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ked Open Data

검색결과 135건 처리시간 0.031초

대표 속성을 이용한 저자 개체 식별 (Author Entity Identification using Representative Properties in Linked Data)

  • 김태홍;정한민;성원경;김평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17-29
    • /
    • 2012
  • 급격하게 성장하고 있는 오픈 리소스인 링크드 데이터는 최근 선진국 정부의 많은 관심 속에 데이터 공개 및 상호운용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러나 신뢰할 수 있는 개체 식별 기술의 부재로 링크드 데이터의 양적 성장에 비해 개체 수 대비 링크의 수가 적은 현상과 일부 데이터 셋에 링크가 집중되는 현상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링크드 데이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개체 간 관계(owl:sameAs, owl differentFrom 등)를 이용하거나 Curation 방식을 사용하는 기존 링크드 데이터 기반 개체 식별 방식의 문제를 다중 온톨로지의 개체 식별이 가능한 자동화된 개체 식별 방식을 통해 개선하고 저자 개체의 대응 속성과 개체 유형의 논리적 특성을 활용하여 개체 식별 정합성을 검증할 수 있는 다중 온톨로지 기반의 실시간 저자 식별 방법을 제안하고 평가한다. 본인의 확인을 거친 29명의 저자 정보를 이용해 개체 식별 정확성 결과를 평가하여 평균 0.8533 (K measure)의 긍정적인 성능을 보였다.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포털 국정과제 서비스 모형개발 연구 (National Agenda Service Model Development Research of Policy Information Portal of National Sejong Library)

  • 노영희;장인호;심효정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73-92
    • /
    • 2022
  • 본 연구는 기존 국립세종도서관 정책정보포털(POINT)의 국정과제 서비스를 뛰어넘는 고품질 정책정보서비스 제공을 위하여, 새로운 국정과제 이행에 필요한 정책자료를 효과적으로 서비스할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한다. 이에 개별 접근을 통한 데이터 검색 대신 통합된 검색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국정과제서비스 모형 구축을 4가지 모형으로 제안하였다. 첫째, 국정과제서비스 시스템 운영 부문으로 인터페이스 측면, 전산 시스템 구상, 전자정보원 측면, 전산 시스템 구상을 제안하였다. 둘째, 국정과제서비스 정보원 부문으로 Linked Open Data 시스템 구상, 정책정보 시계열 서비스 시스템 구상, 국외 원문자료 번역서비스, 연구자 희망자료 확충을 제시하였다. 셋째, 국정과제서비스 홍보 부문으로 정책 이용자를 위한 홍보 강화, 사이트 브랜드 구축 및 홍보, SNS 채널 운영, 보조자료 활성화 강화, 외부 서비스에서의 접근성 강화를 제안하였다. 넷째, 국정과제서비스 협업 및 연계 부문으로 Open API, 클라우드 서비스, 해외도서관과의 정보 네트워크 확장을 제안하였다.

안드로이드 기반 OpenAPI를 이용한 SNS 연동 지역정보 서비스를 위한 모바일 증강현실 시스템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NS-linked Location based Mobile AR Systems using OpenAPI on Android)

  • 김정길;정지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9권2호
    • /
    • pp.131-140
    • /
    • 2011
  • 최근 무선 통신 기술과 반도체 설계 및 공정 기술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기존 데스크톱 컴퓨팅 환경은 급속히 테블렛 PC와 스마트 폰 기반의 모바일 환경으로 이동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폰의 확산은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위치기반 서비스 응용분야를 확대시키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 기반의 OpenAPI를 이용한 증강현실 시스템을 구현하였으며, 동시에 다양한 실시간 사용자의 정보를 이용 가능하도록 위치기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도 OpenAPI를 이용하여 통합 구현하였다. 구현에 이용된 다양한 OpenAPI들은 개발자가 포털 사이트의 방대한 정보에 쉽게 접근하여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하도록 지원한다. 제안 시스템은 프로토타입으로 구현되어 스카이사의 시리우스 안드로이드 폰에 동작시킴으로 모바일 기기에서도 증강현실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의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또한 사용자의 실시간 사진, 동영상, 메시지 데이터들의 공유가 가능하도록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도 효율적으로 연동시켰다.

A Prototype Implementation for 3D Animated Anaglyph Rendering of Multi-typed Urban Features using Standard OpenGL API

  • Lee, Ki-Won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401-408
    • /
    • 2007
  • Animated anaglyph is the most cost-effective method for 3D stereo visualization of virtual or actual 3D geo-based data model. Unlike 3D anaglyph scene generation using paired epipolar images, the main data sets of this study is the multi-typed 3D feature model containing 3D shaped objects, DEM and satellite imagery. For this purpose, a prototype implementation for 3D animated anaglyph using OpenGL API is carried out, and virtual 3D feature modeling is performed to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is anaglyph approach. Although 3D features are not real objects in this stage, these can be substituted with actual 3D feature model with full texture images along all facades. Currently, it is regarded as the special viewing effect within 3D GIS application domains, because just stereo 3D viewing is a part of lots of GIS functionalities or remote sensing image processing modules. Animated anaglyph process can be linked with real-time manipulation process of 3D feature model and its database attributes in real world problem. As well, this approach of feature-based 3D animated anaglyph scheme is a bridging technology to further image-based 3D animated anaglyph rendering system, portable mobile 3D stereo viewing system or auto-stereo viewing system without glasses for multi-viewers.

