엄나무, 참죽 및 오가피 2차 순의 영양성 및 기능성 등 이화학적 특성을 1차 순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수분과 조지방은 2차 순에 비해 1차 순의 함량이 높았으며, 조섬유와 탄수화물의 함량은 2차 순이 1차 순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유기산은 1차 순에 비해 2차 순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유리아미노산은 엄나무와 참죽에서 2차 순이 1차 순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으나 오가피는 1차 순이 2차 순에 비해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특히, 엄나무와 참죽의 2차 순은 감칠맛에 관여하는 glutamic acid의 함량이 1차 순에 비해 매우 높게 나타났다. 무기질은 모든 햇순의 2차 순이 1차 순에 비해 높은 함량을 보였다. 햇순 2차 순의 총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1차 순에 비해 낮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오가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제외한 모든 항산화 활성에서 1차 순이 2차 순에 비해 높은 활성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햇순은 1차 순에 비해 영양성은 잘 유지되고 있으나 기능성이 감소되어 향후 기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재배조건에 대한 연구 및 2차 순의 식품학적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다양한 가공방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향후 채취 시기별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변화에 대한 메커니즘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재래누룩에서 분리한 N4와 N9 효모의 증류식 소주 양조특성 (Soju brewing characteristics of yeast strains N4 and N9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Nuruk)

  • 최한석;강지은;정석태;김찬우;백성열;여수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14-724
    • /
    • 2017
  • 재래누룩에서 분리한 효모인 N4와 N9에 대해 쌀 증류식 소주제조 특성을 살펴보았다. 원료 쌀(한아름 품종)의 일반성분은 수분 14.7, 조단백질 6.8, 조지방 0.9, 조회분 0.4, 탄수화물 76.5 g/100 g이었다. 제조된 입국의 총산 함량은 2.92%(citric acid, dry base)였으며 효소활성에 있어 당화력은 926.72, ${\alpha}$-amylase 52.40, gluco-amylase 887.71, ${\alpha}$-glucosidase 0.14, acidic carboxypeptidase 17,335.73, ${\beta}$-glucosidase 174.46 U/g dry base로 나타났다. 술덧의 알코올 함량은 재래누룩 분리 효모가 15.37-16.58%로 상업용 효모 12.33-13.19%보다 16.7-36.0%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환원당 함량은 각각 2.04-3.92, 7.92-8.78 g/100 mL로 상업용 효모의 당 이용률이 누룩분리 효모보다 낮았다. 이러한 결과로 증류 후 원주의 획득량이 누룩분리 효모에서 25.2-52.7% 높았다. 쌀 증류식 소주(알코올 25%)에서 41개의 휘발성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주성분 분석 결과 누룩분리 효모와 상업용 효모는 i-BuOH, isobutanal diethyl acetal, ethyl caprate, tetradecanoic acid 성분의 함량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역의 스테롤 조성과 $^14C-1$-식초산염의 스테롤 전환에 관하여 (The Sterol Components of Undaria Pinnatifida and the Incorporation of $^14C-1-acetate$ into Them)

  • 조용규;진만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163-170
    • /
    • 1977
  • 미역의 스테롤 조성을 가스크로마토그라피로 조사하였고, 또한 미역줄기에 $^14C-1-acetate$를 주사하여, 120시간후 각지질구분 및 스테롤의 비방사능을 조사하여 $^14C-1-acetate$의 스테롤에로의 전환에 대하여 고찰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미역성분조성은 탄화수조 $1.6\%$, 색소 및 스테롤에스텔 $2.5\%$, 글리세리드 $3.3\%$, 유리지방산 $2.2\%$, 스테롤 $3.8\%$, 클로로필계색소 $18.8\%$ 및 극성지질이 $67.3\%$였다. 미역의 스텔롤조성을 보면 콜레스테롤 $3.5\%$, 24-메칠렌콜레스테롤 $11.2\%$ 및 프코스테롤이 $85.3\%$였다. 미역줄기에 $^14C-1$-아세트산염을 주사한 후, 120시간 경과한 각지질 구분의 비방사능을 보면, 총지질에 4, 648 dpm,/mg, 극성지질에 2,754 dpm/mg, 클로로필 계색소에 373 dpm/mg, 유리 지방산에 6,520 dpm/mg, 스테롤에스텔에 786 dpm/mg, 탄화수소에 358 dpm/mg로서 스테롤 구분에 가장 높았고, 각 스테롤의 비교사능을 보면, 콜레스테롤에 115 dpm/mg, 24-메틸렌 콜레스테롤에 147,821 dpm/mg, 프코스테롤에 20,887 dpm/mg 였다.

