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Linear Domain

검색결과 1,050건 처리시간 0.033초

Declutching control of a point absorber with direct linear electric PTO systems

  • Zhang, Xian-Tao;Yang, Jian-Min;Xiao, Long-Fei
    • Ocean Systems Engineering
    • /
    • 제4권1호
    • /
    • pp.63-82
    • /
    • 2014
  • Declutching control is applied to a hemispherical wave energy converter with direct linear electric Power-Take-Off systems oscillating in heave direction in both regular and irregular waves. The direct linear Power-Take-Off system can be simplified as a mechanical spring and damper system. Time domain model is applied to dynamics of the hemispherical wave energy converter in both regular and irregular waves. And state space model is used to replace the convolution term in time domain equation of the heave oscillation of the converter due to its inconvenience in analyzing the controlled motion of the converters. The declutching control strategy is conducted by optimal command theory based on Pontryagin's maximum principle to gain the controlled optimum sequence of Power-Take-Off forces. The results show that the wave energy converter with declutching control captures more energy than that without control and the former's amplitude and velocity is relatively larger. However, the amplification ratio of the absorbed power by declutching control is only slightly larger than 1. This may indicate that declutching control method may be inapplicable for oscillating wave energy converters with direct linear Power-Take-Off systems in real random sea state, considering the error of prediction of the wave excitation force.

Ultrahigh-Resolution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Based on a Linear-Wavenumber Spectrometer

  • Lee, Sang-Won;Kang, Heesung;Park, Joo Hyun;Lee, Tae Geol;Lee, Eun Seong;Lee, Jae Yong
    • Journal of the Optical Society of Korea
    • /
    • 제19권1호
    • /
    • pp.55-62
    • /
    • 2015
  • In this study we demonstrate ultrahigh-resolution spectral doma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UHR SD-OCT) with a linear-wavenumber (k) spectrometer, to accelerate signal processing and to display two-dimensional (2-D) images in real time. First, we performed a numerical simulation to find the optimal parameters for the linear-k spectrometer to achieve ultrahigh axial resolution, such as the number of grooves in a grating, the material for a dispersive prism, and the rotational angle between the grating and the dispersive prism. We found that a grating with 1200 grooves and an F2 equilateral prism at a rotational angle of $26.07^{\circ}$, in combination with a lens of focal length 85.1 mm, are suitable for UHR SD-OCT with the imaging depth range (limited by spectrometer resolution) set at 2.0 mm. As guided by the simulation results, we constructed the linear-k spectrometer needed to implement a UHR SD-OCT. The actual imaging depth range was measured to be approximately 2.1 mm, and axial resolution of $3.8{\mu}m$ in air was achieved, corresponding to $2.8{\mu}m$ in tissue (n = 1.35). The sensitivity was -91 dB with -10 dB roll-off at 1.5 mm depth. We demonstrated a 128.2 fps acquisition rate for OCT images with 800 lines/frame, by taking advantage of NVIDIA's compute unified device architecture (CUDA) technology, which allowed for real-time signal processing compatible with the speed of the spectrometer's data acquisition.

선형발전기가 탑재된 파랑에너지 추출장치 설계 -II. 선형발전기 (Design of Wave Energy Extractor with a Linear Electric Generator -Part II. Linear Generator)

  • 조일형;최장영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74-181
    • /
    • 2014
  • 선형발전기가 연결된 부이의 수직운동에 대한 시간영역 해석을 수행하여 얻은 시계열 자료를 가지고 선형발전기를 설계하고 전기에너지 출력특성 및 효율에 대해 살펴보았다. 1차 변환장치로 원통형 부이를 선택하였고, 2차 변환장치로 양측식 할박(Halbach) 배열 영구자석 가동자와 철심형 슬롯리스(Slotless) 고정자로 구성된 선형발전기를 사용하였다. 시간영역에서 부이의 수직운동 속도와 파랑하중을 입력자료로 직선형 영구자석 발전기가 설계되었고, 설계된 발전기는 규칙파 조건에서 유한요소 해석법을 적용하여 발전특성해석을 수행함으로써, 그 타당성이 입증되었다. 또한 불규칙파 조건에서 합리적이고 빠른 해석을 위해, 등가회로법을 적용하여 발전특성 해석을 수행하였는데, 그 결과 역시 매우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바닥의 움직임에 따른 선형파의 생성을 모의할 수 있는 간편 수치해석 기법 (A Simplified Numerical Method for Simulating the Generation of Linear Waves by a Moving Bottom)

