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oleic acid

검색결과 2,149건 처리시간 0.024초

유지의 알칼리 이성질화에 의한 Conjugated Linoleic Acid 농축물의 제조 (Preparation of Conjugated Linoleic Acid Concentrate from Vegetable Oils by Alkali Isomerization)

  • 김지호;신효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453-1457
    • /
    • 1999
  • 항산화 및 항암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conjugated linoleic acid(CLA)를 식물성 유지로부터 알칼리 이성질화에 의해 고 농도의 CLA 농축물을 얻기 위한 최적 조건을 연구하였다. 지방산 조성이 상이한 식물성 유지를 알칼리 이성질화 하였을 때 CLA 생성량은 유지중 linoleic acid 함량이 많은 것이 가장 높았다. 홍화유를 알칼리 이성질화할 때 KOH 농도는 $8{\sim}11%$, 가열온도는 $180{\sim]185^{\circ}C$에서 cis-9, trans-11 CLA와 총 CLA 생성량이 가장 높았고, 가열시간은 CLA 생성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20{\sim}40$분이 가장 적당하였다. 홍화유를 silicic acid column chromatograph)에 의해 중성, 당 및 인지방질의 lipid class를 분획하여 알칼리 이성질화를 시켰을 때 중성지방질의 획분에 CLA가 가장 많이 함유되었다. 알칼리 이성질화시킨 홍화유를 요소처리와 HPLC 분획에 의해 95.4%의 CLA 농축물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감자 Lipoxygenase Isoenzymes 의 클로로필 탈색효과 (The Bleaching Effect of Potato Lipoxygenase Isoenzymes on Chlorophyll a)

  • 문정원;조순영;서명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954-958
    • /
    • 1994
  • The bleaching effect of chlorophyll a by two lipoxygenase isoenzymes (LOX-1, LOX-2) isolated from potato tuber(variety DEinma ) was studied. In the presence of LOX-1 or LOX0-2 with linoleic acid chlorophyll a bleaching occurred during two isoenzymes-mediated oxidation of linoleic acid. Chlorophyll a bleaching porceeded with decreasing in the formation of conjugated dienes form linoleic acidyb LOX-1 and LOX-2 . In the presence of chlorophyll a, LOX-2 showed a markable decrease inproduction of conjugated dienes from linoleic acid and a higher chlorophyll a bleaching activity. compared with LOX-1. These results suggest chlorophyll-bleaching reaction required intermediates formed during the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by lipoxygenase isoenzymes, thus preventing formation of conjugated dienes.

  • PDF

인체내(人體內)의 필수지방산(必須脂肪酸)의 결핍(缺乏) (Essential Fatty Acid Deficiency in Human)

  • 윤태헌;장유경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51-56
    • /
    • 1983
  • 알맞은 수준의 linoleic acid섭취시에는 5, 8, 11- eicosatrienic acid가 혈장에서 미량 검출되지만 식이에 linoleic acid가 없거나 부족할 경우 5, 8, 11- eicosatrienoic acid가 증가하고 반면에 linoleic acid와 arachidonic acid는 감소한다. 뿐만 아니라 피부염, 탈모, 미토콘드리아 기능 변화, 모세관 취약성, 조직 변화 등의 변화가 일어난다. EFA 결핍의 발현에 식이의 EFA부족 그 자체는 물론 단백질 부족, 고콜레스테롤혈증을 일으키는 인자들, 당뇨병, 다발성 경화증, 동맥 경화증 등 여러 요소들이 영향을 미치고 있다. EFA결핍은 특히 여러 가지 임상적 요인으로 인하여 장기간의 무지방 비경구 영양을 공급받는 환자에서 자주 보고되고 있는데, 거의 대개 지방 유탁액의 정맥 주사로 예방내지 치료한다. EFA결핍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linoleic acid의 섭취량은 환자의 연령이나 지방 유탁액의 투여 방법에 따라 다르지만 EFA 결핍으로 인한 생화학적 비상정적인 상태의 경우 경구적으로 최소한 총 칼로리의 1%를, 비경구적으로는 2%를 공급하여 주면 될 것이다.