  • PDF

소족편 및 소족에 닭과 건대구를 첨가한 족편의 영양성분 - 연구노트 - (Nutritional Components of Cow Feet Jokpyun and Jokpyun Added Chicken and Codfish)

  • 곽은정;안효진;이경희;이영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307-310
    • /
    • 2003
  • 소족편, 소족에 닭을 첨가한 족편 및 건대구를 첨가한 족편의 영양성분을 검토한 결과 수분함량은 시료족편간에 유사하였고, 조단백질 함량은 소족편이 닭이나 건대구 첨가 족편보다 약간 높았으며 조지방과 회분함량은 낮았다. 불포화지방산의 비율은 건대구 첨가 족편이 가장 높았으나, linoleic acid는 닭첨가 족편 중에 가장 높은 비율로 함유되어 있었다. 아미노산조성은 g1ycine, proline, alanine, glutantc acid 순으로 높았으나, glycine과 alanine은 건대구 첨가 족편에, glutamic acid는 소족편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필수아미노산중에서 Iysine이 유사하게 모든 족편에서 가장 많았으며 methionine은 닭 첨가 족편에, valine은 소족편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3종 족편중 건대구 첨가족편은 다른 족편보다 필수아미노산의 조성비가 가장 낮았다. 칼슘과 인은 닭 첨가 족편에 가장 많았고 건대구 첨가 족편에 가장 적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족편은 사태나 사골의 용출액보다 조단백질과 칼슘함량이 2~3배 높은 양 농축되어 있어 영양적으로 우수한 음식임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족편을 조리하기 간편하며 현대인들의 구미에 맞는 상품으로 개발하여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을 지켜 나가도록 노력해야 하겠다.

자이언트흑마늘의 유효성분 분석 (Analysis of Active Components of Giant Black Garlic)

  • 김담;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4권11호
    • /
    • pp.1672-1681
    • /
    • 2015
  • 자이언트마늘을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시킬 시에 새롭게 생성되거나 증강되는 유효성분을 측정하여 기존의 일반마늘 및 이를 숙성시킨 일반흑마늘과 비교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자이언트마늘에서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 수분은 감소하였으며 회분, 조단백, 조지방은 증가하였고, 일반마늘에서 일반흑마늘로 숙성 후에도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pH는 숙성 후 감소하였고 산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총당은 숙성 후 증가했지만 자이언트흑마늘과 일반흑마늘 간에 큰 차이가 없었으며 환원당의 경향도 유사하였다. 총 피루브산의 함량은 숙성 후에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에 비하여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구성 아미노산 측정 결과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histidine, lysine, arginine을 제외한 모든 아미노산이 많게는 2배 이상 증가하였으며,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보다 숙성 후 총 아미노산 함량의 증가비율이 더 높았다. 자이언트흑마늘이 일반흑마늘보다 arginine, cysteine, lysine, phosphoethanolamine, urea를 제외한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이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taurine, phosphoethanolamine, ${\beta}$-alanine, ethanolamine이 신규 생성 되었다. 무기질의 측정 결과 자이언트마늘이 자이언트흑마늘로 숙성 후에 구리, 철, 마그네슘, 나트륨이 증가하였다. S-Allyl-L-cysteine의 함량은 자이언트흑마늘이 자이언트마늘에 비해 약 4배 증가했으며 일반흑마늘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S-Allylmercaptocysteine도 마찬가지로 숙성시에 함량이 크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자이언트마늘의 가공에 대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가정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home-made doenjang, a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 박석규;서권일;손미예;문주석;이영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21-127
    • /
    • 2000
  • 가정에서 제조된 전통된장의 품질을 비교하기 위하여 일반성분, 유기산,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을 조사하였다. 1. 된장의 수분, 조단백, 조지방, 적정산도(0.1N NaOH 소비 ml수)및 염도는 각각 평균 57.3%, 11.6%, 8.3%, 11.8 및 13.9%였으며, 특기 적정산도.조단백질과 염도는 시료간에 차이가 많이 나타났다. 아미노산성 질소의 함량은 평균 308.4 mg%로서 202.3∼416.3mg%의 범위로 시료간에 1.3∼2.1배 이상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도 있었다. Hunter색차계의 L(명도), a(적색도), b(황색도)값은 각각 평균 37.7, +19.6, +7.5이었으며, 수용성 및 지용성 갈변물질은 각각 평균 흡광도 2.23, 0.39로서 유리 아미노산 함량이 총 아미노산 함량보다 5.7배이상 높았다. 2. 유리 및 구성아미노산의 총 함량은 각각 평균 2908.9, 9,019.3 mg%이었으며, 시료간에 1.8∼6.2배와 1.2∼2.0배의 차이가 나타났다. 가장 많은 아미노산은 glutamic acid로서 각각 576, 1,126mg%였다. 3. 유기산은 lactic acid(평균 326.8 mg%)가 가장 많았는데 시료간에 59.4∼613.4mg%의 범위로 큰 차이를 나타내었다. 총 지방산 중에 linoleic acid의 비율(평균49.24%)이 가장 높았으며, 불포화 지방산은 평균 81.97%였고, 다가불포지방산은 시료간에 51.79∼62.97%의 범위로 차이를 많이 나타내었다.