  • 정재상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2호
    • /
    • pp.41-48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바닥의 움직임에 따른 파랑의 생성 및 변화를 모의할 수 있는 간단한 선형 수치해석 기법을 소개한다. 연속방정식과 선형의 동역학적 및 운동학적 자유수면 경계조건, 선형의 운동학적 바닥 경계조건을 공간에 대해 푸리에 변환한 후 파수 영역에서 수치해석을 수행하며, 결과는 푸리에 역변환을 통해 공간영역에서 표현된다. 파수 영역에서 동역학적 자유수면 경계조건과 운동학적 자유수면 경계조건이 수치적으로 계산되며, 이 때 평균수면 (z = 0)에서의 속도포텐셜은 연속방정식과 운동학적 바닥 경계조건을 만족한다. 삼각형 및 사각형 형상의 바닥이 주기적으로 움직이는 경우의 파랑 생성 및 전파에 대해 검토하였다. 간편 수치해석 기법을 이용한 결과는 기존의 선형 해석해와 비교하였으며, 거의 일치하는 결과를 보였다. 계산 시간간격(Δt)과 계산 파수간격(Δk)에 따른 수치해석 결과의 안정성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검토 결과 Δt ≤T(주기)/1000, Δk ≤ π/100 일 때 수치해석에 의한 결과가 적절하게 도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CONTROLLABILITY OF SECOND ORDER SEMI-LINEAR NEUTRAL IMPULSIVE DIFFERENTIAL INCLUSIONS ON UNBOUNDED DOMAIN WITH INFINITE DELAY IN BANACH SPACES

  • Chalishajar, Dimplekumar N.;Acharya, Falguni S.
    • 대한수학회보
    • /
    • 제48권4호
    • /
    • pp.813-838
    • /
    • 2011
  • In this paper, we prove sufficient conditions for controllability of second order semi-linear neutral impulsive differential inclusions on unbounded domain with infinite delay in Banach spaces using the theory of strongly continuous Cosine families. We shall rely on a fixed point theorem due to Ma for multi-valued maps. The controllability results in infinite dimensional space has been proved without compactness on the family of Cosine operators.

Transient linear elastodynamic analysis in time domain based on the integro-differential equations

  • Sim, Woo-Jin;Lee, Sung-Hee
    • Structural Engineering and Mechanics
    • /
    • 제14권1호
    • /
    • pp.71-84
    • /
    • 2002
  • A finite element formulation for the time-domain analysis of linear transient elastodynamic problems is presented based on the weak form obtained by applying the Galerkin's method to the integro-differential equations which contain the initial conditions implicitly and does not include the inertia terms. The weak form is extended temporally under the assumptions of the constant and linear time variations of field variables, since the time-stepping algorithms such as the Newmark method and the Wilson ${\theta}$-method are not necessary, obtaining two kinds of implicit finite element equations which are tested for numerical accuracy and convergency. Three classical examples having finite and infinite domains are solved and numerical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other analytical and numerical solutions to show the versatility and accuracy of the presented formulation.

글로벌 R&D센터에 대한 현장조사연구: 갭접근방법에 의한 글로벌 IT산업정책중심 (A Field Study on Global R&D Centers in Korea: Focusing on Global IT Industry Policy with Gap Approach)

  • 조상섭;양영석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12호
    • /
    • pp.3797-3803
    • /
    • 2009
  • 우리나라 IT산업성장에서 혁신잠재력과 혁신수행능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 글로벌 R&D센터는 IT산업의 혁신의 중요한 요소이다. IT산업에서 혁신환경에 대한 글로벌 R&D센터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R&D센터구성원과 정책입안자 각 50명씩 현장설문을 실시하였다. 본 실증분석결과를 보면 단기적으로 R&D정책은 연구영역과 시장역역의 인식차이를 해소하는 촉진자로서 역할이 중요하며, 중기적으로 R&D정책은 개발과 시장의 영격의 인식차이를 좁히는 조정자로 그리고 장기적으로는 기술능력과 시장의 확산 자로서 역할이 중요함을 보여준다. IT 정책입안자는 R&D정책에서 글로벌 R&D센터를 혁신체계의 요소로 활용하는 것이 요구된다.