  • PDF

Development of Hydrophobically Modified Casein Derivative-Based Delivery System for Docosahexaenoic Acids by an Acid-Induced Gelation

  • Ho-Kyung Ha;Dan-Bi Woo;Mee-Ryung Lee;Won-Jae Lee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2호
    • /
    • pp.220-231
    • /
    • 2023
  • Although omega-3 fatty acids including docosahexaenoic acid (DHA) contain various health-promoting effects, their poor aqueous solubility and stability make them difficult to be induced in dairy foods. The aims of this research were to manufacture casein derivative-based delivery system using acid-induced gelation method with glucono-σ-lactone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roduction variables, such as pH and charged amount of linoleic acid, on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livery systems and oxidative stability of DHA during storage in model milk. Covalent modification with linoleic acid resulted in the production of casein derivatives with varying degrees of modification. As pH was reduced from 5.0 to 4.8 and the charged amount of linoleic acid was increased from 0% to 30%, an increase in particle size of casein derivative-based delivery systems was observed. The encapsulation efficiency of DHA was increased with decreased pH and increased charged amount of linoleic acid. The use of delivery system for DHA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development of primary and secondary oxidation products. An increase in the degree of modification of casein derivatives with linoleic acid resulted in a decrease in the formation of primary and secondary oxidation products than of free DHA indicating that delivery systems could enhance the oxidative stability of DHA during storage in model milk. In conclusions, casein derivatives can be an effective delivery system for DHA and charged amount of linoleic acid played a key role determining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elivery system and oxidative stability of DHA.

채유방법(採油方法)이 참기름의 분획별지질(分劃別脂質) 및 지방산(脂肪酸) 조성(組成)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Oil Extraction Methods on Fractionation Pattern and Fatty Acid Composition of the Each Fraction of Sesame Oil)

  • 최상도;양민석;조무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259-262
    • /
    • 1984
  • 1) 분획별(分劃別) 지질중(脂質中) triglyceride가 $73.4{\sim}77.2%$로 가장 높았고 채유방법별(採油方法別)로는 RWE의 triglyceride가 RTP와 RTE보다 높았다. 2) glycolipid(G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tryglyceride(TG)의 linoleic acid, free fatty acid(FFA)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 phospholipid(PL)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G의 oleic acid, FFA의 palmitic acid와 stearic acid, PL의 oleic acid와 linoleic acid는 그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았다. 3) glycolipid 및 phospholipid의 $C_{18}/C_{16}$ 지방산비(脂肪酸比)와 불포화도비(不飽和度比)는 RTP와 RTE가 RWE보다 높았으나 triglyceride 및 free fatty acid의 그것은 반대(反對)로 RTP와 RTE가 RWE보다 낮다.

  • PDF

Synthesis of a Novel Compound from Gallic Acid and Linoleic Acid and its Biological Functions

  • Jo, Cheo-Run;Jeong, Ill-Yun;Lee, Na-Young;Kim, Kwan-Soo;Byun, Myung-Woo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5권2호
    • /
    • pp.317-320
    • /
    • 2006
  • Octadeca-9,12-dienyl-3,4,5-hydroxybenzoate (GA-LA) was chemically synthesized from gallic acid and linoleic acid ester, and its biological functions were tested. Radical-scavenging activity of GA-LA was comparable to those of gallic and ascorbic acids at 0.24 mM, and tyrosinase inhibition effect was higher than that of ascorbic acid. Gallic and linoleic acids did not show any tyrosinase activity. Results of cyclooxygenase (COX) inhibition effect indicate GA-LA has higher selectivity in COX-1 inhibition. GA-LA from gallic and linoleic acids could be used as functional reagent for antioxidative, skin-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effects in food, pharmaceutrical, and cosmetic industries.

Agaricus blazei 자실체로부터 초임계 유체를 이용한 생리활성물질 추출공정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of Physiologically Active materials from Agaricus blazei Fruiting Bodies)

  • 최정우
    • KSBB Journal
    • /
    • 제15권4호
    • /
    • pp.408-410
    • /
    • 2000
  • 생리활성물질의 함유량이 많은 아가리쿠스버섯으로부터 초임계 유체 추출 기술을 이용하여 비극성 생리활성물질인 linoleic acid를 분리, 정제하였다. Gas chromatography - mass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추출된 물질의 정성분석을 수행하여 추출된 물질은 약리작용 효과를 가지는 linoleic acid (cis-9, cis-12-octadecadienoic acid)로 분석되었다.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아가리쿠스 버섯으로부터의 생리활성물질 추출공정의 최적화를 위하여 다양한 온도와 압력하에서 실힘을 수행하였으며 추출 효율을 비교한 결과 $50^{\circ}C, 200 kg_f/cm^2$의 최적 운전조건을 결정하였다.