  • PDF

칼라꼬마감자와 일반꼬마감자의 영양성분 및 이화학적 특성 (Comparison of Nutritional Components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Small Colored Potatoes and Small Regular Potatoes)

  • 박성진;권민수;신경이;나영아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80-89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칼라꼬마감자의 영양성분 등의 품질특성을 분석하였고, 항산화활성 효과를 평가하였다. 칼라꼬마감자 100 g(wet weight basis)중에는 수분 79.7%, 탄수화물 17.9%, 조단백질 1.0%, 조지방 0.1%, 조회분 1.3%가 함유되어 있으며, 탄수화물 중 총 식이섬유소 함량은 11.45%이었다. 총 식이섬유의 함량은 4.0%로 나타났다. 또한 칼라꼬마감자 100 g의 총 열량은 337.3 kcal로 분석되었다. 칼라꼬마감자의 구성아미노산 중 asparagine (1,514.3 mg/100g)과 glutamic acid(1,240.3 mg/100g)함량이 가장 높은 함량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무기질 함량은 칼륨이 약 1,454.7 mg으로 가장 함량이 높았으며, 인(245.3 mg), 마그네슘(82.8 mg), 칼슘(62.1 mg)순이었다. 미량영양소인 철분(28.1 mg), 망간(28.1 mg), 구리(3.4 mg) 및 아연(2.5 mg)이 함유되어 있었다. 칼라꼬마감자 추출물의 페놀 함량은 chlorogenic acid가 $3,730.60{\pm}0.62mg/100g$로서 가장 많은 양이 함유 되어 있었고 catechin, caffeic acid, gallic acid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p-coumaric acid, ferulic acid는 확인되지 않았다. 칼라꼬마감자의 우수한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성분 및 그 활성에 대한 연구가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칼라꼬마감자의 우수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성분에 대해서는 더욱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며, 이러한 결과로 보아 칼라꼬마감자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천연소재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칼라영양성분 및 항산화감자 추출물 제조시 기능성 향상을 위한 추출공정의 개선 및 최적화 등의 추후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보이즌베리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Nutritional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Boysenberry)

  • 정창호;장치원;이구열;김일훈;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4호
    • /
    • pp.450-455
    • /
    • 2012
  • 보이즌베리를 기능성식품 소재 및 가공품으로 개발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활성을 조사하였다. 보이즌베리 착즙액의 pH는 3.62, 가용성고형분은 $13.43^{\circ}Brix$ 및 총산도는 1.15%였으며, L, a, b값은 각각 20.14, 13.19 및 3.20이었다. 일반성분은 수분 79.52%, 조단백 1.08%, 조지방 0.73%, 조섬유 2.51%, 조회분 0.62% 및 가용성 무질소물 15.54%였다. 주요 무기성분은 K, P 및 Ca으로 그 함량이 각각 219.30 mg/100 g, 46.25 mg/100 g 및 39.60 mg/100 g이었다.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은 alanine(75.22 mg/100 g)이었고, 가장 적게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으로는 cystine(2.83 mg/100 g)이었다. 보이즌베리에 함유되어 있는 유리당으로는 glucose(6.91%) 및 fructose(5.88%)였으며, 비타민 C 함량과 총 페놀 함량은 각각 79.52 mg/100 g 및 39.20 mg/GAE g이었다. 보이즌베리 농도 1.25 mg/mL일 때 89.11%의 DPPH radical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환원력은 1.31(흡광도)이었다. 따라서 보이즌베리는 항산화제와 같은 기능성 식품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