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arization Method

검색결과 483건 처리시간 0.027초

1.9 GHZ PCS 기지국용 선형 전력증폭기의 제작 (Implementation of Linear Power Amplifier with 1.9 GHz for PCS Basestation)

  • 김상기;방성일
    • 전기전자학회논문지
    • /
    • 제7권1호
    • /
    • pp.88-96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미국내의 상용 PCS 서비스 대역인 $1.9GHz(1.93{\sim}1.99GHz)$대역에서 사용 가능한 선형 전력 증폭기를 설계 및 제작하였다. 실제로 제작한 선형 전력 증폭기는 출력이 25W이고 Feedforward선형화 기법을 사용하여 FCC가 규정한 혼변조 왜곡 특성을 만족하도록 하였다. 선형 전력 증폭기의 출력별로 측정한 결과 1W(30dBm)에서 25W(44dBm)까지 14dB의 측정구간에서 선형화에 의한 혼변조 왜곡은 최저 10.51dBc부터 최고 19.01dBc까지 개선되었고, 최종 출력에서의 IMD 레벨은 최저 64.84dBc에서 최고 68.17dBc로 각각 나타났다. 이러한 특성은 PCS 기지국의 상용제품으로 충분히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균형상실의 검출 성능 향상을 위한 내부 모델의 설계변수 선정 및 민감도 평가 (Optimization of Design Variables of Detection Algorithm for Loss of Balance Using a Linear Internal Model)

  • 김광훈;김인수;손권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9호
    • /
    • pp.1153-1160
    • /
    • 2010
  • 일반적으로 보상운동보다는 균형상실을 검출하는 방법이 낙상을 예측하는데 효과적이다. 균형상실을 검출하는 알고리즘은 크게 데이터 처리부, 내부 모델 구성부, 검출부로 구성된다. 이 알고리즘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내부 모델 구성부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알고리즘에서 사용되는 변수들 중 내부 모델과 관계된 변수들이 검출 성공률에 끼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내부 모델과 관계된 변수는 내부 모델의 선형화에 필요한 변수와 알고리즘의 실행 주기에 대한 변수이다. 각각의 변수들이 가지는 중요도 평가하기 위하여 검출 성공률에 대한 민감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가장 민감한 변수는 알고리즘의 실행 주기이며, 주기가 0.3초일 때 검출 성공률이 97.1%로 가장 좋게 나왔다. 또한 주어진 변수들에 대하여 검출 성공률이 95% 이상이 되는 설계 변수의 범위를 제시하였다.

Influence of the Francis Turbine location under vortex rope excitation on the Hydraulic System Stability

  • Alligne, S.;Nicolet, C.;Allenbach, P.;Kawkabani, B.;Simond, J.J.;Avellan, F.
    • International Journal of Fluid Machinery and Systems
    • /
    • 제2권4호
    • /
    • pp.286-294
    • /
    • 2009
  • Hydroelectric power plants are known for their ability to cover variations of the consumption in electrical power networks. In order to follow this changing demand, hydraulic machines are subject to off-design operation. In that case, the swirling flow leaving the runner of a Francis turbine may act under given conditions as an excitation source for the whole hydraulic system. In high load operating conditions, vortex rope behaves as an internal energy source which leads to the self excitation of the system.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dentify the influence of the full load excitation source location with respect to the eigenmodes shapes on the system stability. For this, a new eigenanalysis tool, based on eigenvalues and eigenvectors computation of the nonlinear set of differential equations in SIMSEN, has been developed. First the modal analysis method and linearization of the set of the nonlinear differential equations are fully described. Then, nonlinear hydro-acoustic models of hydraulic components based on electrical equivalent schemes are presented and linearized. Finally, a hydro-acoustic SIMSEN model of a simple hydraulic power plant, is used to apply the modal analysis and to show the influence of the turbine location on system stability. Through this case study, it brings out that modeling of the pipe viscoelastic damping is decisive to find out stability limits and unstable eigenfrequencies.