  • PDF

한국산 식용버섯의 지방산 조성에 관한 비교 (Comparison on the fatty acid Composition of Korean edible mushrooms)

  • 안장수;이규한
    • 환경위생공학
    • /
    • 제2권3호
    • /
    • pp.7-11
    • /
    • 1987
  • 한국산 식용버섯 7종(양송이, 송이, 표고, 느타리 , 싸리 . 능이 , 밤버섯)에 대한 지방산 조성을 GC로서 비교 분석하였다. 1) 모든 버섯의 주된 지방산은 linoleic acid $(71.33-35.53\%)$, oleic acid$(39.69-158\%)$, Palmitic acid $(22.51-7.31\%)$이었다. 2) linoleic acid의 함량은 양송이버섯, 느타리버섯 및 표고버섯에서 가장 높았으나 이들 버섯의 oleic acid의 함량은 바른 버섯에 비하여 현저히 낮았다. 3) myristic acid는 일반적인 지질보다 약간 많은 것이 특징이었다.

  • PDF

현미와 백미의 극성지질의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olar Lipids Composition in Brown Rice and Milled Rice)

  • 이희자;이현주;변시명;김형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262-268
    • /
    • 1989
  • 다수계 품종인 남풍, 밀양 23호와 일반계 품종인 화성, 진흥을 각각 현미, 백미, 겨로 구분하여 준비한 12가지 시료에서 추출한 극성지질의 조성을 TLC로 분별 정량하였고, 지방산 조성을 GC로 분석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1. 당지질은 TLC 상에 6가지가 분리되었으며, esterified steryl glycosides(ESG) 함량이 가장 높고, monogalactosyl diglycerides(MGDG) 와 steryl glycosides(SG) 함량은 다음으로 둘은 비슷한 값이었다. 현미와 백미 그리고 겨의 ESG함량은 51.05%, 47.88%, 50.76%로 별 차이가 없었으며, MGDG는 겨에서 높았고, SG, cerebrosides(CB), digalactosyl diglycerides(DGDG)는 현미와 백미에 비해 낮았다. 2. 인지질은 TLC 상에서 7가지가 분리되었고 이중 phosphatidyl cholines(PC)와 phosphatidyl serines(PS)는 겹쳐져서 나타났으며, 한가지의 확인할 수 없는 물질이 있었다. 인지질 조성은 PC+PS가 가장 함량이 많았으며, 현미중의 PC+PS가 62.08%로 가장 높았다. 다음이 PE로 시료 군간에 차이가 거의 없었다. 3. 당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와 백미에서는 총 지질, 중성지질의 조성과는 달리 palmitic acid의 함량이 30.84%, 34.13%로 매우 높아서 linoleic acid 함량과 비슷하였고 oleic acid 함량이 23.11%, 18.11%로 매우 낮았다. 이와 달리 겨는 oleic acid함량이 가장 높고 다음이 linoleic acid 그리고 Palmitic acid 였다. 4. 인지질의 지방산 조성은 현미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39.20%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oleic acid로 34.04% 였으며, palmitic acid는 22.60%였다. 백미는 linoleic acid 함량이 40.55%로 가장 높고, 다음이 palmitic acid였으며, oleic acid는 현미와는 달리 함량이 낮았다. 한편 겨는 현미, 백미와는 달리 남풍, 화성, 진흥에서 myristic acid 함량이 각각 37.53%, 44.20%, 45.42%로 가장 높고 linoleic, oleic, palmitic acid는 비슷한 수준이었다. 밀양 23호 겨만이 oleic, linoleic acid 함량이 비슷하게 37% 정도였고, palmitic acid 20.52%, myristic acid가 2.02%로 현미, 백미의 조성 비율과 비슷하였다.

  • PDF

시판 요구르트 제품 중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함량 분석 및 상업용 Dairy Starter에 의한 CLA 생산 (Conjugated Linoleic Acid (CLA) Contents in Commercial Yoghurts and Production of CLA by Commercial Dairy Starter Cultures)

  • 이효구;권영태;강혜순;윤칠석;정재홍;김형국;김인환;정수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1343-1347
    • /
    • 2004
  • 국내에서 시판 중인 요구르트의 CLA 함량과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의 CLA 생산능을 조사하였다. 시판 요구르트 중의 CLA 함량은 4.1∼14.8 mg/100 g이었으며, 원료 우유사용비율이 낮아질수록 제품에 함유된 CLA 함량도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CLA 함량과 stearic acid, oleic acid, linoleic acid 및 linolenic acid의 함량, CLA 함량과 지방함량간에는 정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상업용 dairy starter 유산균 67균주 중 L. acidophilus 1종, L. casei 1종 및 Streptococcus thermophilus 3종 등 모두 5 균주가 기질로 첨가한 linoleic acid로부터 CLA를 생성하였다 또한 생성된 CLA는 cis-9, trans-11 이성체가 70% 이상으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들을 이용한 발효유는 대조구에 비해서 1.7∼2.6 mg/100 g의 CLA 함량의 증가를 보였으며, CLA 전환율은 6.1∼8.6%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