계층적 LOD 개발 환경 구축 및 의료 정보 적용 (Construction of Hierarchical LOD Development Environment and Its Application of Medical Information)

  • 문희경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432-433
    • /
    • 2017
  • 최근 ICT 기술과 의료 빅데이터를 활용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이질적인 의료데이터의 공유와 확산을 위해 표준화 데이터 모델로 온톨로지 기반의 Linked Open Data가 대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다. 특히 의료 빅데이터의 분석을 위한 데이터 셋은 프로토콜화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개발된 계층적 LOD 개발 환경 시스템을 기반으로 의료정보를 적용하기 위한 모델링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의료 빅데이터의 검색과 분석연구 분야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임베딩 기반 인덱스 구조에 대한 검색 성능 평가 (Search Performance Evaluation for Embedded-based Index Structure)

  • 황아영;이다현;이용주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68-171
    • /
    • 2021
  • 최근 시맨틱 웹은 Linked Open Data (LOD)의 사용으로 웹 분야에서 주목을 받고 있다. 이에 LOD 등을 중심으로 검색 고도화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고 있다. 그러나 LOD 클라우드를 이용한 효율적인 검색 방법이나 활용 방안을 위한 깊이 있는 연구는 상대적으로 매우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LOD 클라우드를 효율적으로 구성하기 위한 인덱스 구조를 제안하고자 HYBRID R*-tree 인덱스 구조와 단일 인덱스 구조의 성능을 비교하여 평가한다.

  • PDF

Automatic Generation of Machine Readable Context Annotations for SPARQL Results

  • Choi, Ji-Woong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0호
    • /
    • pp.1-10
    • /
    • 2016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pproach to generate machine readable context annotations for SPARQL Results. According to W3C Recommendations, the retrieved data from RDF or OWL data sources are represented in tabular form, in which each cell's data is described by only type and value. The simple query result form is generally useful, but it is not sufficient to explain the semantics of the data in query results. To explain the meaning of the data, appropriate annotations must be added to the query results. In this paper, we generate the annotations from the basic graph patterns in user's queries. We could also manipulate the original queries to complete the annotations. The generated annotations are represented using the RDFa syntax in our study. The RDFa expressions in HTML are machine-understandable. We believe that our work will improve the trustworthiness of query results and contribute to distribute the data to meet the vision of the Semantic Web.

항만 BIM 표준 기반 항만 유지관리 정보의 링크드데이터 구축 및 활용 (Development and Utilization of Linked Data of Port Maintenance Information for Port Facilities Based on Port BIM Standards)

  • 신재영;문현석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3권4호
    • /
    • pp.501-510
    • /
    • 2023
  • 최근 스마트건설 확대 기조에 따라 건설 데이터 활용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건설 사업정보와 유지관리 정보는 웹에 분산되어 있고, IFC를 통한 기존의 BIM 정보 교환 및 연계 방식은 BIM 데이터와 웹 자원과의 연결이 불가하다. 본 연구는 항만 유지관리 분야에서 BIM 데이터와 이종데이터의 통합적 활용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링크드데이터(Linked Data, 이하 LD) 기술을 활용하여 BIM 기반 항만 시설물의 데이터 통합체계를 구축하였다. 이에 BIM 기반 항만 유지관리 온톨로지를 설계하고 BIM 시범사업인 부산 신항 2-1단계 3부두 시설의 BIM 및 사업·유지관리 정보를 대상으로 LD를 구축하였다. 또한, 발행된 LD를 활용하여 시설물 검색 및 통계, SPARQL Endpoint 기능 등 서비스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LD 기반 정보 통합체계는 기존 정보체계를 개방된 체계로 전환하고, BIM과 유지관리 데이터를 표준 형식의 웹 리소스로 구축하여 정보의 재활용성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된다.

LOD기반의 문화콘텐츠 정보서비스 확장에 관한 연구: K-Food 분야를 중심으로 (A Study on Extension of Culture Contents Service Based on Linked Open Data: Focused on the K-Food Contents)

  • 유현경;육혜인;한희정;김용
    • 정보관리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09-134
    • /
    • 2015
  • 한류3.0 시대를 맞이하여 기존 미디어 중심의 한류문화에서 벗어나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 개발을 통해 한국문화의 세계화와 지속가능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적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 제공을 통해 음식문화 관련 정보뿐만 아니라 다른 문화콘텐츠들과도 망라적으로 연결시켜 다양한 한류문화콘텐츠들이 발전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통해 음식문화의 개념을 정립하고 분류하였으며, LOD기반의 음식문화콘텐츠 서비스의 적용가능성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음식문화 LOD 구축 프로세스 및 서비스 모형을 제안함으로써 LOD기반의 한류문화서비스 확장에 관한 기초 연구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A Study on Converting bibliographic data of public libraries expressed in KORMARC into BIBFARME

  • Kim, Joo-Yong;Shin, Pan-Seop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6권11호
    • /
    • pp.139-147
    • /
    • 2021
  • 도서관 계에서 기계 가독 목록 형식(MARC)에 대한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BIBFRAME은 기존 데이터와의 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오픈 웹 환경에서 새로운 서지기술 데이터모델을 제시한다. MARC의 한국형 데이터 모델인 KORMARC 레코드의 BIBFRAME 변환을 위해, 서울시 노원구립도서관의 최신 서지 데이터 5,000개를 분석하여 25개의 핵심 필드를 추출한다. 핵심 필드들을 MARC 21의 호환성 여부에 따라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유형별 변환 기법을 정의한다. 또한 오픈소스 기반의 변환기를 구현하여 KORMARC to BIBFRAME 변환 작업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KORMARC to BIBFRAME 변환에 대한 기초연구로써, 실제 사용되는 최신 KORMARC 정보를 분석하여 변환 규칙을 정의하고, BIBFRAME 변환을 시도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