직립 슬릿벽에 의한 에너지 손실효과 (Effect of Energy Loss by a Vertical Slotted Wall)

  • 조일형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7권5호
    • /
    • pp.295-303
    • /
    • 2015
  • 관성항과 비선형 항력항을 포함한 직립 슬릿벽에 의한 파의 산란을 고유함수전개법을 사용하여 해석하였다. 슬릿벽에서의 에너지 손실효과를 나타내는 비선형 항력항을 등가 선형화기법으로 선형화시켰다. Yoon et al.(2006)과 Huang(2007)이 제안한 실험식을 통하여 구한 항력계수를 적용한 해석결과는 Kwon et al.(2014)과 Zhu and Chwang(2001)의 수리모형 실험결과와 비교하였고, 서로 잘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개발된 해석모델을 이용하여 슬릿벽의 주요 설계변수들인 공극률, 잠긴 깊이, 슬릿 형상, 파랑특성 등을 바꿔가면서 슬릿벽에서의 에너지 손실효과를 평가하였다. 잠긴 깊이에 따라 다소 차이는 있지만 공극률이 0.1보다 작은 값에서 슬릿벽에서의 에너지 손실률이 가장 크게 일어났다. 현재의 해석해는 슬릿벽 방파제에 의한 소파효율을 예측하는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이다.

다중계수 방식을 적용한 밀리미터파 대역용 전력증폭기의 사전왜곡기 설계 및 비선형성 보상 성능 평가 (Design of a Predistorter with Multiple Coefficient Sets for the Millimeter-Wave Power Amplifier and Nonlinearity Elimination Performance Evaluation)

  • 육준형;성원진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26권8호
    • /
    • pp.740-747
    • /
    • 2015
  • 최근 밀리미터파 대역을 활용하는 이동통신시스템이 제안되고 있으며, 60 GHz 대역 전력증폭기로 인해 발생하는 비선형성을 효율적으로 보상하기 위한 방법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력증폭기의 비선형성이 상대적으로 작은 구간과 큰 구간으로 구분하여 계수를 사용하는 다중계수 사전왜곡기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60 GHz 대역 고출력 전력증폭기 FMM5715X에 적용하여 LTE 신호의 선형성 보상 성능을 평가하였다. 하드웨어 테스트베드를 활용한 성능평가를 통해, 기존 방식 대비 제안 방식은 ACLR(Adjacent Channel Leakage Ratio) 측면에서 최대 6 dB 개선됨을 보인다.

서보 설비를 위한 순차적 파라미터 자동 튜닝 알고리즘을 사용한 영구자석 동기전동기의 비선형 속도 제어 (A Nonlinear Speed Control of a 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Using a Sequential Parameter Auto-Tuning Algorithm for Servo Equipments)

  • 김경화
    • 조명전기설비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14-123
    • /
    • 2005
  • 서보 설비를 위한 순차적 파라미터 자동 튜닝 알고리즘을 갖는 영구자석 동기전동기(Permanent Magnet Synchronous Motor: PMSM)의 비선형 속도 제어 기법이 제시된다. 비선형 제어 방식은 시스템 파라미터와 부하상태가 정확하게 일치하지 않는 경우 만족스러운 성능을 줄 수 일다. 최근에 향상된 속도 제어 성능을 위해 적응형 기법, 슬라이딩 모드 제어, 및 관측기에 기반 한 기법들이 제안되었다. 하지만, 이 방법들은 관성의 큰 변화, 속도의 빠른 과도 특성 및 샘플링 주기 증가와 같은 특정한 조건에서 더 이상 만족스러운 성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속도 동특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파라미터를 동시에 추정하기는 쉽지 않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설치 및 기동시 전동기 주요 파라미터를 시간 구간 별로 나누어 자동으로 추정하는 순차적 파라미터 튜닝 알고리즘이 제안된다. 제안된 방식이 DSP TMS320C31을 이용하여 구현되고 유용성이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해 입증된다.

선형제차조절법을 이용한 정지궤도 위성의 위치보존 궤도조정 (STATION-KEEPING MANEUVERS FOR A GEOSTATIONARY SATELLITE USING LINEAR QUADRATIC REGULATOR)

  • 이선익;최규홍;이상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142-149
    • /
    • 1997
  • 잘 알려진 최적제어 이론의 선형제차조절법을 정지궤도 위성의 위치보존 궤도조정 문제에 적용하였다. 정지궤도 위성의 운동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섭동향을 선택하여 동서방향과 남북방향 궤도조정의 경우 각각 14일간 지구비대칭 중력장의 영향, 28일간 태양과 달의 영향을 예측한 결과로 궤도조정할 경계조건을 적절하게 설정하였다. 비선형방정식을 선형화하여 리카티 방정식(Riccati Equation)을 두 번 적분함으로써 최적궤도와 이에 상응하는 추진 가속도를 알아내었다. 선형제차조절법으로 구한 속도변화량과 기하학적으로 계산한 ${\Delta}V$(속도변화량)을 비교해 봄으로써 제어이론을 통한 궤도조정 방법이 실제상황에 거의 근사한 해를 제공할 수 있는가와 제어이론을 위치보존 궤도조정 문제에 적용한 방법이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연료최적화와 이에 따른 정지궤도 위성의 수명연장에 기여할 수 있는가에 대한 해석을 시도하였다.