구조물의 비선형 동적 해석을 위한 무한요소의 개발 (Development of an Infinite Element for Non-linear Dynamic Analysis of Structures)

  • 권민호;한길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053-1058
    • /
    • 2010
  • 지반과 구조물의 상호작용을 해석하는 한 방법으로 지반을 무한의 영역으로 가정하여 이를 무한요소로 모델링한 후 구조물과 연동하여 해석하는 기법이 사용되었으나 하지만 기존의 동적 무한요소는 대부분 시간영역이 아닌 주파수 영역에서 정식화되었고 중첩의 원리가 적용되어 구조물이나 지반의 비선형 거동을 해석에 포함하기 어렵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영역에서 정식화가 가능하고 비선형 거동해석도 가능한 무한 요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무한요소를 다량의 유한요소를 사용한 결과와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증하였고, 비선형 지반모델을 적용하여 비선형해석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개발된 무한요소를 지반-구조물 상호작용에 적용할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구조물내진 설계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협대역 재머 대응과 파일럿 오버헤드 감소를 위한 새로운 SC-FDE 전송구조 (A New SC-FDE Transmission Structure for Coping with Narrow Band Jammers and Reducing Pilot Overhead)

  • 주소영;최증원;김동현;정의림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3권8호
    • /
    • pp.981-987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파일럿으로 발생하는 파일럿 오버헤드를 감소시키면서 협대역 간섭신호 혹은 재머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SC-FDE (single carrier frequency domain equalization) 구조를 제안한다. 기존의 SC-FDE 구조는 협대역 재머가 존재할 때 시간영역 채널 추정이 어려워 수신기의 성능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매 SC-FDE마다 채널추정을 위한 파일럿을 전송하여 스펙트럼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도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구조는 시간영역 채널 추정 없이 곧바로 주파수 영역 채널 추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계된다. 또한 파일럿 오버헤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두 개의 파일럿 사이에 여러 개의 SC-FDE 데이터 블록을 전송하고, 두 개의 파일럿을 이용한 선형 보간 채널 추정을 통해 각 데이터 블록에서의 채널 특성을 찾는다. 이렇게 구한 채널 추정값을 사용하여 주파수 영역 등화를 수행하면 협대역 재머가 있는 상황에서도 재머 제거와 함께 안정적인 등화가 가능하다. 제안하는 구조의 성능은 컴퓨터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한다.

Cole-Cole 모델에 대한 시간영역 유도분극 반응의 계산 (Computation of the Time-domain Induced Polarization Response Based on Cole-Cole Model)

  • 김연정;조인기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24권4호
    • /
    • pp.158-163
    • /
    • 2021
  • Cole-Cole 모델에 대한 주파수영역 유도분극 반응은 닫힌 형태의 간단한 수식으로 정의된다. 그러나 시간영역 유도분극 반응은 닫힌 형태로 표현되지 않아 Cole-Cole 모델이나 다른 완화모델에 대한 반응을 계산하는 것은 쉽지 않다. 이 논문에서는 Cole-Cole 모델에 대한 시간영역 유도분극 반응을 계산하는 세 가지 방법, 즉 급수 전개법, 선형 필터링법 및 푸리에 변환법을 비교 분석하였다. 수치 실험 결과 급수 전개법은 안정적인 결과를 제시하지 못할 뿐 아니라 수렴 속도가 느리다는 문제점이 있다. 선형 필터링법은 후기 시간에서 만족할 만한 정밀도를 보이지 못 하였다. 푸리에 변환법은 계산시간이 더 많이 걸린다는 단점이 있으나 다른 방법에 비하여 보다 안정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