  • PDF

다목적 시뮬레이션 통합 하이브리드 유전자 알고리즘을 사용한 수동 조립라인의 동기 작업 모델 (A Synchronized Job Assignment Model for Manual Assembly Lines Using Multi-Objective Simulation Integrated Hybrid Genetic Algorithm (MO-SHGA))

  • 무하마드 임란;강창욱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211-220
    • /
    • 2017
  • The application of the theoretical model to real assembly lines has been one of the biggest challenges for researchers and industrial engineers. There should be some realistic approach to achieve the conflicting objectives on real systems. Therefore, in this paper, a model is developed to synchronize a real system (A discrete event simulation model) with a theoretical model (An optimization model). This synchronization will enable the realistic optimization of systems. A job assignment model of the assembly line is formulated for the evaluation of proposed realistic optimization to achieve multiple conflicting objectives. The objectives, fluctuation in cycle time, throughput, labor cost, energy cost, teamwork and deviation in the skill level of operators have been modeled mathematically. To solve the formulated mathematical model, a multi-objective simulation integrated hybrid genetic algorithm (MO-SHGA) is proposed. In MO-SHGA each individual in each population acts as an input scenario of simulation. Also, it is very difficult to assign weights to the objective function in the traditional multi-objective GA because of pareto fronts. Therefore, we have proposed a probabilistic based linearization and multi-objective to single objective conversion method at population evolution phase. The performance of MO-SHGA is evaluated with the standard multi-objective genetic algorithm (MO-GA) with both deterministic and stochastic data settings. A case study of the goalkeeping gloves assembly line is also presented as a numerical example which is solved using MO-SHGA and MO-GA. The proposed research is useful for the development of synchronized human based assembly lines for real time monitoring, optimization, and control.

3-자유도 헬리콥터 시스템의 입자군집최적화 기법을 이용한 시스템 식별 (A Study on Identification using Particle Swarm Optimization for 3-DOF Helicopter System)

  • 이호운;김태우;김태형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5권2호
    • /
    • pp.105-110
    • /
    • 2015
  • 본 연구는 Quanser사의 3-자유도 헬리콥터 시스템에 대한 종래의 선형 수리 모델을 개선한 수리 모델을 제안하고, 실험을 통해 제안된 수리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된 제어기의 제어 성능을 종래의 수리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된 제어기의 제어 성능과 비교함으로써 그 타당성을 검증한다. 이에 대한 연구 진행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3-자유도 헬리콥터 시스템의 동 특성을 분석하고, 종래의 선형 수리 모델을 구축한다. 둘째, 종래의 수리 모델의 구축을 위해 수행된 선형화 과정에서 제거된 비선형적 요소들을 파악한다. 그리고 이 제거된 비선형적 요소들에 대응하는 파라미터들을 추가하여 개선된 수리 모델을 구축한다. 이 때, 수리 모델을 구축하기 위해 메타 휴리스틱 전역 최적화 기법인 입자군집최적화 알고리즘을 이용한다. 마지막으로, 제안된 모델을 기반으로 제어기를 설계하고, 이를 종래의 수리 모델을 기반으로 설계된 제어기의 제어 성능을 비교하여 제안된 수리 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신경회로망을 이용한 공압구동기의 위치 추종제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racking Position Control of Pneumatic Actuators Using Neural Network)

  • Gi Heung Choi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115-123
    • /
    • 2000
  • 공압구동기는 다양한 형태의 위험작업 환경하에서 사용되고 있다. 또한, 공압구동기를 적용한 공정은 일반적으로 환경친화적인 것으로 인식되고 있다. 대부분의 경우, 공압구동기는 point to point 제어에 사용된다. 그러나, 최근 공압구동기의 정밀 위치제어에 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례밸브로 구성된 공압구동기의 추종위치제어에 관하여 논의한다. 제안되는 제어기는 압력제어 루프와 위치제어 루프로 구성된다. 공기의 압축성에 기인한 비선형성을 상쇄하기 위하여 되먹임선형화에 의한 PID제어기가 압력제어 루프에 사용된다. 위치제어에는 신경회로망을 사용하여 비선형성을 보상한 PID제어기가 사용된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제안된 제어기는 공압구동기의 추종성능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